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 후 컨택까지 완료된 상태이긴한데 제 수준이 너무 떨어지는 것 같아서 걱정됩니다. 그냥 프로젝트를 몇번 진행해본게 다인 수준인데 다른 ai대학원 목표로 하는 사람들 블로그 보면 벌써 혼자서 논문 구현하고 있더군요……그거 보니까 갑자기 제가 너무 초라해져서요… 남은 기간이라도 조금 더 공부해서 잘하진 못해도 뒤쳐지기는 싫은데 보통 ai 대학원 지원하는 분들은 능력치가 어느정도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뻔뻔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11.05
Ai 대학원도 수준이 천지 차이일텐데, 구체적인 명시가 필요할 것 같아요.
대댓글 3개
뻔뻔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11.05
대답과 별개로 논문 구현하는 건 대단한게 아닙니다 ;;;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거에요.. 더 높은 곳을 보시길 바랍니다 !
2022.11.05
음 구체적으로 말하려니 저도 말이 꼬이는데 저는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비슷한 다른 프로젝트를 한번 둘러보고 시작하거든요 근데 하다 보니 남의 것을 배낀느낌을 지울 수 가 없습니다. 수준 높은 학생들은 이런 경우 어떻게 해결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논문은 논문 코드를 보고 이해는 할수는 있어도 아직 저한테는 글을 읽고 그걸 바로 코드로 옮길 실력까지는 안되서ㅠ 하는 사람들이 더 대단하게 느껴진것 같습니다
오만한 막스 플랑크*
2022.11.06
ai 박사과정들도 논문만 보고 바로 코드로 못옮겨요 보통.. 저자나 남의 코드 있으면 당연히 참고합니다 애초에 워낙 세팅이 방대하기도하고 논문에 안 적힌 구성도 많아서 성능 재현도 안됨
2022.11.06
다른 사람들 자료 보고나서
관심사 전환하고 다른거 한참 하다가
스스로만의 생각으로 가다듬고
나는 과연 어떤 연구를 할것인가?
라는 주제를 놓고 혼자 생각하고
혼자 설계하고 그거로 아웃풋 낸다면
베끼기가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창작한거고
다른거 봤던거는 걍 참고자료로 봤던거라
레퍼런스로 써 놓으면 될테고
그렇지 않으까요?
공허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11.06
우리나라에 AI 대학원 1개임?
대댓글 1개
공허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11.06
마치 학부생이 컴퓨터 공학과 합격했는데 우리나라 컴퓨터 공학과 합격 어렵냐고 물어보는것 같네 ㅋㅋ
2022.11.05
대댓글 3개
2022.11.05
2022.11.05
2022.11.06
2022.11.06
2022.11.06
대댓글 1개
2022.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