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4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0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최근들어 사기업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맞습니다.
2021.10.15
18
10472

그리고 또 놀랐던 것은 최근들어 박사학위자들이 많아지면서 사기업 입사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예전에 관련된 내용을 들었는데 박사학위를 서포카에서 받아도 회사에서 필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채용 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물론 저도 정출연이 목표지만, 정출연은 최근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때문에 채용 규모가 확 줄어들었다고 하고요. 또 학계로 진출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데에 반하여 그 리스크와 그 메리트가 그닥 크지 않다는 생각 때문에 애초에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연봉인상률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이제 삼성전자에 과장으로 입사하면 영끌할 때 1억 1000만원 가까이 수령한다는 걸 보고 저도 생각이 좀 달라지고 있습니다. 워라벨도 그렇고 근무지도 그렇고 복지도 그렇고 사기업에 입사하는게 그렇게 안좋을 것은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반면, 학계 (정출연, 교수)에 진출하려면 해외 포닥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이고요. 만년 유령 포닥이 될지 그 누구도 모르는데 이 리스크를 이겨낼 자신도 저는 사실 없긴 합니다.
물론 가고 싶다고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향후 5년안에 삼성전자가 망할지 안망할지는 그 누구도 모르는 거지만 제가 졸업할 쯤에 만약 더 삼성전자의 비전이 밝다면 사기업으로 가고 싶네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대기업 vs 교수 중 고민이라면29
80
21695
김GPT
대학원생들의 착각9
19
10723
김GPT
사기업에서도 대학원생 실적 엄청본다6
17
6496
김GPT
대기업 취업과 대학원 석박1
9
2756
김GPT
연고대가 포항공대 아무리 까내려도24
16
13744
김GPT
요즘 박사후 진로 선호도가 어떤가요?1
12
1486
김GPT
사기업 연구원24
7
4794
-
6
11
7070
김GPT
과연 인기분야 대학원생이 좋은것일까3
5
1411
명예의전당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81
30
33926
명예의전당
저 미국 교수입니다192
84
57924
명예의전당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31
33
1909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1.10.15
2021.10.15
대댓글 2개
2021.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