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나 카이스트는 machine learning 쪽 대가랩 들어가기 쉬운 편인가요?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06.17

24

6434

저는 reinforcement learning이랑 딥러닝 그리고 컴퓨터 비전 쪽에 관심이 많아서 이쪽으로 대가랩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하는 모든 교수님 랩에 무급 리서치 보조 시켜달라고 이메일 보내고 부탁드려봤는데 전부 다 답장이 없으시네요... 제가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UC 버클리로 편입한 케이스라 버클리에서 2년 정도 밖에 못 있는데(2년 넘으면 쫒아내요...) 큰일이네요.... 이제 8월되면 4학년이고 1년 있으면 나가야 되는데 어떻하지... 처음 버클리 올 때는 CS 특히 인공지능 쪽으로는 정말 최고의 대학이니까 이제 랩도 쉽게 들어가고 인생 폈구나 했는데... 미국 대학들은 교수랑 친해지기도 쉽고 대가도 한국보다 훨씬 많다고 했는데 대가가 진짜 많은 건 사실이죠(Pieter Abbeel, Sergey Levine 등등) 근데 그 중에서는 학부생이랑은 연구 안 하는 분들도 제법 되고 또 일단 경쟁이 너무 치열하네요. 특히 Abbeel이랑 Levine 교수님 랩은 지원자가 매학기 거의 100명 정도 되는데 그 중에서 서류 심사로 15명을 추려내고 다시 인터뷰 봐서 3명만 뽑아요... Machine Learning 개론, Optimization 등등 3,4개 과목에서 A+ 받아야 되고 또 다른 수학이나 컴퓨터 과목들도 전부 A 이상이어야 하고 거기다 개인 프로젝트나 과거 논문 쓴 경험 등이 있어야 하고 정말 빡세네요. 미국도 보면 진짜 괴수들은 장난 아니에요. 그래도 나름 인구 3억 5천만에 cs가 잘 나가는 분야라 어릴 때부터 특화(?) 된 애들이 있어서 옆에서 보면서도 와... 하는 애들이 한 둘이 아니더군요. 거기다 전 편입생이라 이거 수업들을 시간도 부족하고...
설대나 카이스트도 이런가요? 요즘 이게 워낙 핫한 분야라 한국 대학들도 그런가 싶네요... 이게 한국 국립대들은 미국처럼 학생들을 막 뽑아대지 않는데 미국은 진짜 주립대들이 미친듯이 학생들을 뽑아서(물론 그렇게 뽑았으니 저도 들어간거겠죠 ㅋㅋ) overcrowded 되가지고 이런 거 같기도 해요.
이럴 줄 알았으면 컬럼비아 갈 걸 싶기도 하네요. 컬럼비아는 GS고 또 버클리가 CS로는 어나더레벨이니까 버클리 가야지 하고 일말의 미련도 없이 버렸는데 1년 후면 이제 나가야 되니까 어떻하지 싶네요. 지금 실적으로는 5년차 석사(버클리는 5년차 석사가 합격 보장이 아니에요...) 지원해도 떨어질텐데.
지원한 랩들에서 1달 동안 답이 없어서 신세 한탄 좀 했습니다... 근데 대가랩만 지원한 것도 아니에요... 다 지원했는데 이러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쑥스러운 밀턴 프리드먼*

2022.06.17

솔직히 버클리에서 straight A 못 받을정도면 spk는 입학도 못한다고 봐야합니다.

대댓글 2개

2022.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버클리 grade deflation 엄청 심한대요...
쑥스러운 밀턴 프리드먼*

2022.06.17

spk 학부 출신인데 제 주변에 유학 목표로 버클리 교환간 애들 다 4.0 받아오던데요 ㅋㅋ

2022.06.17

개빡셉니다. 왜냐면 미리 자대생들이 반년 일년씩 인턴하면서 예약을 해놨거든요
아무리 좋은학생이어도 미리 인턴하던 학생들을 뽑아주는게 당연하죠

대댓글 3개

2022.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설카 다니면 ml 쪽 대가랩에 무급 인턴 들어가기는 쉬운 편인가요?? 여기는 무급 인턴도 무슨 회사 지원하는 급으로 빡세요..

2022.06.18

자대생은 비교적 쉬울수도있는게 아예 학부생 인턴 프로그램이 있고, 미리 정보를 찾아보기도수월하죠.
그래도 빡센데는 힘듭니다

2022.06.18

대가랩은 급여가 문제가 아님… 실력없는애 들어오면 박사생들 시간만 뺏기니까 들어가기 힘듦

2022.06.18

한국도 잘 하는 연구실은 인턴 (무급이든 유급이든) 들어가는 것 부터 경쟁 시작입니다. ㅎ

대댓글 5개

2022.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건 한국도 마찬가지군요... 근데 버클리처럼 체계적으로(?) 경쟁 시켜야 할 정도로 지원자가 많나요? 여기는 무슨 FAANG도 아니고 돈도 안 주면서 이렇게 경쟁시키는 지 ㅋㅋㅋ 아무리 대가랩이라도 그렇지... 경쟁률이 100 대 3 정도네요...

2022.06.18

버클리면 대학원 학부 갭도 상당히 크고 학부생이 워낙 많아서 어쩔수 없는 시스템인거 같네요..

2022.06.18

설카 ml이면 거의다 인기랩인데 인기랩이면 학점 최소 4.1이상맞아야 컨택받아줌
양심적으로 가슴에 손얹고 생각해보셈
님이 설카 상위 10퍼보다 실력이 좋음? cc편입인데?
튼튼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2.06.20

버클리가 학부랑 대학원이랑 갭이 크다는 말은 학부가 수준이 떨어진다는 말인가요? 버클리가 미국 주립대 중에 톱인 걸로 아는데. 아닌가요? 만약 떨어진다면 어느정도나 차이가 난다는 건가요?

2022.06.23

ㄴ버클리 이공계 학부 수준 매우 높습니다 국뽕이 나쁜건 아니지만 지나친건 좀 ㅎ
체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2.06.18

가장 쉬운길을 알려드림.
버클리에서 어느정도 인지도 있는 교수 수업 중 학점 잘받은거 있으면 그걸로 어필해서 추천서 받고, 한국에 지원하면 훨씬 쉬울거임. 대가의 추천서 한 장은 대학원 입학엔 그만한 영향력은 있음.

2022.06.18

뭐하면 신고가 20개 이상 찍힘?

2022.06.18

cc에서 편입한거면 교수들도 님 도피유학인거 다 알아서 입학못할걸요 ㅋㅋㅋㅋㅋ

대댓글 4개

2022.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설카 ml 연구하는 랩들은 전부 설카에서도 상위 10% 이상만 받아주나요??

2022.06.18

ㅇㅇ 최소
걔들은 유학도 포기하고 설카가는거임

2022.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 랩들에서 (설카 학부생으로) 무급 인턴하는 것도 버클리만큼 힘들어요??

2022.06.18

ㅇㅇ 다들 거기 갈라고 하는데 어렵죠

2022.06.18

꼭 대가랩을 가야되는 이유가 있나요? 이미 연구경력 탄탄한 신임교수들한테 가는 것도 합리적인 방향일텐데요

2022.06.18

한국에 관한 건 모르지만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공유합니다. 도피유학으로 cc에서 uc 버클리 편입해서 학사 받고 카네기 멜론에서 석사까지 한 후 지금 미국에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일하고 있는데요. 일단 1학기 정도 늘리는 건 괜찮아요. 저도 인턴땜에 졸업 미뤘었거든요. 그리고 미국에서 딥러닝 쪽으로 취업하실 거면 아예 대학교 내에서 리서치 찾아보는 것도 방법이고 그리고 결국은 석박사가 있어야 할거에요.

2022.06.19

버클리만큼 힘들다 그러시는데 어디 대학이든 대가랩은 사람이 몰리기 떄문에 그냥 힘들어요
님이 다른사람에 비해서 뛰어나 보이는 요소가 없으면 무급이든 유급이든 굳이 뽑을 이유가 없어요

2022.06.23

대체 미국에 있으면서 spk에는 왜? 신경을? 쓰시는? 심심한 주립대학 찾아가도 설포카보다 좋은 연봉받고 지낼 가능성 5천만%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