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Google scholar citation,h index

2022.01.12

21

4233

교수님의 google scholar Citation, h index가 40000, 100이 각각 넘으면 설카 포기하고 갈 만한가요..? 뭐 논문 쓰는것은 자기재량이지만 교수님 보고 학교 네이밍 버린다고 생각하는게 괜찮은 선택이 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도도한 윌리엄 켈빈*

2022.01.12

저라면 설카갑니다

2022.01.12

교수님 이름만 들어도 알 정도가 아니라 굳이 h-index를 찾아봐야했을 정도라면, h-index 100이 잘못 계산됐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름이 흔하거나 잘못 분류된 저자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두거나 중복계산된 것 그냥 두는 분들 많습니다. 대학원을 수능 배치표 보듯 숫자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논문 제목과 초록만이라도 한 번 쭉 보고 판단하는게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1.12

hcr 1%연구자로 선정되셨을 만큼 연구력은 높으신것 같습니다. 논문은 읽어봤고 제가 연구하고 싶은 주제이긴 했습니다. 단 학교 네임이 걸렸습니다
정직한 로버트 보일*

2022.01.12

h-index 100 넘는 학자가 한국에 있나요? 그정도면 아무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거 같은데 그 정도의 대가면 대학 간판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대댓글 3개

2022.01.12

제가 본 바로는 서울대,카이스트에서 꽤 몇 분 봤었는데 교수님 인지도는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신 것 같아요.. 학교가 걸리는 점에 고민이 되어 올렸습니다
정직한 로버트 보일*

2022.01.12

... H-index가 100이상인데 어떻게 교수 인지도가 낮나요? 10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100개 이상이라는건데 그정도면 거의 그 분야 만든 사람일거 같은데요

2022.01.12

아 분야 사람들은 잘 아실것 같은데 보통 이 분야 아니면 모를 것 같았습니다

2022.01.12

100넘으면 그냥 가야죠. 보통 그정도면 몇 없는 대가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1.12

학교 자체 elsevier에서는 90후반대로 나오는것 같아요. 학교만 아니면 고민이 없을텐데 그렇네요.. 참고하겠습니다
뻔뻔한 임마누엘 칸트*

2022.01.13

영남대 인가요?

대댓글 2개

뻔뻔한 임마누엘 칸트*

2022.01.13

쩝.. 영남대에 그런 세계 탑 교수님이 있어 혹시나 해서 조언 주려 했더니 내 댓글만 씹혔네 ㅎㅎ

2022.01.13

영남대는 아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IF : 2

2022.01.13

글쎄요... 그 실적은 교수님의 것이지 제자들 실적이 아닙니다.
그러니 그 연구실 학생들의 논문 퍼포먼스를 봐야죠.
그 랩 소속 박사과정이나 출신 박사들의 논문 실적을 보세요.
만약 제자들이 1저자고 교수님이 교신저자인 논문이 많고 또 인용횟수가 높다면 리스크를 안고도 갈만하겠죠. 그게 아니라면 굳이...

대댓글 5개

2022.01.13

보통 10개 내외 논문을 쓰고 있고요 주저자 2~3편쯤 되요. 거의 교신저자인거 같고, 공동교신저자도 좀 봤네요. 어렵군요

IF : 2

2022.01.13

어떤 분야일지는 모르겠지만 주저자 2~3편이면 많은건 아닐것 같네요. 그렇다면 SKP를 포기하면서 까지 갈건 아닙니다...

2022.01.13

이게 보니까 요즘 박사들은 그렇고 예전에 교수된 박사님들이 계셨는데 주저자 15편 내외에 총 30편쯤 쓰셨네요.. 애호하는 제자가 있으신가..

2022.01.13

현재 학생들이 주저자 2-3편 정도씩을 이미 갖고 있다는 거면 괜찮지 않나요?
졸업까진 기간 남은 거니 더 나온다는 이야기고, 박사 졸업 때 5~6편 정도만 되면 양은 적지 않은 편일테고 논문 퀄리티가 문제겠지요. 졸업하고 나서 밀려 나오는 것도 좀 있을꺼고요. 물론 10편 넘고 이러면 양에서도 플러스니 더 좋겠지만요.
랩으로 봐서는 교수가 거의 교신이나 공동저자고 현재 학생들이나 졸업해서 나간 학생들이 일저자나 공동일저자인게 반 이상이면 좋은 상황일듯.

2022.01.13

대댓글을 잘못 달았습니다
아랫 댓글 봐주세요

2022.01.13

논문은 if로 봤을때 최상급은 많이 없어도 상급을 많이 쓴것같았어요 일저자가 반 이상은 요즘 박사들 보면 좀 어려워 보이고 고민되네요..

2022.01.14

솔직히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피인용 4만, H인덱스 100이면 SKP에도 몇 없는 대가에 준하는 교수인건 맞습니다. 뭐 교신이나 학생이 어쩌구 저저구 해도 쉽게 이루기 어려운 경지에요.

2022.01.16

H대 ㅅㅇㄱ 교수님인가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