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일본학부유학 괜히했다..

2022.02.21

30

12208

기업들 박사대우 진짜 별로네.

기업풀 넓은건 좋음, 소니 파나소닉 NTT 미츠비시 후지쯔 도시바 TEL 히타치제작소 캐논 니콘 올림푸스 등등 연구소들 규모도 크고. 현행사업(ex.반도체 미세공정)등등에서 경쟁력을 잃으니 튼튼한 내수를 바탕으로 돌파로를 찾기위한 미래산업에 투자를 계속함 파워일렉트릭,양자암호, 양자컴퓨터, 양자통신, 3D반도체집적등등.. 많은 중견기업들이 기초산업분야(특히 소재, 부품)를 잘 받쳐주고 있기도하고.

근데 대학시스템은 진짜 구리다
복수전공 부전공? 그딴거 없음 전과? 이론상 편입시험 봐서 자기대학으로 다시 편입학 하는 수 밖에 없음.대학원 stipend 같은거 없고 RA, TA해봐야 용돈줌.
박사진학생들 일본인들 없음 석사 하는동안 기업 인턴, 기업연구(근속년수 업무환경 연수입등등 따짐) 하면서 면접준비하고 2학년 6월쯤에 가게 되는 회사 내정받고(입사 확정) 석사논문 후다닥 쓰고 졸업하고 튐 대학원 진학률 높다? 그래봤자 박사 수는 바닥치고있음. 이과는 학사취업하면 문과랑 똑같은 영업직으로 배율 높은 입사경쟁하게 되니까 기술개발직 하려고 석사까지만 다 하는거지. 박사생들은 다 중국 대만 홍콩 사람들임 우수한 자대생같은건 손에꼽음 도쿄대만 봐도 박사생들 일본인보다 중국인이 더 많을듯 특히 전기전자공학쪽 ㅋㅋㅋㅋ

좋은점, 고등학교 이과 교육과정 넓어서 입학할 때 모든학생이 어느정도 알고 있으니까 모든학생이 공통적으로 대학교 1,2,3 학년까지 전공 교양 다 듣고 4학년때 연구실 배정받고 비교적 빠르게 연구 배울 수 있는거?

솔직히 후회된다 그냥 한국으로 대학 갈 걸...대학원 한국으로 리턴칠까? 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2022.02.21

박사생이 대부분 외국인인건 미국도 비슷합니다.

대댓글 3개

2022.02.21

사실 이게 못난 생각인걸 알지만 익명이니 정말 솔직한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미국 대학원에 입학하는 외국인들이랑 도쿄대 교토대등 일본대학원에 입학하는 외국인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갖춘다고 생각을 못하겠습니다. 도쿄대 전기전자공학 시험 문제들 영문인데 관심있으시면 보셔도 좋아요 https://www.eeis.t.u-tokyo.ac.jp/education/pdf/problems_2021/2021-problems/2021-problem_1.pdf

https://www.eeis.t.u-tokyo.ac.jp/education/pdf/problems_2021/2021-problems/2021-problem_2.pdf

problem_1 problem_2 여기서 1 2등등 숫자만 바꿔서 3 4 5 , 마지막 problem_6 까지 주소에서 숫자만 바꾸면서 보시면 되고 이중에서 2문제 선택후 풀이합니다 학제간전공 많아져서 자기 학부전공에서 다루는 문제들을 골라풀게하는 취지라고 합니다.


2022.02.21

저는 대학원 입학 문제들이 도쿄대 명성에 비하면 분명 초라하다고 생각해요

2025.07.29

대학원 입시 만으로 대학 수준이 결정되는 건 아니 잖아요. 그럼 그 학교에서 내는 실험과 결과에 대한 아웃풋은 뭘로 설명합니까.

2022.02.21

일본 기업들의 박사 대우가 안 좋다는건 익히 듣긴 했는데 연봉 등에서 차이가 나는거야? 구체적으로 어떤 면에서 안 좋은지 궁금함.

대댓글 5개

2022.02.21

입사 후에도 석·박사 등 고급 인재들의 전문성은 제대로 평가받기 어렵다. 30세 전후의 평균 연봉을 비교하면 일본은 학부 졸업 인력이 418만 엔(약 4580만 원)으로, 석사의 524만 엔과의 차이가 1.25배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 석사 평균 연봉은 763만 엔으로, 학부 졸업생과의 격차가 1.4배, 박사는 915만 엔으로 1.68배까지 각각 확대된다.

또 일본 기업들은 고학력자 채용을 꺼려 일본 박사 학위 소지자의 75%가 대학 등 연구기관에 소속돼 있다. 이는 미국에서 박사의 40%가 기업에서 일하면서 혁신의 원동력이 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1831455

일본회사의 신졸(학사 석사 졸업예정자)를 포탠셜채용하는 사회 풍조(학점등등 낮더라도 학벌이 좋다, 1~3년정도 연수등으로 가르치면 일을 잘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니 뽑아야지),

종신고용(요즘에는 희망퇴직 모집, 실적안좋은 사람들 인사부 면담, 퇴사 안한다하면 가정꾸려놨는데 지방발령, 공장으로 보내버리기 등등 술수를 부린다는 소문은 있지만),

연공서열(성과급 비중이 적고 직책순으로 월급 지급, 요즘 신흥강자인 키엔스같은 기업은 성과급 비중이 강하다고 하지만)

이게 일본의 역사깊은 대기업에는 여전히 남아있는 문화인데요, 제 생각에 연공서열인점이 큰 듯합니다 월급이 신입사원일때 거의 포닥만큼 받는수준 석사 세전 230~250만원 정도? (이때는 연수기간) 그러고 입사 5년차 10년차 15년차 에서 월급이 큰폭으로 상승하는게 보편적인데. 박사는 입사년차가 석사보다 3~4년 늦게되는데 박사인 경우에 석사보다 월급 40만원 정도 더 높게 시작하는게 끝이라 그런 것 같습니다. 입사년차 3~4년을 늘리는게 처음 40만원 더 받고 시작하는 것보다 훨~씬 이득인거죠..

2022.02.21

기업이름 박사 석사 박사-석사 초봉격차 (만엔)
三菱ケミカル 30.8 26.5 4.3
昭和電工 30.8 25 5.8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 29.8 25.6 4.2
住友化学 29.6 25.71 3.89
信越化学工業 29.35 24.95 4.4
三井化学 29.25 24.95 4.3
旭化成 29.151 24.889 4.262
日産化学 29 25.88 3.12
富士フィルム 28.83 26.36 2.47
帝人 28.56 25.05 3.51
クラレ 28.32 25.67 2.65
日本ゼオン 28.1 25.005 3.095
宇部興産 27.92 24.8 3.12
ADEKA 27.816 25.329 2.487
積水化学 27.675 24.2 3.475
デンカ 27.6222 24.7447 2.8775
ダイセル 27.43 24 3.43
カネカ 27.2 24.04 3.16
東ソー 27.0827 24.5366 2.5461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 27 23.54 3.46
タカラバイオ 26.5 24.5 2
花王 26.35 24.31 2.04
東洋紡 25.65 23.9 1.75
小林製薬 24.933 23.409 1.524
平均値(평균치) 28.09 24.86 3.23

アルバック 30.05 22.65 7.4
日本電気 29.3 23.95 5.35
イビデン 28.897 24 4.897
ソシオネクスト 28.785 24.15 4.635
東芝 28.6 23.95 4.65
キオクシア 28.6 23.95 4.65
電気興業 28.4 23.75 4.65
東芝キャリア 28.3 23.65 4.65
富士通インターコネクトテクノロジーズ 28.255 24 4.255
ユナイテッド・セミコンダクター・ジャパン 28.255 23.95 4.305
アンリツ 27.55 24.1 3.4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 27.25 24.15 3.1
TDK 27.2 23.95 3.25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 27.18 24.21 2.97
GSユ

2022.02.21

https://doctorbusinessperson.com/doctor_salary2/3618/ 출처인데 자료가 일본어라 불편하시다면 죄송합니다

요지는 석사와 박사의 초봉차이가 60만원 나면 크구나~ 정도를 말씀드리고자 긁어왔습니다

2022.02.21

저도 일본어는 어느 정도 할 줄 알아서 괜찮습니다. 일본도 세전으로 계산하는게 일반적이지요? 현지에 사는 친척에게 얼핏 들어본 적은 있는데 박사 기간이 한국/미국보다 짧다는 것을 고려해도 초임 자료가 충격적이긴 하네요.

2022.02.21

그래도 일본 대학에서는 박사를 아주 빠르게 주는 편(석사 없이 3-4년?)으로 아는데 박사 취득 후 한국 기업으로 리턴하는걸 생각하면 오히려 이득 아닐까요? 특히 전자 쪽에서는 삼전/하이닉스가 최소 연 8-9천 정도는 주는걸로 아는데 3년먼저 고연봉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얼핏 생각해도 2.5억 정도는 이득인거 같네요. 동경일공 수준이면 아무래도 학벌에서 디메릿은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2022.02.21

전자만 그런줄 아나. 기계는 더 심하다. 요즘 뜨는 로봇이나 인공지능 이런 연구실은 그래도 일본애들이 대부분이던데 딴 연구실은 파리 날리는게 현실

2022.02.21

기초과학이 탄탄한 일본에서 박사 대우가 안좋다는건 굉장히 의외네요.

2022.02.21

댓글 정보가 많아서 추천

2022.02.21

저도 일본에서 학교 다니지만 님 글 공감해요 ㅋㅋㅋ시스템 유연하지 못한거랑.. 일본이 취업이 잘되기도 해서 일본애들은 박사 진학 잘 안함 ㅋㅋ 좋은 점 비교적 빠르게 연구배울 수 있는 것도 공감 ㅎㅎ 님보고 말하는건 아니지만 일본유학온 한국 유학생들 보면 도피유학생들도 많음. 심지어 일본 내 상위권대학인 구제국대 다니는데 인서울 못해서 왔다던가.. 와세다같은덴 일어 1도 못하고 그냥 온사람도 있고 ㅋㅋ 박사갈거면 미국가세요! 박사진학할 때 일본학부가 한국학부보다 더 나을 때가 있음 ㅋㅋ
얌전한 밀턴 프리드먼*

2022.02.21

후배인가 보네. 일본애들 한국에 비해 유학 거의 안해서 일본학부 나오고 미국유학가기 훨씬 쉬운데 준비나 제대로 하길. 선배들 MIT, Stanford 급 가는 사람 엄청나게 많은데 그분들 롤모델로 따라갈 생각 안하고 허송세월하고 앉아있네. 일본은 석사는 다 가서 들어가기 어렵고 박사는 진학률 낮은건 맞음.
얌전한 밀턴 프리드먼*

2022.02.21

그리고 대체 복수전공 부전공이 왜필요한지? 자기전공하나 똑바로 하면 다행이고 수업 듣고 싶으면 다 들을 수 있는데 Certificate 같은게 그렇게 가지고 싶은건가? 도쿄대 국비펀딩 오지게 많아서 석사조차도 상위 30퍼에만 들면 200-300 챙겨줘서 석사 지돈내고 생활비 쓰는 애가 없을텐데? 제발 대학원 한국으로 리턴치길 바란다. 제발제발 후배로 쳐오지 마라

대댓글 7개

털털한 찰스 배비지*

2022.02.21

실드치시고 싶은 마음 이해는 가지만,, 복수전공 부전공은 꼭 필요한 제도라고 봅니다. 성적표 들고 다니면서 자기 학부때 무슨 수업 들었는지 일일히 설명할거 아니잖아요? 복전했으면 학위가 뭐뭐있다 이런식으로 말하는게 일반적이죠. 미국 탑스쿨 학부생들은 복전 하는 경우 굉장히 많습니다.

2022.02.21

미국 상위권 학부 나왔는데 복수전공 도움 많이 됐습니다. 어차피 학부생 때 석사 박사 수준으로 배울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해당 분야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져서 실무에 쓸 수 있을 정도만 배우면 족한데, 굳이 복수전공을 막아두는 게 필요한가요?

저는 관련은 있지만 다른 두 분야를 복전하면서 기초를 쌓고 박사는 두 분야 모두 활용 중인데, 복수전공이라는 제도가 없었다면 굳이 학부생 때 이런식으로 모험을 해보지도 않았겠죠. 게다가 미국은 복수전공하는데 학점 경쟁 같은 것도 없고 전공 요건만 채우면 인정 돼서 한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조합으로 복전하는 친구들 많았습니다 (인문대 + 공대, 예대 + 공대 이런식). 그 경험으로 스타트업 차려서 잘 살고 있는 친구들도 많고요, 지금 와서 생각하면 한 academic discpline에 메이지 않는게 오히려 미국 산업의 힘이 아닌가 싶네요. 물론 한분야를 깊게 파고 싶으면 단일 전공으로 깊게 파고 싶으면 그렇게 해도 됩니다. 저처럼 관련분야 두개를 전공하면서 조금 더 넓고 깊게 파고 들어도 되고요 (제 경우는 아니지만 예를 들면 comp sci랑 neuro 복전하는거죠). 학교측에서 학생들의 옵션을 제한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얌전한 밀턴 프리드먼*

2022.02.21

켈빈 님. 포인트는 2가지 였습니다. 말씀하신 해당 분야의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져서 실무에 쓸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 <- 타학부 수업 다 열려 있고 청강 들을 수 있습니다. 들으면 됩니다. 졸업 시 졸업장에 적혀 나오지 않을 뿐입니다.

기본 지식 쌓을 수 있는 타학부위한 코스웍 등은 일본에도 있습니다. 사실상 일본에서 졸업장 찍히는 복수전공이 없는 이유는 취업이 상대적으로 쉬워서 스펙경쟁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미국에서 경쟁률 수천 대 1에 인맥 없으면 지원도 하지말라는 MBB? 준비하면 노력여하에 따라 충분히 갈 수 있고 일본학부나온 한국인들도 많이 갑니다.

2022.02.21

단순히 청강이 가능한것과 복전을 제도적으로 마련해놓는 것과는 다르죠. 청강은 관심 있는 수업 몇개를 듣는 것으로 만족하는 학생들이 많고, 복전이라는 제도가 없으면 그 이상으로 푸쉬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습니다. 복전을하면 청강이 아니라 실제 전공하는 수준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청강 서너 수업 듣는게 아니라 요건을 다 맞춰야 해요. 특히 미국은 주전공 복수전공 구분이 없고 그냥 전공 두개인겁니다.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찰스 배비지님께서 말씀하신 실용적인 부분도 있고요.

2022.02.21

참고로 미국도 당연히 단일 전공하면서 다른 분야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 많습니다. 그럼에도 디파트먼트의 요건을 맞춰가면서 그 학과의 수업을 최소 12개씩 듣고 일정 학점까지 따야하는 복전과는 차이가 상당히 나요. 제도적으로 다르면 동기부여 및 학생 관리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가 나게 되는데 단순히 청강하면 되지로 치부할건 아닙니다. 실제로 복전이 일반적인 국가에서 경험을 안해보셔서 단순 학점 교류나 다른 과의 수업을 듣는 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것을 못느끼시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 산업의 저력이라고 했을 때 MBB를 입사하냐 마느냐의 개인 성과로 말한게 아니라 수많은 스타트업들과 남들이 시도하지 않은 것을 시도해보는 분위기를 말한겁니다. 미국 상위권 학생들은 스타트업 진짜 많이 차리고 실패하더라도 실패가 경력으로 되어 기업에 들어가거나 다른걸 시도하는 등, 한국 및 일본보다 훨씬 자유롭습니다. 경제적인 면도 있겠지만 학풍에서 오는 차이도 분명 있다고 봅니다.

2022.02.21

스펙경쟁이 없어서 복수전공 제도가 없다는건 말이 이상한데요..? 일본사람들은 일본 안에서만 사나.. 뭐 일본애들 보면 그 나라 안벗어나려고 하긴 한다만 ㅋㅋ 청강하면 되지라고 하는데 그것도 말이 이상하고 위에 켈빈님 말 다 공감합니다.. 댓쓴이는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를 가지신듯. 그리고 동경대는 국비펀드로 200-300 이나 주나보네요. 유학생장학금 중 괜찮은 국비문부성이 박사 월 145만 원밖에 안주고 특별연구원도 월 200이고 일본 석사애들은 장학금 유학생에 비해 받기 어려운줄 알았는데..
얌전한 밀턴 프리드먼*

2022.02.21

확실히 제가 꼰대가 되어서 너무 단순하고 공격적으로 말한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복수전공이라는 제도에 대해서 겪어 본 바가 없어서 제도 그 자체가 가지는 장점을 과소평가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미국쪽에도 1-1.5년정도 가게 될 것 같은데, 자유로운 문화 잘 배워보겠습니다.
놀란 리처드 파인만*

2022.02.21

일본 애초에 성장이 멈춘 나라아닌가

대댓글 1개

2022.02.22

중국빼고 선진국들 다 그렇죠 뭐, 안정적인게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2022.02.22

지금 보니까 좀 심술나서 새벽에 글 타다닥 쓴거 같네요 여전히 대학 시스템에 불만은 마음속에 남아있지만 그렇다고 일본을 무시하거나 그런건 전혀아니고 일본은 미국과 다른나라니까 일본이 반드시 미국식 시스템을 추종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소니는 박사대우가 좀 다른듯도 하고 (연봉이 구체적으로 정해져있지 않아요)

미국박사 유학 준비를 사실 하고 있기는 합니다. 근데 일본학부가 왜 유리하죠 일본에서 미국유학 적게나가는거랑 무관하게 어차피 미국 랩 자리는 중국 인도 한국 학부생들이랑 경쟁하는거 똑같은거 아닌가요 (일본 할당제 같은게 있는건가 ㅋㅎㅎ;) 진짜면 좋겠네요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2.22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10년대만 해도 한국 학부는 서울대 카이스트 정도 아니면 미국에서 그닥 이름값이 없었기 때문에 (역사가 짧아서) 한국에서 상위권 학부라고 해도, 인지도가 낮아서 유학시에 상위권 학부가 갖는 메리트가 크게 없었거든요. 일본 학부는 그런 면에서 비교 우위에 있으니 댓글에서 그런 말씀 하신거 아닌가 싶네용..

2022.02.23

ㅇㄱ으로 TIT 왓는데 공감세게됩니다

대댓글 2개

2022.02.28

형님 ㅅㅇㅅ는 어떠십니까…

2025.07.29

나기혁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