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생명과학과 의과학쪽 연구가 어떻게 다른 것 같나요?

2021.12.09

7

2607

일단 제가 느끼기엔
생명과학은 기본적인 생명 기초 원리를 밝히는 느낌이고..
의과학은 질병과 관련된 내용과 치료를 탐구하는 느낌이다만..

랩실 이곳 저곳을 찾다 보면
두 분야의 연구 주제가 많이 다르지 않은 느낌이어서요.
생명과학분야의 랩실에서도 임상적인 실험으로 biomarker를 찾거나 병리관련된 내용을 하는 곳도 있고 의과학쪽도 질환과 관련하여 기초적인 수준부터 임상까지 스펙트럼이 넓은 것 같은데

아직 제가 파악하기엔 생명과학과 의과학이 어느 점이 확실이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차이가 많나요??

병리에 관심이 많은데 굳이 분야를 나누지 않고 대학원을 탐색해도 되는 것인지 아니면 두 분야가 확실히 목표나 과정, 방향성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저보다 많이 아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
조금이라도 아신다면 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12.09

아직 제가 파악하기엔 생명과학과 의과학이 어느 점이 확실이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차이가 많나요??

보시기에 별 차이없는건 다 연구비 때문입니다.
질환과의 연관성이나 경제성이 없으면 귓밥이 생겨나는 원리나 계문강목강속종 나누는 것에 전혀 연구비 지원 안됩니다. 그리고 너무 순수한 생명과학이면 대체적으로 저널 IF도 떨어져서 그래요.

차이야 생명과학도 넓은 스펙트럼이니 의과학과 생명과학은 다를텐데 암세포주로 분자생물학 실험하는 거진 다 질병기전 관련 건들겁니다.

그래도 병리에 관심있다면 의과학대학원 들어가는게 낫습니다. 병원의 자본력은 생과대의 설비를 압도하고 귀한 환자 샘플들 받기 쉽습니다.

대댓글 1개

2021.12.09

덤으로 기초의과학자 같은 프로그램으로 들어오는 의대 졸업하신 분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영감을 얻기 용이합니다.

2021.12.09

"굳이 분야를 나누지 않고 대학원을 탐색해도 되는 것" -> 대학원은 랩바랩.... 학과 이름이 크게 중요하지 않음...

대댓글 1개

2021.12.09

왜 이러한가는... 한국의 대학의 모든 학과는 세부전공 당 한두명 교수님 밖에 없음. 그러다보니 생명과학과나 의과학과나 전공이 비슷비슷. 어떤 전공이 유행할때 모든 대학과 학과가 한명씩 뽑음.

그래서 대학원은 랩바랩

2021.12.09

참고로 카이스트경우 의과학이 생명과보다 월등히 실적이 좋아요... 탑급 저널 비교불가입다

대댓글 1개

2021.12.09

거기도 몇몇 분들만 그러함

2021.12.10

그 몇몇분이 있냐 없냐 차이..
최근 5년 CNS만 뽑아봐도 답 나옴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