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정도면 정신병인듯
인천대 가천대보다 낮은데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38 - 과고시절 돌이켜보면 그 안에서도 어떤 친구는 압도적 재능으로 자습때 맨날 잠만자도 성적 잘 받고, 어떤 친구는 극성엄마가 학원 뺑뺑이 돌려도 중하위 못벗어남.
뭐 동창충 최하위들도 연대 성대는 갔으니 그친구들도 똑똑한 애들이긴 했지만..
무튼 머리 팍팍돌아가는 반짝반짝한 친구들은 누가 가르쳐도 잘 하고, 나중에 크고보니까 환경적으로 부모 재력/학력/유전도 중요하지만 모나지 않게 기르는 극단적이지 않은 집안분위기도 엄청 중요한 것 같음.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0 - 뭔가 국가별로 연구자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을 나열한 느낌인데 진짜 별로임 ㅋㅋ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3 - 1억에 평타 이상 논문 1~2편임. 1천에 1편은 말이되나ㅋㅋ 연구비 1억에 열편이나 쓴다고? 석사 1인 인건비만 해도 연 1천만이 넘는데?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바이오고 지금은 포닥중입니다. 저도 작성자분과 동일한 고민을 꽤 많이 했었고, 실재로 선배든 후배든 학위과정에서 동일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저는 이런 의문이 드는 이유가 바이오가 갖고있는 특성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과학은 정확한 메커니즘과 증거 및 재현 등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바이오는 그 특유의 복잡성 때문에 완전히 이해하고 무언가를 행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오분야는 특히나 변인통제에 힘을 쓰는 형태로 발전해 온 것이겠죠.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작성자분의 고민은 바이오분야라면 누구나 갖고있는 고민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받아드려 그 안에서 확실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 완전한 실험 디자인을 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물론 한 분야를 깊게 파다보면 소위 말하는 통찰력이라는게 생겨 그 찍기가 맞을 확률이 상당히 올라가긴 합니다.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9 - 댓글 보면 한국이 왜 이런거는 후진국인지 알수있음. 대학원 갔으면 학부 학벌 타령할 시기는 지났는데 아직도 학부타령하고있음 ㅋㅋㅋ 주로 실적 부족한 애들이 학벌 타령하는듯.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0 - 딱딱하게만 보면 그냥 아쉬운 쪽이 접고 들어가는 것이긴 한데, 그래도 요즘 애들이 영 부탁하는 법을 잘못배운것 같아요.
"교수님, 제가 집안이 경제적으로 넉넉치 못해서 알바를 하고있는데 인턴과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면 어떡해야하는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정도면 될텐데..
존경받는 스승과 성실한 제자 이런 낭만이 점점 사라지는게 아쉽긴 합니다.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2 - 인턴을 뽑지를 말던가 뽑아놓고 일도 시키면서 무급으로 부려먹을 생각 하네 ㅋㅋㅋㅋ 생각하는 수준이 노가다에서 사람 뽑아놓고 배운다고 생각하라고 하면서 돈 안주는거랑 똑같음.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5 - 니가 교수 입장이 되어봐라 인턴 깔짝하고 타대 지원하려는 애들이 9할이다. 뭔 일 시켜 ㅋㅋㅋ 학부생 인턴한테 무슨 일을 시켜???? 수준도 안되는데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0 - 그래 뽑지 마세요 그럼 ㅋㅋㅋㅋ 인턴 뽑아주는게 자원봉사한다고 생각하는 교수가 있는데 진짜 노가다 반장이랑 마인드랑 하는말이 똑같음.
그게 뭐 본인들의 한계인듯.
나는 학부생 애들 최대한 챙겨주고 최대한 월급을 주려고하는데 안그런 사람이 많다는게 안타깝네. 보상에 대해 물어보는거 자체가 기분잡친다는 사람은 진짜 인성 글러먹은듯.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5 - 별로에요 누른사람은 속이 1평남짓인듯 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9 - 결과 나오지도 않았는데 속이 어떻게 1평인데 ㅋ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11 - 진짜 대학원 입학보다 랩실 컨텍이 어려워요
저라면 컨택된 포스텍으로 팝니다.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8
일본학부유학 괜히했다..
2022.02.21

기업풀 넓은건 좋음, 소니 파나소닉 NTT 미츠비시 후지쯔 도시바 TEL 히타치제작소 캐논 니콘 올림푸스 등등 연구소들 규모도 크고. 현행사업(ex.반도체 미세공정)등등에서 경쟁력을 잃으니 튼튼한 내수를 바탕으로 돌파로를 찾기위한 미래산업에 투자를 계속함 파워일렉트릭,양자암호, 양자컴퓨터, 양자통신, 3D반도체집적등등.. 많은 중견기업들이 기초산업분야(특히 소재, 부품)를 잘 받쳐주고 있기도하고.
근데 대학시스템은 진짜 구리다
복수전공 부전공? 그딴거 없음 전과? 이론상 편입시험 봐서 자기대학으로 다시 편입학 하는 수 밖에 없음.대학원 stipend 같은거 없고 RA, TA해봐야 용돈줌.
박사진학생들 일본인들 없음 석사 하는동안 기업 인턴, 기업연구(근속년수 업무환경 연수입등등 따짐) 하면서 면접준비하고 2학년 6월쯤에 가게 되는 회사 내정받고(입사 확정) 석사논문 후다닥 쓰고 졸업하고 튐 대학원 진학률 높다? 그래봤자 박사 수는 바닥치고있음. 이과는 학사취업하면 문과랑 똑같은 영업직으로 배율 높은 입사경쟁하게 되니까 기술개발직 하려고 석사까지만 다 하는거지. 박사생들은 다 중국 대만 홍콩 사람들임 우수한 자대생같은건 손에꼽음 도쿄대만 봐도 박사생들 일본인보다 중국인이 더 많을듯 특히 전기전자공학쪽 ㅋㅋㅋㅋ
좋은점, 고등학교 이과 교육과정 넓어서 입학할 때 모든학생이 어느정도 알고 있으니까 모든학생이 공통적으로 대학교 1,2,3 학년까지 전공 교양 다 듣고 4학년때 연구실 배정받고 비교적 빠르게 연구 배울 수 있는거?
솔직히 후회된다 그냥 한국으로 대학 갈 걸...대학원 한국으로 리턴칠까? 하.......
대학원을 사기당했다.. 김GPT 82 27 33212
일본 대학원다니는데 김GPT 35 55 29630
문과인데 설카포 대학원왔다 김GPT 4 5 8585
직장다니다가 대학원왔는데, 김GPT 3 6 9020
한 대학원 이야기 김GPT 23 23 17668-
36 14 11017 -
43 11 32938
일본대학->국내대학 편입 고민 김GPT 0 22 11568
불편한 진실 김GPT 15 25 6852-
100 53 106950 -
219 30 80819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97 12 1060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3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4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22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8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7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37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4 - 카이스트 가을학기 서류 결과
3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편입하면 학벌은 전적대와 편입한대학의 중간이 되나요?
27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12 -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3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24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12 - 진학에 뭐가 문제일까요?
11 - 회로설계 랩실 어느 정도로 힘든가요? 이게 정상인가요.?
9 - 카이스트 오늘 1단계 합격자 나오니까 무섭네요
11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5 -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4 - 대통령과학장학금
20 -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21 - 할 거 없어서 정리해본 국내 대학 QS 공학계열 종합 순위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3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4 -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22 - 컴퓨터공학과 대학원생 특
18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7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37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4 - 카이스트 가을학기 서류 결과
3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02.21
대댓글 2개
2022.02.21
대댓글 5개
20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