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으로 거르고 난 후에 학벌을 보지, 학벌로 거르고 난 후에 실적을 보는 곳은 내가 거쳐온 곳중엔 없었음.
물론 학벌이 좋을수록 실적도 좋을 경우가 일반적이기는 한데, 그 반대 경우도 무시하지 못할만큼 자주 등장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바보같은 알프레드 노벨작성자*
2021.12.29
아, 나는 대기업에 있다가 학교로 옮겼음
2021.12.29
맞긴한데,잘 풀리는 졸업생들은 spk에 몰린기분임(굇수는 제외한다면,,,)그냥 졸업생현황보면 최근 졸업생들이야 기업으로 대부분 가니 다 삼전이랑 엘화는 기본 베이스에 좀 연차 지난서람들은 정출연,교수,포닥 이렇게되던데....기업,연구에서 수요가 많은 학부라 그런걸수도있지만...
2021.12.2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요즘 지방대(국,사립) 나와 취직하기 쉽지가 않아서( 이과 일부 제외)특히 문과는 공기업, 공무원 시험 떨어지면 갈 곳이 마땅치 않고.. 규모 작은 중소기업은 들어가서 1년 안에 이리갓다 저리갓다 옮기기 바쁘고
그런 모양
2021.12.29
나오고 나면 그런데 애초에 연구비나 그런게 좋은 학교에 더 빵빵해서 장비빨 많이 타는 분야일수록 학벌 높여야 유리함. 입학하는 친구들은 그래도 좋은학교 갈려고 노력하는게 맞는거 같음.
대댓글 1개
2021.12.29
동의함, 좋은학교 갈려고 노력 + 합격 후 노력하는 사람이 최고임
2021.12.29
난 현직 대기업인데, 거꾸로던데? 학벌 >> 업적 ㅋㅋ 쓴이때랑 세월이 많이 바뀌었나보네
대댓글 1개
IF : 5
2021.12.29
공감하고 갑니다. 대기업은 실적 진짜 안봄... 연구핏의 의미라면 연구실정도는 보기도 함
IF : 1
2021.12.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건 헛소리임. 실적을 우선으로 보는 곳은 SKP 정도밖에 없음
낙천적인 니콜라 테슬라*
2021.12.30
대기업은 연구핏, 학부학벌, 출신 랩을 제일 중요하게 봄. 실적은 솔직히 신경안쓰는데 실적 좋은 사람들이 포닥+교수로 대기업에서 많이 이직하기 때문에 너무 좋으면 왜 지원하냐고 물어볼 수 있음.
학교는, 실적이 압도적이라면 학벌이고 뭐고 다 씹어먹을 수 있음. 근데 압도적인게 쉬운게 아냐. 요새 연구중심대학 임용되는 사람들 보면 학벌도 개쩌는 사람들이 NS급 1편이상과 탑저널 4~5편이상 가지고 있음(분야따라 다름). 즉 NS급 1편 및 탑저널 4~5편을 가지고 있어야 임용되는 사람들 평균이라는건데 압도적이려면 이보다 더 좋아야겠지?
실적이 중요하다고 하고 맞는 말인데 보통 학벌도 좋고 실적도 압도적인 사람이 경쟁자로 한명씩은 꼭 있을거임. 교수는 3천명 중 100명을 뽑는 자리가 아니고 30명 중 1명을 뽑는 자리거든. 양적으로 뛰어난 사람, 질적으로 뛰어난 사람 등등 엄청 많음. 실제로 실력으로 학벌을 이겨낸 아웃라이어들 있지.
아랫 글에 SPK학석박이 낫냐 국숭세단 학사+스탠포드 박사가 낫냐 그러대. 할 수 있으면 후자가 낫지. 근데 전자는 1년에 천명씩은 나오는데 후자는 1년 5명은 나오나 싶네.
물론 학벌 이겨내고 교수되는게 이 정도로 까지 극단적이지는 않기는 함. 실적이 학벌보다 우선된다라는 말. 말은 맞음. 근데 그걸 실제로 해내는건 괴물들인거야.
대댓글 7개
IF : 1
2021.12.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숭세단+스탠포드 박사가 spk 학석박보다 국내 임용시 낫다고 볼 수 없음.
전자의 경우 대부분 국내에서 경쟁할 실적 만들기 힘들어서 해외 취업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음.
물론 그게 더 좋을수도 있고
낙천적인 니콜라 테슬라*
2021.12.30
저도 임용 좀 아는데 국숭세단+스탠포드 박사면 같은실적일때 지거국+인서울대학은 몰라도 연구중심대학은 임용되기 SPK 학석박 보다 쉬울겁니다. 국숭세단+스탠포드 박사가 없어서 문제지.
낙천적인 니콜라 테슬라*
2021.12.30
애초에 연구에 뜻을 둔 사람들은 아웃라이어 끼리 경쟁이라 지거국 및 연구 불가능한 인서울 대학은 생각 안합니다.
낙천적인 니콜라 테슬라*
2021.12.30
혹시 제가 학벌낮아서 실적으로 넘어설 수 있다고 자위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니 전 S대에서 공깡에 자장면 점심때만 한정해서 팔때(중도에 삐에스몽떼 있을때, 혹은 팩차기 했을때) 학사 했습니다.
IF : 1
2021.12.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반적인 경우 스탠포드 박사가 spk 학석박보다 양적 실력이 나을 수가 없다는게 문제지
양적 실적이 비슷하다면 전자가 훨씬 잘한거고
낙천적인 니콜라 테슬라*
2021.12.31
그건또 착각인데요. SPK 학석박 1년에 1000명이라 치면 지거국 이상 교수급 실적 나오는 사람 100명도 안됩니다. 나머지는 회사가거나 정출연가거나 하는거에요. 국숭세단+스탠포드 박사 1년에 5명도 안되겠지만 5명 중 한 명은 그정도 실적은 나올겁니다. 나머지 4명은 회사가겠죠. 애초에 스탠포드 박사를 붙을정도 되면 기본 능력자체는 SPK 학석박보다 나쁘다 할 순 없어서 비율로따지면 실적 잘나오는건 비슷해요. 어차피 둘 모두 20%도 안됩니다. 그러니 실적 잘 나온 경우로만 생각하는 겁니다. 아니면 둘다 교수급 실적안나온 경우로 생각하던지요. 하나는 실적 잘나온 경우 하나는 안나온 경우 생각하면 당연히 실적 잘나온게 유리하죠.
낙천적인 니콜라 테슬라*
2021.12.31
그리고 솔직하게 말하면 지금 임용시장 상황 엄청 안 좋습니다.
실적좋은 포닥들은 차고 넘치는데 현직자들도 이직하기 위해 몸부림 치고 있습니다. 면접가보면 대상자 상당수가 현직이에요. 교수좋다는 말도 이제는 어느 수준 이상에서나 적용되는 말이고, 개인적으로는 지거국 이상으로 임용 못 될 바엔 삼성전자 과장으로 가는게 훨씬 나은 것 같아요.
2021.12.29
2021.12.29
2021.12.29
2021.12.29
대댓글 1개
2021.12.29
2021.12.29
대댓글 1개
2021.12.29
2021.12.30
2021.12.30
대댓글 7개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0
2021.12.31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