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연구실 나가 달라는 제안
2022.06.22
49
14948

저는 박사학위 1학기 중인 학생입니다.
현재 있는 연구실에는 인턴 1학기를 먼저 했었고 본 연구실에 입학을 정한 후 project성 연구를 1개 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연구실을 나가달라는 제안이 커뮤니케이션과 제가 연구를 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어서 생긴 것 같아 현재 박사 중이신분들과 다른 교수님께 자문을 구하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연구 주제는 정해졌고 교수님께서 시키신 부분을 분석하는대 제대로 분석이 안되는 것 같아서 이런 부분에 분석이 안되는 것 같다고 메일을 드린 후 따로 답이 없으시면 제가 다른 논문을 찾아보고 분석해서 랩미팅때 디스커션을 했었습니다.
이런 부분들이 반복이 되니까 fig1이 완성되었을때 제가 주도적으로 분석한 plot이 되었고 제가 느끼기에도 알맹이는 없는 빈 깡통같은 느낌이 드는 fig1이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도 어떻게 지도를 해 줘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씀하시고 분석 속도가 너무 빠르다고 하셨던 것 같았습니다. 저는 잘 하고 싶은 마음에 밤 10시까지 남아서 분석하고 토,일에도 나와서 분석하면서 잘 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디스커션이나 교수님께서 시키신 일도 제대로 마무리 안하고 제가 생각한대로 분석하는 게 문제 였는지 앞으로 같이 하기 힘들 것 같다고 말씀하셨고 만약에 같이 하더라도 나중에 이런 문제가 또 일어 날 것 이라고 이야기 하셨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배제 된 것은 아니고 제가 분석을 계속 하고 있지만 이번 년 안에 서로 맞춰보고 안 맞으면 나가 달라고 한번 더 권유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교수님께서 저에게 나가 줬으면 좋겠지만 이번에 기회를 줄 텐대 이 기회를 넘기더라도 다시 또 다른 문제가 발생 할 것 같다 라고 이해를 했고, 저는 박사과정이 중요하고 졸업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지금 있는 이곳에 계속 있어도 괜찮은지 고민입니다.
연구비지원이나 학비지원, 교수님 인품 등은 모두 좋은 연구실이라서 남고 싶지만 교수님께서 이런말을 하시기까지 많은 고민을 하셨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35
27
16258
김GPT
학부연구생 그만두는 방법 및 조언11
19
10104
-
1
1
2528
김GPT
그만둬야 할까요?3
17
2408
김GPT
인생이 어려워18
8
2653
김GPT
학부연구생의 고민9
15
8395
김GPT
돌려 거절하신거겠죠?....0
12
2232
김GPT
학부연구생 입학할 연구실 이동10
10
2626
김GPT
연구실 변경8
11
4111
명예의전당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89
70
35722
명예의전당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142
26
32069
명예의전당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75
18
1469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IF : 5
2022.06.22
대댓글 15개
2022.06.22
대댓글 1개
IF : 1
2022.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