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야 말 참 예쁘게 한다
인턴 지원자가 우리 연구실 논문을 싹 읽어왔네요
50
- 그 어떤 학과던지 한국은 spk/yk가 압도적이죠. 아주 마이너한 학과나 분야 빼면.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ist 중 하나인데 저 숫자는 아닌거 같은데 가까운데만 봐도 저 숫자 보다는 많음.
개인적으로는 생각 하는 이유는 비전 하는 사람 인원수가 아예 다를거임.
ai 신생랩이 더 많은거 같아서 인원수가 적은 느낌임
ai에서 비전이 메이저 같아 보이지만 nlp랑 vision 합쳐도 전체 파이의 20프로임. 비전 외에 다른 류의 ai를 연구 하는 연구실이 많은거 같음. 다학제학문에 응용하는 연구나 코어 한 연구를 할수도 있음.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10
- 학생들에게 일부러 받을 돈 보다 많이 주고 그걸 다시 돌려 받아서.. 공금으로 쓴거면 다들 그러지 않나?? 특히 공식 처리 어려운 공금이 필요할 때도 있으니.. 그냥 운영의 묘 아닌가? 개인 착복도 아니고
KAIST 교수가 직전 근무 대학서 학생에게 연구실 운영비 걷어
18
- 성한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는 건, 학교 구조와 인식 상 어쩔 수 없고 약간... 학풍 (?) 비슷합니다.
일단 학교가 사립인데, 포공처럼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이 쩌는 것도 아니고~
수도권에서는 서연고에 굵직굵직한 연구비 수주에 있어 밀리다 보니,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하게되죠.
교수 입장에서도 학교 차원에서 지원이 약하니, 대학원생들 먹여살리려면 기업체 프로젝트를 많이 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프로젝트 따라 다르지만, 목적이 논문인 학술 연구와는 달리 프로젝트는 그 목적이 좋은 논문이 아닌 경우가 많기에... 논문 쓰기에는 불안정한 환경일 수 있습니다.
(이건 프로젝트 by 프로젝트 이긴 합니다...)
성한 대학원 가면 기업 프로젝트 많이 하나요??
16
신생랩 졸업 후 output에 기반한 신생랩 장단점 정리
2022.10.15
30
25367

대학원 생활 및 졸업 이후 경험들에 비추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우선, 나는 skp 대학원 중 신생랩 출신이고, 박사졸업 후 정출연에서 일하고 있다. 그리고 내 주변에도 다른 신생랩 출신이 많았다.
김박사넷의 흔한 의견은 신생랩은 장비 셋팅할 것도 많고, risk가 크니 가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근데 정말 이런 측면만 존재할까?
사실 내 주변에서 정말 잘 되서 학계로 진출한 사람들은 신생랩 출신이 많았다.
그럼 이건 왜 그런것일까?
내 생각엔 김박사넷에서는 한쪽 측면만 너무 강조된 측면이 있어서, 다른 측면 이야기도 나누고자 한다.
신생랩에 대한 내 결론은 학계나 출연연을 가고 싶을수록 "연구 중심의 좋은 대학에서의 신생랩"을 가는 것은 유리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기회요소 1) 무엇보다도 좋은 대학일수록 신생랩 교수들이 new한 연구분야를 하기에 학계로 진출하기 유리하다.
반면, 아무리 논문 실적 잘 나와도 그 쪽 사람들이 이미 우리 나라 대학과 정출연을 채우고 있으면, 그 랩 출신은 학계에 진출하기 힘들다.
교수나 정출연 지원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실적은 기본이고 연구 분야가 가장 중요하다.
기회요소 2) 랩 set-up에 시간 많이 들어서 연구를 잘 못하네... 이런 소리가 김박사넷에서 많이 들리지만, 내가 아는 신생랩 1, 2호 박사들은 대부분 학계로 잘 진출했다.
왜냐면 교수가 실적이 필요하기에, 이 박사생들에게 좋은 논문 실적들이 많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그럼 석사 졸업생들이 lab set-up에 영향을 많이 받는거냐... 라고 또 묻는다면, 내 경험 상 별로 그렇지 않았다.
이건 아무래도 우리 랩이 skp여서 그런지 (간판이 중요했는지...), 애초에 회사가 석사 출신에게 높은 실적과 경험을 기대하지 않았다.
그냥 자기가 연구하던 내용들 발표하고 면접하면서, 다들 취직 잘 했다.
위험요소 1) 이번에 안 좋은 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하는데, 가장 위험한 부분은 교수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막말로 교수가 굇수였으면, 답이 없다.
교수가 굇수이면, 얼마나 대학원 생활이 힘들어지는 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이를 걸러낼 정보가 없다는 점에서 이건 확실히 위험 요소가 맞다.
위험요소 2) 사실 내 주변에서 이걸로 인생에 정말 타격을 받은 사람은 별로 못 봤지만, lab set-up에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다만, 나는 위에 설명한 이유들 때문에 이것이 정말 그 사람의 career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많이 보진 못했다 (교수가 굇수가 아니라면).
내 주변 신생랩 박사 졸업생들은 교수님이 실적을 챙겨주는 혜택을 lab set-up하면서 시간을 버리는 것보다 크게 본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왜 김박사넷에서는 lab set-up 문제를 강하게 호소하느냐?
내 주변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지만, 사실 그 사람 지도교수가 굇수일 것이라 추측한다.
가뜩이나 굇수인 사람이 (연구도 못하게) lab set-up으로 시간 뺏어먹게 하면 그 스트레스는 매우 크다.
내 주변에도 이런 사람들이 있었기에... 이에 대한 근본 원인은 lab set-up이 아니라, 교수가 굇수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한다.
다시 정리하면, 김박사넷에 너무 한 쪽 측면 이야기만 편중된 것 같아, 이 글을 적었고.
연구 중심의 좋은 대학의 신생랩이라면, 학계나 출연연을 가고 싶은 꿈이 있을 경우 매우 좋은 기회일 수 있다는 의견을 박사 졸업 후 내 주변 output을 기반해서 공유한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12
74
8043
명예의전당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172
34
35347
명예의전당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65
30
28321
명예의전당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74
19
28352
명예의전당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168
20
29307
-
130
25
38911
-
63
60
70558
-
153
23
56590
고전인기
지방대 교수의 단상139
49
72237
고전인기
대학생/대학원생 세금 관련 팁70
3
48660
고전인기
연구자로 살길 잘했다.244
58
46864
-
166
30
4270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건대 공대가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3
27
대학원도 아이비리그면 전공랭킹과 상관없는 prestige가 있나요?
0
17
- 인생을 돌아보며...
10
23
- AI 관련 대학원들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6
18
- 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을 구합니다.
1
17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10.15
대댓글 3개
2022.10.15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