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단순히 학력을 높이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것은 비추하시나요?

2022.07.17

19

5942

학부 1학년때부터 학벌 컴플렉스가 너무 심해 편입이나 반수를 고려하였으나 집안 사정으로 인해 포기했었습니다. 그래도 학점 관리는 잘해서 4점대는 만들어놓은 상태이지만, 학부 졸업 이후 만에 하나 대기업을 간다고 하더라도 은연중에 계속해서 학벌 컴플렉스로 인해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너무나 큰 장애물이 될것 같습니다. 앞으로 연애나 더 나아가서 결혼 그리고 사회적 활동을 할 때 저 자신이 학벌 컴플렉스로 몸부림 칠 것 같습니다.

아직 20대 초중반이라 학벌이라는 요소가 30,40대에 들어서면 크게 중요하지 않고 자산,직업이 훨씬 중요하다는 많이 들었으나지금의 마인드로는 SPK 석사로 진학하여 학벌을 희석하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서울대 기계과 열유체쪽에 운좋게 컨택이 된 상태인데, 이런 마인드로는 대학원 진학 비추하시나요? 대학원은 석사로만 진학할 계획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2.07.17

개인적으론 어떤 이유로든 대학원가서 열심히 하실 생각이 있고 그걸 지킬수만 있다면 진학하는 이유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계기가 뭐든간에 가서 다른사람한테 피해 안주고 성공적으로 졸업하면 됐죠.
염세적인 정약용*

2022.07.17

서울대 석사 간다고 학점 컴플렉스 안 없어지고 학벌 세탁도 안됩니다. 오히려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큼

대댓글 4개

2022.07.17

카이스트도 마찬가지일까요
염세적인 정약용*

2022.07.17

카이는 서울대보다 네임밸류가 더 떨어지니 학벌 세탁용으로는 더더욱 의미 없죠

2022.07.17

카이도의미없습니다. 그나마 님이 가실 랩실이 석사졸업하고취업잘하는 랩실이면 모르겟지만 그게아니라면 그냥...박사까지는 해야 뭐라도햇다고 인정받으실겁니다..

2022.07.18

카이석사에 학벌낮은 빌런들 많아서 역효과인 분위기

2022.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차라리 편입 ㄱ ㄱ 학사편입으로하면 연고대 가능

대댓글 1개

2022.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무도 석사학벌 인정안해줌

2022.07.18

학벌은 죽어도 상승 안됩니다. 근데 카이스트 서울대에서 석사 박사 하면 스펙정도는 됩니다.
하지만 알고있으세요. 타대생은 영원한 이방인입니다. 보통은 사회에서 잘 나갈 때만 자랑스러운 동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그냥 우리 학교에 와서 석사, 박사 딴 사람 정도죠. 잘나가다가 고꾸라져도 마찬가지고.

2022.07.18

컴플렉스 있으면 가세요, 가서 열심히 하면 됩니다. 다들 거창한 목적가지고 대학원 가는거 아니에요

2022.07.18

카이박사해도 학사는 꼬리표로 남습니다
위 댓글 중 이방인이라는 글 맞습니다
주변 skp 박사들 다 저렇게 생각하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2.07.18

저도 카이스트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이공계특수대학이라 그런지 몰라도 박사학위받은 사람은 이방인취급하는 경우는 솔직히 못봤습니다. 특히나 특정랩 출신이라고하면 학부가 어디든지간에 이미 졸업생들도 산학연에서 다들 리더십있게 하고있고, 본인도 어느정도 능력을 받고 졸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학벌컴플렉스는 본인이 학벌디메리트를 무시할만한 본인의 장점을 찾으면 자연스럽게 없어집니다. 제가아는 낮은학부 후배도, 저희랩이 나름 인기랩이다보니 자대생+sp출신들이 대다수여서 처음에는 학교얘기나오면 위축했는데, 본인이 좋은논문쓰고 인정받고나서부터는 학부에 대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더라고요. 오히려 다른연구실에 후배들어왔다고하면 발벗고나서서 도와주고 하는거보면 좋아보였습니다.
학계에 계시면 결국 학벌간판이 아닌 본인실력이나 인품을 통해서 주변에서 인정받게 됩니다.

2022.07.18

석사 박사 간 걸 학벌로 착각하는 사람들 많이 보이는데 가보면 알 거에요. 그런 사람들 보면 역겨워요. 가서 옆에 덜 떨어지는 애가 그런식으로 으스대고 있다 생각해보세요 현타와요.

IF : 5

2022.07.18

거기서 석박사한 다음에 자랑스럽게 내세우시는 것보다 컴플렉스를 고치시는게 연애나 결혼 상대가 보기에도 더 나을겁니다.

2022.07.18

다른분들이 많이 말씀해주셨으니.. 제목엔 학력이라고 돼있는데 학력과 학벌은 다릅니다. 학력은 대졸 석졸 박졸이고 학벌은 서연고입니다.

2022.07.19

학사는 학교에 종속된다면 석박사는 연구실에 종속됩니다. 대학원에서는 같은 학과라도 주변 연구실과는 접점이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A대학 B교수 랩 출신이면 "B교수" 출신인게 먼저 들어옵니다. 자기가 같은 랩 출신이면 친한 선후배겠지만 다른 랩, 심지어 다른 학과이면 그냥 남이죠. 반대로 학부는 학과 학생끼리 교류할 기회가 넓기 때문에 학교라는 이름으로 많이 묶입니다. 그래서인지 학벌은 무조건 출신 학부로만 따지고, 학벌 콤플렉스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학부를 갈아치우는게 가장 빠른 길입니다. 만약 석박을 모 대학에서 했다고, 학벌로 자랑하시면 뒤에서 어딘가 모자란 사람 소리 듣습니다(진심)...

2022.07.19

재미나 호기심 보다 더 강력한 동기 가지고 있네요. 재미요? 호기심요? 오래 안 가요. 가장 오래가는 동기는 결핍입니다. 잘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들어가 보고 잘한다고 생각 들면 박사도 해보세요. 수석 차석 보다 더 무서운 게 결핍 있는 학생들이었습니다.


2022.07.20

학부는 끝까지 남습니다. 석사해도 남고 박사하고 좋은 논문써도 남습니다. 다만 좀 희석되는건 있는것 같습니다.

2022.07.28

박사는 학벌보다는 그냥 연구 자격증 정도로만 보시는게 좋습니다. 실적이 좋고 실력이 출중하면 출신학교가 뭐가 중하겠습니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