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유럽(독일) 이공계 대학원

2022.10.22

9

5432

국내 학사하고 독일 tu9 공대에서 석박하게되면 메리트 있나요? 제가 알아본 바로는 독일 공대가 매우 저렴한 금액으로 미국에 준하는 수준의 교육을 받을수 있는걸로 들었는데 자연과학은 그렇지만 공학은 그 정도의 메리트가 없다는 말도 있어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분야는 재료공학입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10.22

박사 후 어디를 목표로 하냐에 따라 다릅니다. 연구실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경험했을때 독일 연구실은 소위말하는 워라벨을 지키면서 연구합니다. 박사과정 학생도 여름에 한달정도 그냥 휴가 갔다오니까요.
이렇게 하면 국내 정출연/교수 로 가기에는 실적이 부족할 가능성이 큽니다. 국내 대기업은 분야만 맞으면 문제 없을 것 같구요.
독일어 하실 수 있으면 독일에 정착하는 것도 좋은 옵션입니다. 정말 살기좋은 나라입니다.

대댓글 1개

2022.10.22

감사해요

2022.10.22

유럽 대륙은 한국하고 학제가 다릅니다. 석사는 등록금은 싸지만 랩 인건비가 풀로 나오는게 아니라 경제적으로 이득이라고 하기 어렵고, 박사는 랩에 따라 포닥(스칼라십이 없는 포닥은 주별 scientist 공무원 기준 인건비가 나옴)대비 50-100%의 인건비를 제공하는데 50%만 받아도 박사과정 치고 나쁘지 않고 100% 받으면 이렇게 풍족한 박사과정이 없죠.
수준은 분야및 랩바랩이나, 재료공학은 무슨재료냐에 따라 다르지만 화학쪽이라면 독일은 세계 1위 화학회사인 BASF가 있고 유일하게 영어 base가 아닌 top 저널인 Angew Chem이 있는 나라니 뭐 더 할말은...
실적은, 유럽 대륙은 학위기간이 한국이나 미국 대비 짧기때문에 포닥 2년 더해도 되서 손해볼이유는 없습니다. 같은 기간이면 대학원생으로 실적쌓는거보다 포닥으로 쌓는게 유리합니다. 워라밸하고 실적은 솔까 자기가 알아서 하는거고 선택지 있으면 좋은거죠. 아시안들 독일 현지인처럼 일하는 사람 별로 없고 대부분 학계 자리 잘들 잡았습니다.

2022.10.22

박사랑 석박통합은 미국도 돈 안 들어요 오히려 월급 나옵니다.

2022.10.22

독일은 연구소 가시는게 좋습니다. 대학은 구려요.

대댓글 2개

2022.10.22

별로인 이유도 알수 있을까요?

2022.10.22

연구소 인프라가 워낙 잘되어있어서 인재들과 연구비들이 연구소로 많이 몰려서 그래요. 독일 대학들이 상대적으로 대학순위 등에서 기를 못펴는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 하나가 독일 연구소들이 상당수의 우수 연구인력들을 끌어당기기 때문이에요. 연구소 박사과정을 가시게되면 연구활동은 연구소에 하게되고 졸업장에는 협정이 맺어진 대학교이름이 찍혀서 나오게 되어요.
덤덤한 장자크 루소*

2022.10.22

대학은 구린데 막스플랑크 연구소들 중 좋은곳에서 박사하면 인생 끝이죠. 박사과정한테 돈도 오지게 주고요.

대댓글 1개

덤덤한 장자크 루소*

2022.10.22

탑레벨급 연구자들 CV 많이 보다보면 막스플랑크에서 교환학기나 인턴하거나 한 경우 꽤있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