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대학원 진학 관련해서 교수님과 면담을 했는데, 어차피 연구 실적이 제일 중요하고, 박사후 연구원은 해외로 가야 하며, 연구분야도 사립대에선 아무래도 공학에 비해 지원이 적은 자연과학이다 보니 교수 목표면 skp, 그게 아니더라고 ky 정도 아니면 그냥 저희 학교 대학원을 오는건 어떠냐고 하시더라고요.
위 5개 대학 중에선 고려대에 있는 랩에 지원할 생각이었고, 그 외엔 성균관대랑 한양대를 알아보고 있었으며, 사실 자대 대학원은 선택사항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면담 이후 자대 대학원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어 고민이 생겼습니다. 서울권 대학들이 집에 가깝고, 간판이 좋으니 혹시라도 취업노선으로 틀면 유리할지도 모르지만, 취업은 별로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자대 대학원은 학점이 아깝지만 랩 잘못걸릴 모험이 없어서 편하다는 점이 있고, 아무래도 지거국이라 학비에서도 이점이 크더라고요. 그리고 연구분야는 전부 동일했습니다.
혹시 지거국 대학원에서 학위를 따고, 해외 포닥을 할 때 간판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9.10
그 교수분은 대학원 어디 나오셨는지 ㅎ
대댓글 2개
2022.09.10
사실 처음엔 고려대, 연세대를 추천해주셨는데, 그 중 고려대 랩 졸업생이신것 같습니다.
제가 성균관대도 알아보고 있다고 하니까 그때 한양대랑 같이 자대 대학원도 언급하셨고요.
2022.09.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곡을...
열정적인 존 폰 노이만*
2022.09.10
해외 포닥은 지거국은 커녕 spk에서도 제대로 못보내는 랩이 태반입니다. 학교가 중요한게 아니라 님 지도교수가 해외 탑스쿨들에 얼마나 잘 알려져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9.10
감사합니다. 한번 자대 연구실 졸업생들이 어디로 갔는지 조사해보겠습니다.
2022.09.10
교수님 말처럼 자연대면 spk못가면 bk과나 ist가는게 맞는 데
박사따고 해외포닥갈거면 실적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적어도 최근 연구실적 보고 판단하는게 맞죠
대댓글 1개
2022.09.10
동의합니다. 해외포닥 갈꺼면 더더욱 논문 실적이 중요한데 랩 최근 논문 실적에 대한 이야기가 전혀 없네요.
핵심 정보 부족입니다.
덤덤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2.09.10
보통 spk/yk/ssh/ist 순으로 지원하죠
2022.09.11
너무 결정 요소를 많이. 고려 하면 결정 못내립니다
저 경우 석사 대학원은 상향 / 타대로 결정 했습니다
박사는 교수 연구 실적 / 타대 / 하향 지원 합니다
2022.09.11
추가로 저의 경우 타대를 고집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학문의 편협성을 극복하려면
다양한 환경에서 연구해 보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2022.09.10
대댓글 2개
2022.09.10
2022.09.10
2022.09.10
대댓글 1개
2022.09.10
2022.09.10
대댓글 1개
2022.09.10
2022.09.10
2022.09.11
2022.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