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ed physics, ee ,ce 쪽에서 할법한 차세대 하드웨어 분야 인데 요즘 들어 고민이 되네요 미국에서도 하드웨어 일 하던 사람들이 코딩테스트 공부해서 소프트웨어쪽으로 전향한다는 소리도 자주 들리고, 워라벨쪽은 어떨련지요 하드웨어쪽은 소프트웨어업계에 비해서 워라벨 별로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산만한 쿠르트 괴델*
2022.04.16
기회는 엄청 많죠. 그런데 경쟁이 그만큼 심해서 딱히 그 쪽으로 방향을 틀고싶지는 않네요..
능력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워라밸이면 몇시 출근했다 몇 시 퇴근하는거 말하는 겁니까? 맡은바 잘 해내면 누가 뭐라할 사람없지만 데드라인 못 맞추면 밤낮없이 일하는거죠. 문제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 예측불가한 일이 많다는 거. 안잡히는 버그로 몇일을 밤새서 일해본 경험을 거치지 않았다면 솔직히 워라밸 지키며 일할 능력이 생기지 않는다 봅니다. 연봉도 마찬가지예요. 이 바닥이 수퍼 개발자하나가 열명 신입 개발자보다 퍼포먼스가 낫다는 믿음이 있어서 잘하면 많이 받고 못하면 많이 못 받죠.
2022.04.16
대댓글 1개
2022.04.16
2022.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