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카이스트 로봇학제 입시관련으로 질문드립니다.

2022.11.08

10

5621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내년 대학원입시를 위해 고군분투 중인 기계공학 3학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카이스트 대학원 입시에서 기계공학과로 지원하는거랑 로봇학제로 지원하는거랑 차이가 있다고 들었는데 둘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11.09

아마 제가 답변드린것같은데, 로봇학제전공은 기계공학과/전자과/산공 등에서 로봇하는 교수들끼리 모여서 만든 학과입니다. 따라서, 해당학과로 입학하면 해당리스트에 있는 교수들 연구실에 들어갈수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로봇학제전공 자체는 100% 카장으로 석사과정부터 교수들이 인건비부담이 큽니다. 또한 교수 입장에서는 특이케이스가 아닌이상(전자과에서 기계과 연구실로 가고싶은데, 기계과 전공관련 면접/시험(폐지됏지만)이 부담되서) 굳이 왜 로봇학제전공으로 입학하려는지 의문이 들수밖에 없습니다.
결과론적으로 로봇학제전공은 입학은 보통 기계/전자과보다 수월하지만(그렇다고 엄청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라고 하더라고요), 반대로 컨택은 위의 이유들때문에 훨씬 어렵습니다. 실제로 로봇학제전공 홈페이지 가보시면 학생들이 간 연구실 나왔던것으로 기억하는데 거의 똑같은 연구실만 가고, 인기랩은 거의 못가는걸 볼수있을겁니다. (최소한 기계과의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이건 입학한 이후에 차이긴한데, 로봇학제전공은 석사과정때 중간심사(보통3학기끝나는 방학때함) 없이 최종심사(4학기끝날즈음) 한번만 보면되긴하는데, 기계과 교수들 성격상 중간심사를 보게하는경우가 많은것같습니다.

대댓글 4개

2022.11.09

결과적으로 본인이 특정랩에 꼭 가고싶은거면.. 전자과나 기계과로 입학하는게 컨택에는 유리할수도있습니다. 하지만 그마저도 기계과 연구실별TO2명으로 줄이면서 인기랩들은.. 경쟁이 솔직히 많이 치열해요. 자대생들중에서도 학점이 높거나 보통 로봇랩중 선호도높은곳들은 학부연구생(랩인턴)뿐 아니라 URP나 도전과제 등 하면서 어필한 사람들이 가는듯한 느낌입니다.. 타대생들 입장에서는 솔직히 현제도에서는 들어가기가 너무 어렵기도하죠.. 그런측면에서는 로봇학제전공으로 승부보는게 "최근에 한해서는" 더 유리할수도있어보이긴 하네요.

2022.11.09

그런 점들이 있었군요.... 로봇학제 홈페이지가 거의 deactivate 상태라 정보들이 없어서 몰랐습니다. ㅠㅠ 김진환 교수님 랩에 관심이 있어서 이런저런 정보를 찾아보는데 로봇학제가 컨택이 더 어렵다고 하니 기계공학으로 지원해야겠네요.

2022.11.09

김진환 교수님 랩에 관심 있으시면, 로봇학제도 나쁘지 않아요. 아마 그 교수님이 로봇학제 학과장이실거예요.

2022.11.09

김진환 교수님 랩 괜찮죠. 제친한 후배들도 그 랩 몇명갔는데 다들 만족하면서 삽니다.
근데 자대생들은 대체로 로봇학제전공으로 안가는데(사실 굳이 갈이유가없죠), 해당랩에 로봇학제전공으로 입학한 경우가 있는지는 확인해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저도 로봇랩 출신이지만, 생각보다 교수들중 석사부터 카장으로받는걸 선호안하시는 분들이 대다수기도 해요. 윗분말씀대로 현 학과장이시면 책임감때문에 받으실수도있으것같기는 하네요.

2022.11.09

로봇공학학제 학생입니다. 실제로 몇몇 연구실은 로봇공학학제로 등록되어 있어도 로봇공학학제를 통해 안 받으시는 교수님들이 계십니다. 이전에 로봇학제로 학생을 받은 이력이 있는 연구실은 지속적으로 받는 추세라 연구실 내 로봇학제가 있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대댓글 2개

2023.02.22

안녕하세요 선배님, 추가적으로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1. 로봇학제의 경우 인턴이 많이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2. 로봇학제는 사실상 카장 밖에 없어서 지도교수님이 합격과 동시에 바로 결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여러 연구실을 컨택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2023.02.25

1. 엄청 크리티컬하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대학원 입시에서는 작은 것들이 모여서 스펙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하는 연구실에서 인턴이 가능하다면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지도교수님이 합격과 동시에 결정되지는 않고 입시 합격 후에 컨택 기간이 존재하긴 합니다. 근데 카장을 안받는 교수님들이 꽤 있으셔서 입시 전에 컨택을 통해 합격하면 들어갈 연구실을 미리 정해 놓으면 좋습니다.

2022.12.07

1. 로봇학제전공은 기본적으로 교차지원을 위한 트랙임..
- 기계과 -> 기계과로의 지원은 뽑을 이유가 없음.. 그냥 기계과 뽑아서 쓰면됨.
- 기계/전기/전산에서 안전빵으로 타과 사람을 뽑을때 씀. 기계과가 전산과로 쓰면 면접에서 밀리니까..

2. 문제는 전과 수준인만큼 실력에 대한 검증이 어렵다는 점
- 따라서 절대적으로 인턴 위주로 선발함
- 이번 합격자 17명중 13명이 자대생이라는 소문이있음. 전부 인턴쉽 경험있을것으로 추정(내생각)
- 면접위원도 자기 학생 붙이려고 온 교수들이 진을 치고 있음.

3. 결론
- 단순 경쟁률이 낮다고 생각하여 쓰려는 것이면 절대비추천
- 타과 진학이 목적이라면 인턴 컨택해볼것

파이팅입니다.

대댓글 1개

2022.12.22

오오오 선배님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기계과로 지원하면 로봇관련으로 비중이 적어질까봐 고려사항에 넣은 부분이 큽니다 ㅠㅠ 일단 먼저 교수님께 컨택을 해보고 면담에서 자세하게 전형관련해서도 이야기를 나눠보는 것이 좋을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