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점이 2점대 or 3점 극 초반인데 대학원을 진학하는 사람들

2022.07.19

27

14421

적응 잘 하나요? 아니면 학부 성적과 대학원 연구 실적은 별개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7개

2022.07.19

학생들 뽑아보면 학점이 영향이 없는건 아닌데 본인 모티베이션이나 노오력이 훨씬 중요한거 같아요.

IF : 5

2022.07.19

별개
오히려 4 넘는 사람이 적응하기 힘들수도 있어요. 이젠 시키는거 시험만 하면 되는게 아니니까

대댓글 3개

2022.07.19

맞으면서도 틀림. 4점은 그래도 학부에서 노오력이라도 해서 지식습득이라도(수동적이겟지만) 잘 하지만 반대로 학점낮다는건 그 수동적인 지식습득도 못했다는...

2022.07.19

윗분 말이나 예전 김박사넷 댓글들 보면 가끔 너무 극단적인 말들을 하는것같아요.
예를 들면, "박사까지 하면 학벌이 중요하지않다" 혹은 얼마전 비슷한 맥락으로 올린글에 대다수가 댓글로말한 "학점과 대학원연구생활이 상관이 없다" 등이요..
말이 길어졌지만, 학부학점과 연구는 분명히 상관관계는 존재합니다. 대다수의 학점잘받던 학생들이 성실함도 있고, 전공지식도 충분히 잘 안 상태로 시작하고요. 다만, 아닌 케이스들도 충분히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는게 좋습니다.
분명히 학부때 학점이 나쁘지만, 연구에 필요한 소질들을 갖추고 흥미를 갖고나서부터는 능동적으로 잘하는 학생들도 존재합니다. 저또한 인기랩에 진학한 학생에 비해서는 학부때 학점이 부족했지만, 졸업할때는 좋은실적으로 졸업했던 케이스고요. 다만, 대다수의 경우는 학점 좋은사람들이 그대로 연구를 잘하는것같습니다.

2022.07.19

ㄴ아 제 댓글이 조금 전투적이었군요...제가 하고싶었던말은 학점이 높으면 결국 성실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뜻이고 사실 학부수준의 지식이 굉장히 난해해서 이해못할정도의 지식은 아니니 다만 수업이나 과제 시험공부를 얼마나 빠짐없이 잘 챙겼냐의 차이죠. 한마디로 각 학교에 학점상위권은 그 집단에서만큼은 굉장히 성실했다?로 인식할 수 있고 성실하면 연구 잘하느냐로 판단하기 어렵지만(이건 또 다른 능력이라고 생각해요) 중간은 간다고 생각해요.

2022.07.19

그냥 성실성 차이라 봄

2022.07.19

학점 높은애들을 못뽑아봐서 잘 모르지만, 모아니면 도라는 의견들이 많더라구요..

2022.07.19

제가 학부 학점이 2점 조금 넘었습니다. 간신히 졸업했죠.
지금은 박사과정중인데 좋은 저널에 1저자 논문도 여러편 내고 포닥 자리도 잡은 상태입니다.
학점과 연구실적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만 그게 또 절대적이지 아니란 것이 제가 산 증인입니다.

대댓글 4개

2022.07.21

동일한입장으로서동감합니다

2023.02.19

저도 학점 2.3으로 산증인2 .미국20위권박사

2023.11.20

학부가 최상위권 아니신가요? ㅋㅋ

2023.11.30

최상위권은 아니고 그냥 대학평준화 되어있는 어느 나라의 모 대학이었습니다. 참고로 저 댓글을 쓴 시점에서 어언 1년 이상이 지났는데 지금은 일본에서 교수로 근무중입니다.
눈치보는 제임스 맥스웰*

2022.07.19

분야에 따라 다를듯

2022.07.19

초반에야 힘들 수 있지만, 어느정도 시간 지나면 다 비슷.
얼마나 열심히 열정적으로 노력하냐에 따라 다름 또한 운도 좋아야하기때문.

2022.07.19

케바케긴한데 교수들이 보통 학점 높은 애들 좋아하는건 수년간 쌓아온 혜안 아닐까 싶음

2022.07.20

학점이 낮은 이유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공부했는데도 낮은 학생 말고 주입식교육과 극도로 안맞아서 낮았던 저같은 학생은 대학원와서 너무 행복하게 연구중입니다

IF : 1

2022.07.20

학점도 다같은 학점이 아닌듯합니다.

1. 본인이 관심있분야의 학점은 A+이고 (과목 1등)
교양이나 다른 관련도 적은 전공이 C인 사람이랑.

2. 평균적으로 그냥 A인 사람이랑

3. 모두 A+ (수석 아니면 차석)

1-2번은 천지차이죠, 간혹 있는 3번은 어딜가든 잘하고

대댓글 5개

눈치보는 제임스 맥스웰*

2022.07.20

서울대 수석이어도 박사때 연구실적 평범한 경우 많든데..흠

2022.07.20

ㅋㅋ 서울대 수석인대 평범한 사람이 많다고요???ㅋㅋㅋ
눈치보는 제임스 맥스웰*

2022.07.20

ㄴ 네 서울대 과탑하고 MIT, 하버드, 스탠 박사가서 논문 많이 못쓰고 그냥 취업하는 사람들 꽤 많이 봤습니다.

IF : 1

2022.07.20

3번이면서 본인 분야에 관심과 열정이 있어야만 성공하는듯합니다.
학점은 정해진 답을 적으면 되는건데, 연구는 어느누구도 답을 줄 수 없으니까요

2023.11.06

학부생들이 공부 잘한다고 공모전 나가서 상타오고 그러는거 아니잖아요
결국 논문도 아이디어 싸움, 결과 싸움인데 가능한 얘기 같아요

2022.07.20

학점보다는 학벌이 믿을만 하고 학벌보다는 연구 실적이 믿을만 하지만, 다 케바케인 것 같습니다.

2022.07.20

케바케인건 맞지만 학부때 학점은 어느학교든 실력보단 성실성을 보는거라고 봅니다. 직접적으로연구를 잘한다라기보단 트러블이 없을 가능성이 높은거죠. 또 저희 교수님도 학점 높은 사람을 매우 좋아하시던데 또 다른 이유가 있겠죠...

2022.07.21

영향도는 있는것 같으나
개인적 경험으로는
학벌좋고 학점 낮은 경우가 학벌안좋은곳 수차석 인 사람들 보다 더 잘했었음

2022.07.22

연구분야, 주제마다 크게 다르죠

2024.02.27

학부 학점이 낮은데 대학원 진학이 가능한가요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