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학위x + 외국국적이 교수임용에 문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아시는 분 게실까요?

2022.11.04

15

2942

안녕하세요.

교수 임용관련 기초적인 질문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국내 학사, 석사 수료(서연고 아래 정도 학교) 후 해외에서 학사, 석사(Top Tier) 졸업후 기업에서 7년차 일하다 이달을 끝으로 회사 생활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교수임용이 어려운건 말해 입아프고.. 제 모교에 공고가 나면 지원해볼 생각인데요. 제가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 혹시 아는분이 계시면 여쭙고자 문의드립니다.

- 제 국적이 예를들어 미국이라면 교수임용시 결격사유가 되거나 문제의 소지가 되나요?
- 예체능쪽 분야입니다. 박사학위는 없습니다. 하지만 지원가능한거로 국내 교수님+지인들을 통해 들었습니다. 학력이 아주 높은 편이고 회사 커리어도 잘 쌓아왓습니다. 단지 박사학위가 없고 연구실적도 없어서(예체능계열이라 실무경력으로 대체되나 봅니다) 지원에 고민은 되지만 교수님들이 지원하라는거 보면 조건이 되기는 한가봅니다. 물론 제가 알기로 그럼에도 박사학위 소지가 기본으로 알고있습니다.(원래는 박사학위 까지 필요없었는데 바뀐거로 알고있어요) 어떤경우에는 교수임용되고 박사과정을 함께 밟는경우도 알고 있는데 여기계신분들은 예체능쪽은 없으시겠지만 이론적으로 박사학위 없고 논문실적이 없는데 지원하는건 말도 안되는건가 싶긴 한데 혹시 아시는 분이 계실까해서요.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낙천적인 맹자*

2022.11.04

예체능이 다 똑같은것도 아니고 전공마다 다르겠죠.. 요샌 가수 개그맨 정치인들도 죄다 박사던데 박사도 아닌 사람이 어떤 메리트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대댓글 3개

2022.11.05

제 질문과 연관되지 않은 답변이지만 감사합니다.
낙천적인 맹자*

2022.11.05

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2022.11.06

맹자야... 이런 게 그대가 말한 성선설이냐?
심심한 제임스 맥스웰*

2022.11.05

예체능의 경우, 특히 실무 교육을 강조하는 경우는 석사만 있어도 충분한 실무 경력이 있다면 교수로 임용될 수 있습니다. 조금 찾아보면 논문 실적 대신에 전시나 포트폴리오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 같네요. 참고로 학교마다 그런 정책들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하이브레인넷에 올라오는 전임교원 초빙 공고문들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2.11.05

감사합니다. 관련학과 모교 이전 공고글을 보면 가능하다 명시가 되어있네요. 그럼에도 박사학위자들이 기본요건이 되는 분위기라는 이야기는 몇년전에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임용되고 박사진행하면서 교수직을 한다고 하더라구요. 한국에 계신 교수님께 직접 물어보기 좀 애매한 부분이라 궁금했습니다.

2022.11.05

공고가 그렇게 되어있으면 지원해보면 되지 않을까요? 예체능의 경우 다른 분야와 많이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요건이 안 되면 떨어질테지만 지원하는 것 자체의 cost는 높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맨위에 분은 사회생활 좀 힘드실 것 같은 스타일이네요 뭐가 저리 꼬였는지..

2022.11.05

지원하려는 학교에서 공고가 나면 그 공고문에 모든 정보가 있습니다.
공고문 지원자격란에 '석사 학위 이상'이면 지원 가능, '박사 학위 소지자'면 불가능입니다.

간혹 모교 교수님이 지원해봐라 등등의 말은 그냥 격려 정도로 흘리시길 바랍니다.
지원 기간 내에 접수된 지원자들 가운데 최선을 선택하거나 있어도 맘에 안들면 아무도 안뽑는게 임용시장입니다.

석사 학위 소지자도 지원 가능한테 실적이 없는 경우? 이것도 공고문을 보면 됩니다.
석사학위 소시자는 공통사항이고 세부 사항에 최저실적 요구하는 학교가 있습니다. 최저 실적이 안되면 절대 지원하지 마세요 교무처 직원 선에서 커트 당합니다.

결론: 가고자 하는 학교 공고문을 잘 보면 된다.

2022.11.05

외국인은 플러스 요인입니다. 국제화 지수 어쩌구 때문에 to가 따로있습니다. 이거때문에 채우려고 글쓴분에게 제안하는거일수도 있음.
예체능 학력/실적은 다른 분야에서 조언 구하셔도 도움이 안될듯.

대댓글 1개

2022.11.05

사실 제가 가장 궁금했던거였는데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 모교는현재 외국국적출신은 없어서 혹시 임용이 외국인따로받고 이런건지 궁금했습니다. 국적을 포기하고 회복하는것도 고려해야하는 막연한 생각을 좀 해봤네요. 교수가 될것도 임용준비한것도 아닌데 너무 깊게 고민한거 같습니다. 물론 기회가되면 pivot 할 생각입니다. 좋은 주말되시길
우아한 척척박사*

2022.11.05

예체능이라면 실적이 공연이나 콩쿨이나 대회 수상인데 단독 전시회라던가 기업에서 뭘 했는지는 의문이기는 하네요. 자기 객관화부터 해보세요
우아한 백석*

2022.11.05

한국 대학에 미국 시민권자 교수들 많읍니다. 오히려 미국 시민권자는 외국인 채용 특례도 있어 유리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대댓글 1개

2022.11.05

검색해보니 채용특례가 있긴한거 같습니다. 다만 궁금했던것은 일반 국내 채용과 별개로 외국인 채용을 억지로 만드는 것인가 궁금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국내채용이 기준이니까요. 국내 채용인데 외국인 우대 이런 조건이 들어가는건지.. 궁금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1.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랭킹 매길 때 국제화 지수 항목 때문에 외국인 교수 임용 할당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실제 외국인이 동료 교수가 되는 것을 재직하고 있는 교수들이 사실 많이 부담스러워 하죠. 일 시키기도 힘들고 해서.. 그래서 검은 머리 외국인 교수를 선호합니다. 서류상으로는 어쨌든 외국인. 제가 아는 사람도 한국에서 초중고대학까지 다 졸업한 이중국적자 인데, 미국으로 석박 유학가면서 한국국적 포기하고, 졸업하고 ㅎ대에 미국인교수로 다시 임용됐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05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저는 오히려 반대로 차별할거라 생각했는데 적어도 마이너스는 아니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