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교수님께서 메일을 주시면서, 이걸 "최대한" 자세하게 분석해서 내 앞에서 발표를 해라.
문제는 논문이 교수님께서 1저자인 것과..
CFD + Numerical Method에 관한 논문이라, 학부생때는 거의 배우지 않는 부분이라..
도저히 읽기가 너무 힘듭니다.
그래도 문헌 찾으면서 꾸역 꾸역 governing equation정도는 이해 했는데, 그 후에
이산화하는 식이라던지.. 이런게 전혀 이해가 안가는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2.03.20
"당연히" 학부생 수준에서 논문을 100% 이해하리라는 기대는 교수님도 아마 안 하실 겁니다.
다만 이 학생이 논문을 읽기 위해서 얼마나 공부했는지,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주로 보려고 하실거기 때문에 저는 잘 하고 계시다고 봅니다.
제가 읽는 팁을 드리자면, conclusion 부분을 먼저 보면, 이 논문에서 어떤 이유로 이 논문에서 하려는 것을 제안했고, 그를 위해 어떤 실험을 설계했는지, 그 결과는 어떠했는지에 대한 flow를 파악하신 뒤에 전체 맥락을 파악하시면 조금이나마 이해에 도움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응원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3.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감사합니다.
면담 인터뷰라서 최대한으로 잘하려고 하고 싶은데
시간도 촉박한지라 배운것도 없어서 욕만 먹을거 같아 침울했는데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봐야 겠습니다.
IF : 5
2022.03.20
학생한테 100% 알아오기를 기대하고 안했으면 욕하는 교수라면... 경우에 따라 거르는것도 나쁘진 않을겁니다. 님도 분위기 파악하는 자리라고 생각해보세요.
2022.03.20
윗분들 말씀에 동의하면서 몇가지 첨언하자면, 보통 논문을 쓸 때
1. 인트로에 분야의 연구 동향 및 이 논문의 연구 동기, 대략적인 흐름이 나오고
2. 그 다음부터 자세한 맥락 및 방법론, 분석,
3. 결론
이 나오는 것 같아요.
방법론이나 분석의 자세한 내용까지 전부 습득하는 건 시간이 걸리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최대한 따라가 보자는 자세로 임하시되, 1, 3 의 내용 정도는 분명하게 파악해서 발표하는 걸 목표로 해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2022.03.25
음 안 끝났다면 해당 분야 아시는분께 도움을 구하는 것도... 방법이라면 방법이겠네요. 저도 비슷한 경울 도와준적 있는데 맞는가 싶으면서도 대학원생들한테 그리 어려운 내용은 아닐꺼라서..
2022.03.20
대댓글 1개
2022.03.20
2022.03.20
2022.03.20
2022.03.25
대댓글 1개
202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