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밑에 글보고 그냥 궁금해져서 그러는데 학부생이 sci 1저자 쓰는게 흔한 일임??

씩씩한 존 필즈*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08.02

34

9489

나는 국대 상위권 대학(SKP)은 아니고 분야는 기계/전자 쪽임.
내 표본에서 보면 그 동안 봤던 학부연구생 15명 정도 되는 거 같은데
sci는 커녕 kci 한편 쓴 애도 본 적이 없음.

석사과정에서 sci 쓴 애들도 전체에서 40%정도 인듯?

다른 사람들은 어떰? 그냥 순수하게 얼마나 되는지 궁금함. 조사 한번 해보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IF : 1

2022.08.02

사실 kci는 그냥 쓰는건 존나쉬운데 굳이 랩실에서 가치를 못느껴서 skp는 아예 안쓰는경우가 많고
학부생이 sci 쓰려면 우선 쓰는게 물리적으로 가능한 분야(셋업이 필요한 분야같은 곳은 학부생이 불가)여야 함
Cs같은 곳은 탑티어에도 학부생이 내는 경우가 꽤 있더라

2022.08.02

CS은 가능하고 일상임. 내가 교수 도와줘서 애들 뽑는거 해줄때 탑티어 없는애가 없었음. 미국 상위권 대학기준.

대댓글 4개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2

그니까 그건 박사생 뽑을 때 얘기잖아. 본문의 내용에 충실했음 싶은데. 아님 따로 언급해주던가. 오해의 소지가 있는 댓글임.

2022.08.02

본문에 대학원 진학이고 컴퓨터비전이라고 해서 그런건데? AI 분야들은 이런게 많음. 연구하는 사람도 많고 펀딩도 넘쳐흐르고 할것도 많고. 너가 이 쪽 분야 모르니까 오해 할 수도 있지.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2

아니 그니깐 그 본문의 첫 줄이 이거잖아
[학부생인데 이번에 MDPI 1저자로 논문 쓰게 되었는데 이게 accept까지 나올것 같은데요]
그래서 내가 여기 본문 제목은 학부생 sci 얼마나 쓰는 지 궁금하다, 얼마나 되는지 보자.

근데 박사과정생들 지원할때 실적얘기는 왜하냐는 거지. 너가 다른글 댓글에 분명 이렇게 적었잖아.
[요즘은 박사 지원하는데 탑티어 논문 하나 없으면 상위권 대학은 광탈이야]
그리고 여기 댓글에도 주제랑 다르게 자기 하고픈말 똑같은말 또 쓰고있고.

하고싶은 말이 뭔지도 알겠는데 그럼 너가 본문에 새로 글을 쓰던가. 니가 여기 쓴 댓글만 보면 탑티어 개나소나 쓰는게 학부생인지 박사과정 지원생인지 첨보는 사람은 모를거아니야??


2022.08.02

학부생들 박사과정 지원할때. 그 말을 빼먹엇네 미안. 미국 학부에서 석사하는 얘들보다 석박통합으로 바로 가는 애들이 더 많더라 AI는.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2

요새 CVPR 사건도 그렇고 CS쪽은 논문 인플레에 대해서 한번 공론화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음.
기존의 리뷰시스템으로 대응하는게 한계가 있는 듯.

대댓글 2개

2022.08.02

그래서 요즘 학회들이 오픈리뷰로 넘어가는 추세임. 하도 연구자가 많아서 어쩔 수 없는 부작용이지만, 고쳐나가야지. 인플레라곤 생각 안함, 그냥 분야가 핫해서 그렇지.

2022.08.03

CS한다. 근데 논문 인플레는 뭔 소린지 모르겠네. 연구하는 사람 많아진다고 개나소나 top tier conference에 걸릴 paper쓰는건 아니야. 어렵다. 운이 따라줘야해.

2022.08.02

뭐 쓰려고 하면 어려운 것도 아니잖아?
탑 저널/학회면 몰라도 sci는 못쓰는게 아니라 안쓰는거에 가깝지

대댓글 2개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2

그럼 너 있는 곳 기준으로 학부연구생이 sci 1편이라도 쓸 수 있는 애들은 널렸지만 안썼다는 거임??

2022.08.02

ㅇㅇ.. 내 주변에도 많지는 않았는데 내면 받아주는 저널 많잖아?
그런데 내면 되는거지 뭐

2022.08.02

다들 상당히 엘리트 집단이신가보네요.. ㅎㅎ 저희(spk 기계/전전)도 주변에서 학부생때 논문쓴 경우는 극히 드물고, 그런경우도 대체로 신생랩에서 학부연구생하면서 교수님이나 박사과정학생의 직접적인 가이드를 받은경우였습니다.
그런 경우라해도 대체로 학부때 학점관리하기때문에 학기중 개별연구는 거의못하고, 방학때 집중적으로 하기도 하고요.
논문을쓰는 대다수의 경우도, 간단한 아이디어가있으면 실험노가다를 통해서 승부볼수있는 분야에서나 가능했던것같네요. 특히나 인기랩만 되도 학부연구생들 와도 urp처럼 1년프로젝트가 아닌이상 솔직히 아무도 신경도안써서 그런곳에서 논문쓰기는 더더욱 어렵고요.

대댓글 2개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2

저도 이게 전형적인 연구실의 학부생 모습이라고 봤는데... 학부생이 sci 정도는 대부분 쓴다길래 요새 똑똑한 친구들이 부쩍 많아졌거나 논문 인플레가 심각할정도로 높아진줄 알았네요ㅋㅋ 혹은 분야마다 편차가 크거나요...

2022.08.02

그리고 윗분말처럼 sci 자체로만 보면 솔직히 이름만 sci인곳들은 돈만내면 리뷰프로세스도 이상한 박사과정같은 리뷰어한테 가서 쉽게 게재되는 곳들이 많기는 하죠. 연구실에서 어느정도 석박사가 아이디어나 방향성만 조금제시해주고, 본인이 으쌰으쌰해서 어떻게든 결과물/논문화시키는것은 어느정도 상위권되는 학교의 학부생들은 모두 가능할것이라 봅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실은 대체로 미니멈으로 내는 저널들이 있고 (꼭 탑저널이 기준이 아니라해도, 대체로 여기 이하는 안내는만 못하다 싶은곳들.. 보통 mpdi 이하부터는 지양하죠.), 이런 저널들을 학부생이 노리는건 쉽지 않죠.
저도 학부생때 연구실에서 ieee 저널(tr x)에 냈는데, 솔직히 지도교수와 박사과정 선배이 방향가이드 해준게 아니였으면 불가능했다고 봅니다. 박사과정분은 논문작성에도 많이 도와줬고요.

2022.08.02

이건 wet lab, dry lab에 따라서 차이가 크다고 생각함.

CS같은 dry lab은 가능할지도 모르겠지만 화학/생명 같은 wet lab은 말도 안되는 소리고, 써봤자 인정해주지도 않음.

대댓글 1개

2022.08.02

북미에서 화학과 학부/석사 까지 했는데 (6년) 그 중에 학부생 신분으로 졸업전에 1저자로 논문낸 사람은 딱 한명밖에 못봤어요. 심지어 Dry lab이 아니라 inorganic synthesis. 그 이외에는 들어본적도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불가능 까지는 아니고 극히 희귀하다고 보고있어요.
졸린 아담 스미스*

2022.08.02

저도 학부때 sci 논문 여러편 썼고 주변에도 매우흔하게 많습니다. 구글링해보면 학부생 논문 썼다고 나온 기사 굉장히 많습니다.

대댓글 4개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2

그렇군요.
근데 기사 같은 경우는 검색해보시면 알겠지만 학부생이 sci 썼다고 홍보 혹은 자랑하는 기사들이네요.
그말은 그만큼 희귀하다는 뜻 아닐까요?? 말씀하신대로 검색해서 봤습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ED%95%99%EB%B6%80%EC%83%9D+sci&newwindow=1&sxsrf=ALiCzsYTjQE3l-cO6dAw-Nw_kFs-fHp91Q:1659451084369&source=lnms&tbm=nws&sa=X&ved=2ahUKEwjnpZ-Dsaj5AhW-qFYBHUkJCG8Q_AUoAXoECAEQAw&biw=1920&bih=937&dpr=1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2

검색해서 보니 학부생들은 IEEE ACCESS, MDPI SENSORS에 상당히 많이 게재했네요. 그리고 그게 꽤나 큰 성과인듯하게 기사로 홍보하고 있구요.
졸린 아담 스미스*

2022.08.03

그게.. 하위권 대학일수록 기사써서 홍보하는 경우가 많은거 같고, 상위권 대학에서는 굳이 기사 같은걸 내지는 않는거 같아요. 기사에 없는 경우가 훨씬 많아요.

2022.08.03

학부생이 SCI 논문쓰는게 그렇게 흔다하면 그게 뉴스꺼리가 되겠냐?
긍정적인 마키아벨리*

2022.08.03

IEEE ACCESS, MDPI SENSORS 같은 하급 sci들은 가능. 지도교수가 지도해줄 시간만 있으면 고등학생들 데리고도 쓸 수 있을 듯.

대댓글 4개

긍정적인 마키아벨리*

2022.08.03

학생뿐만 아니라, 상위권 교수들도 실적이 급하신 분들은 이런데다 내는 경우 있음. 물론 학부생이 sci 1저자로 쓰는 것이 "흔한" 것은 아님. 그런데 흔하지 않은게 항상 어렵고 대단해서는 아님. 때로는 옳지 못한 것이어서 흔하지 않은 경우도 많음.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3

IEEE ACCESS, MDPI SENSORS에 쓰는게 옳지 못하다는 것이군.
둘다 논문장사하는 곳이라 그런 거임? 탑티어 논문이 아니라서 그런거임??
후자라면 생각이 좀 잘못 된듯 한데...
상위 5프로 저널 아래는 쓰는 행위 자체가 잘못됐다는 말은 굉장히 오만한 발언임.

2022.08.04

정확한 지적이라고 봄. 논문을 학부생이 못 쓸 거라는 게 아니라 논문다운 논문을 일반적으로 학부생이 쓰기 어렵다는 거임. 특정 분야에 대한 학문적 깊이 뿐 아니라 과학적 글쓰기 자체도 트레이닝이 필요한 부분인데, 이걸 학점 최소 15~18학점씩 듣고 있는 학부생이, 소화해낼 수 있겠냐는 거임. 누군가 연구 및 논문 방향을 제시하고, 논문에 들어갈 데이타 제작 및 공급 과정에 전적으로 관여하고, 이것을 적절한 글로 정리하기까지 세부관리해주는 사람이 없으면 보통 학부생은 그냥 실험수업 리포트 수준이나 써낼 수 있는 게 현실이지. 애초에 어떤 게 논문으로 써낼 내용인지조차 감이 없는 게 대부분이고.

2022.08.04

진짜 논문 방향부터 데이타 생성 및 시각화, 글쓰기 과정에서 본인 연구에 의미 부여까지 혼자 다 해낼 수 있는 학부생은 우리 주변엔 사실상 없다고 봄.

2022.08.03

우리 킴박사넷 형님들은 학부생때 sci 5편씩 쓰고 하급 저널은 거들떠도 안보는 킹갓 엘리트들인데 뭘 그런걸 물어보나요. 고등학교때도 남들 미적분학 공부할 때 혼자 논문보면서 비판하고 있었을게 당연한거 아닌가?

대댓글 1개

열정적인 버트런드 러셀*

2022.08.03

ㅋㅋ 킹갓제너럴 형님들ㅋㅋㅋㅋ 글쓰는거보면
타분야는 모르는 우물안 개구리 같음
생물 wet lab은 진짜 학부생은 커녕 석사생이 sci 내고 졸업하는거 손에 꼽는데ㅋㅋㅋ 마치 자기가 아는게 전부인양ㅋㅋ 난 박사졸업으로 sci 7편 내긴 했지만 석사기간엔 논문 못썼음.

2022.08.03

김박사넷만 보면 죄다 학부 최소 서울대나 카이스트에, 학점은 전부 수석이나 차석에, 학부연구생 하면서 논문은 최소 2~3편씩은 쓰고, 석사때는 탑티어 밥먹듯이 억셉트되고, 석사때 탑티어 없으면 박사진학을 못하는다느니 하시는 분들임ㅋㅋㅋㅋㅋ아마 영어도 원어민수준으로 할듯? 초등학교때 미적분 풀던 친구들이 김박사넷에 다 모였나 ㄷㄷ

대댓글 1개

열정적인 버트런드 러셀*

2022.08.03

그렇게 잘난분들이 연구할 시간에 김박사넷 돌아다님ㅋㅋ

2022.08.03

Sci도 한두개가 아니라서 내려고 하면 엉터리 논문도 어떻게든 낼 수 있음. 사람들이 돈이 아까워서 Q3, Q4 같은 하위 저널에 안 내니까 그렇지...

대댓글 1개

씩씩한 존 필즈작성자*

2022.08.03

놀랍게도 여기 댓글에 하위권이라고 언급된 저널들이 Q1임.
애초에 Q3, Q4 고려대상도 아님.

2023.03.23

와 미생물 유전학쪽 연구하는데 제가 가르치는 후배들은 석사도 SCI 1저자 힘들던데요... 학부생은 피펫팅도 제대로 못하는 애들이 태반이라서 석사 온다하면 나중에 지 논문 쓰게하기 위해 실험테크닉 빡세게 가르치는데... 저희 학교가 후진학교인가 봅니다.. 리뷰논문 쓴다하면 예외지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