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산업공학 vs 컴퓨터 공학

2022.01.23

13

10489

안녕하세요. 저는 통계학과 출신으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쪽을 희망하고있습니다.

계속해서 딥러닝, 머신러닝 공부를 해오고 논문을 읽어보다보니 프레임 워크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에는 어느 정도 해결력을 갖고있습니다. 하지만 학부가 통계이다보니 CS쪽 기본기(OS, 알고리즘)가 아무래도 부족한 상태입니다.

공부를 계속해오다보니 스스로 부족함을 느끼고 더 깊게 알고싶어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그래서 여러군데 찾아보다보니 컴공 뿐만아니라 산공에도 데이터마이닝 랩들이 많이있더군요.

저는 실제 현장에서의 데이터를 통해서 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싶은 마음이 아무래도 순수 개발자나 리서쳐로의 길보다는 조금 더 큰 것 같습니다. 컴공이 인공지능 분야를 지향함에 있어서 더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긴했지만, CS 쪽이 부족한 것도 있고 코스웍을 보니 저로써는 조금 난감하기도합니다.

현재 진학하고싶은 랩들 중에 하나는 산공, 하나는 컴공 랩을 찾았습니다. 산공랩은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에서 아주 유명한 랩입니다. 제가 원하는 AI 분야로 여러 연구들을 하고있는 것을 확인했지만 공정쪽?도 섞인 느낌이 듭니다. 컴공은 제가 원하는 분야에서 아주 깊게 들어간 연구를 주로 하는 랩입니다. 확실히 연구쪽의 전문성이 강한 것 같습니다.

여기서 질문을 드리고자합니다.

1. 이제 곧 컨택시기가 다가와 결정을 해야하는데, 미래의 취업이나 향후 진로를 생각한다면 어디가 제게 적합할까요?

2. 산업공학 대학원의 랩 진학시의 단점들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3. 산공은 기존에 있는 도구를 조합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 컴공은 그 도구를 만드는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생각이 혹시 틀렸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똑똑한 막스 플랑크*

2022.01.23

1. 무조건대학원
3. 맞음

대댓글 1개

2022.01.23

감사합니다. 혹시 1번 중에서 컴공과 산공 중 어떤것이 더 좋을까요?

2022.01.23

컴공이 더 적절하실거같군요

대댓글 1개

2022.01.23

감사합니다. 혹시 구체적인 이유가있을까요?

2022.01.23

우선 산공은 너무 마이너하기도 하고 학부생도 적어서 저희학교에서는 타대생이 많은 랩이라는 느낌이 있어요.
근데 연구실보고 결정하시는게 맞지않을까싶긴해요.

대댓글 2개

2022.01.23

감사합니다. 제가 본 랩은 타대이고, 인공지능쪽에 중점을 둔 랩입니다. ai쪽에서 수요가많은 랩이라면 괜찮을까요?

2022.01.23

수요가 많든 적든, 본인이 뭘하고싶은지에 따라 달라지겠죠.
거기 졸업생진로나 구성원수준, 논문수준등을 비교해보세요. 과 자체는 컴싸가 더 메이저하지만 특정연구실에 한해서는 산공랩이 훨씬 퍼포먼스도 좋고 진로도 좋을수도있으니까요.

2022.01.23

진학하고자 하는 산공과 랩에서 최상위 인공지능 학회 논문이 나오는 지 살펴보세요. 메니저이냐 마이너를 결정하는 것은 학과의 이름이 아니라 연구분야와 해당 연구분야에서 실적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1.24

산공과에서는 방법론 개발보다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화, 머신러닝/인공지능 응용 논문을 더 많이 쓰기 때문에 최상위 AI 학회가 주 타겟은 아닙니다. OR MS 분야 학술지가 주요 타겟이죠.

2022.01.24

학문적인 시너지는 통계+산공이 좋은 것 같습니다. 마이너 하지만 그렇게 커리어를 가지는 분들이 있고요. 학부때 배운 통계기법들 잘 활용하실 수있을꺼에요. 코딩쪽은 본인이 꾸준히 관심가지시고 노력하시면 어느정도 수준에는 도달하실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하이레벨로 올라가면 논리. 이론베이스인데 더더욱 산공 추천합니다

2022.01.24

컴공 학부, 산공 석사 출신인데, 꼭 그런건 아니지만 보통 제조 기반 중심과 IT 기반 중심으로 나눠지는 것 같네요. 그리고 공부하는 건 크게 차이는 없는데 산공쪽이 돈이 되는 기술(산학연계)이나 기업을 설득하는 측면으로 수리통계적 해석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큰 경향이 있습니다.

저는 산공 추천드립니다. 컴공랩의 코딩실력 평균치를 따라가는 데만 최소 1~2년 걸릴겁니다. 컴공은 학부시절에도 4년내내 밤새도록 코딩만 하고 살아요.
단점은 실험시간이나 Computation 같은 CS관련 이슈생길때 지도교수님이 이해를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설명해드리는 데 애 좀 먹었네요.

2022.01.25

산공 난 비추...진짜 근본없고 솔직히 하는 내용보면 좋은 학부다닌다면, 동아리에서 할 내용정도가 석사 졸럽 논문 수준임...

대댓글 1개

2022.01.26

어딜보고 말하는 건지 모르지만 그건 그 연구실 문제임. 우리 연구실만해도 탑티어 저널만 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