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전연 2+1에서 1에 대한 질문

2022.10.09

5

3680

안녕하세요 박전연 2+1 에서 1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박사학위 취득후 1년 연구원으로서 일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1) 이경우 제가 TO를 가지고 있는게 맞을까요?

(2) 같은 대학교의 부설연구소등에서 근무하면 안된다는 조항은 없을까요? 이 경우 제가 박사를 받았던 연구실에서 포닥을 1년 이어갈 수도 있을까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2.10.09

안녕하세요 박전연 2+1 에서 1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박사학위 취득후 1년 연구원으로서 일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1) 이경우 제가 TO를 가지고 있는게 맞을까요?

(2) 같은 대학교의 부설연구소등에서 근무하면 안된다는 조항은 없을까요? 이 경우 제가 박사를 받았던 연구실에서 포닥을 1년 이어갈 수도 있을까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2.10.09

(1) yes
(2) 없는것으로 알고있으며, 아마 학교내 연구소 소속으로 포닥하게될것임.

사실 아직 2+1에 해당하는 전문연이 시작도안되서, 아무도 해당건 어떻게되는지 모르지만, 국내대학 포닥 비율이 높아질것이라 교수들이 생각들하고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2.10.09

동일 연구실에서 일하는 편법은 안통할려나요

2022.10.09

아 먼저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원래 포닥 나갈 생각이었어서 완전히 절망적이지는 않네요

2022.10.09

원래 소속은 학교산하 연구소고 근무는 동일한 연구실에서 하게됩니다. 지금 졸업후 포닥하는 사람들도 다 똑같아요.
포닥임금을 BK로 주냐, 아니면 연구실 프로젝트 비용으로 주냐 정도만 결정대상이죠.
추가로 저도 해외포닥나가지만, 차후에 본인 CV를 볼때는 정출연에서 하는게 좋습니다. 다만, 해외포닥 기간이 정해지지 않은이상 (보통 졸업전에 해외포닥 컨택되는 경우가 적기때문에), 본인의 편의를 봐줄만한 박사밑으로 가야되다보니 본인이 학위과정중 잘알고있는분 밑으로가는게 좋죠.
저도 연구실에서 포닥할지, 기관에서 포닥할지 고민했는데 교수님께서 같은맥락으로 본인한테는 전자가 유리하지만, 저를 생각할때 후자를 추천해주셨습니다. 어차피 같은 대전이라서 졸업후 기관에서 포닥하는데 금전적인것도 더 많이받고, 여러모로 좋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