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neurips 한국 78편 kaist 45편

후회하는 하인리히 헤르츠*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1.11.05

7

4586

도대체 어떻게 하길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11.05

학생이 제일 많으니깐. 학생 수로 나누면 비슷할 듯

대댓글 1개

2021.11.05

몰라서 그러는데 학생이 몇명인데? 질적으로는 몰라도 양적으로는 페킹대가 60편이니 거의 말도 안되는 수준인 거 같은데 ..

K 최근에 임용된 모 교수는 탑 3편 세컨티어 3편 정도인데 이정도면 졸업전에 교수보다 더 많이쓴 학생 10명은 나오겠네

2021.11.05

무슨 말인지 모르겠음 ㅠㅠ 흥분해서 답글 쓰는 듯

대댓글 2개

2021.11.06

님이 이쪽 분야 사람이 아닌가보네요.
요즘 유명랩에서 나오는 성과보면 ㅎㄷㄷ 하긴 합니다.
석사 신입생도 탑티어 쓰는 거보면, 유명랩 출신 사람들 졸업할 때는 어지간한 교수님들보다 많이 쓸 것 같아요 ㄷ

2021.11.06

ㅋㅋㅋ저 말을 왜 이해 못하는지 모르겠네요 ㅠㅠ 그냥 무지해서 그런 듯

2021.11.08

1저자만 세야지. 카이 30편 언저리임. 뉴립스 논문들 많이 읽어보고, 뭐가 붙고 뭐가 떨어지는지 파악하셈. ICLR는 리뷰가 다 공개되니까 어떤게 붙고 어떤게 떨어지는지 알 수 있자나.

개인적으로 한국사람들은 족보나 기록이 있는거에 팔로우업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잘함. 뉴립스 붙을 정도의 논문을 찍어내는건 공식이 정해져 있음.

예상 했다싶히 정확히 그 메커니즘을 답습해서 연구를 하고 있음. 도전적인 선택을 해서 창의적은 연구를 하는 것은 아직도 한국이나 카이나 둘 다 잘 못하고, 잘 하려고 하지도 않음.

편수로 세는건 아무 의미가 없음.

대댓글 1개

후회하는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1.08

36편이던데 그거도 많은 거 아닌가? 창의적인 연구와 그렇지 않은 연구를 갈라낼 수 있다면 임의의 ICLR, NeurIPS 논문을 보고 그게 한국 저자인지 아닌지도 판별할 수 있겠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