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전기에 yk의 뇌공학과 컨택에 완료된 학부 4학년입니다.
원래는 자대 (SSH)에서 BI를 공부하려했으나 좋은 기회가 되어 타대로 가게 된것인데요.
뇌공학과에 대한 인식과 전망이 정말 천차 만별이라 만감이 교차합니다.
뇌신경영상에 관하여 컴퓨팅하여 연구하는 분야를 공부하게 될 것 같은데
석사로 얻어내기엔 시간이 너무 짧을수 밖에 없는분야다.
뇌공학과가 수요는 굉장히 적어서 특장점이 없는 이상 취업이 힘들다.
라는 의견이 있고
그건 BCI인 경우다.
석사 까지만 한다면 오히려 의공학 분야에서 CS를 많이 뽑는다.
라는 의견도 있네요.
이 분야는 석사까지로는 취직이나 성과를 내기에 어려운가요?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날카롭게 말씀해주셔도 겸허히 받아들일 것이니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다정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1.09.10
영상은 다릅니다. 영상쪽은 실력 좀 있으면 취직 잘되구요, 뇌공학 뇌과학쪽도 분야가 워낙 다양하기때문에 이런부분 주의해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근데 개인적으로 BI면 Bio informatics인것 같은데... bioinformatics하다가 왜 굳이 뇌영상을? 이라는 생각은 제 개인적으로 많이 드는 것 같습니다... 계기가 있으신건가요
대댓글 4개
2021.09.10
주위에서 워낙에 sky아래는 대학원 가는것 아니라는 말을 많이해서요...
그리고 데이터 마이닝쪽을 어필해서 두 분야 얻어낸거라 대학원 진학후에는 어딜가든 열심히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뇌공학쪽은 레드오션이라는 말을 들어와서 착찹했네요...
영상은 많이 다른가요...?
다정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1.09.10
skp아래로 가지말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sky 아래로 가지 말라는말은 못들어봣습니다. 어찌됏든 뇌공학이 레드오션이라는 말은 처음듣구요, 실력이 양극화되어있음을 많이 느껴서, 못하는 사람들끼리끼리 레드오션임은 어느정도 맞는 것 같긴 하네요. 그리고 저는 영상처리가 뇌공학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굳이 뇌공학필드에 묶어서 생각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2021.09.10
잘은 모르겠지만, 연대에 바뇌과가 있나요? 의공학과라하면 바로 원세대소리 듣는데..
솔직히 대학원단에서보면 서성한에서 연고대로 옮기는건 해당랩이 정말 퍼포먼스가 좋지않는이상 의미없는것 같네요.
그리고 어느학과든지 석사까지해서 좋은퍼포먼스 내는곳 거의 없어요.
2021.09.10
세세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럼 영상처리는 의공학프로그래밍의 한 종류라고 보는 것이 더 나을까요?
2021.09.10
그럼 칸트님께서는 둘중 어느곳을가도 괜찮다고 생각하시나요??
2021.09.10
한국에서 뇌공학은 카이스트 바뇌과가 가장 열심히 하지 않나요?
2021.09.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은 자대로가서 대기업 취업하는쪽이 빠르고 안전할것 같은데... 자대 연구실 잘 알아보고 판단하세요
SSH 연구실 보니까 보통랩만 되어도 대기업은 대부분 가는편이든데....석사졸은 큰 연구논문 쓸 기회가 많지 않아요, sci 1~2편 쓰고 졸업 논문쓰면 석사 잘 하는겁니다..자대가서 대기업(연구소)이나 국책연구소(일부)로 가는쪽 정상적인 루트같음
대댓글 1개
2021.09.10
뇌 의료영상처리는 비젼이 별로인가요?
2021.09.11
뭘 하고싶은지 잘 생각하고 진학하세요
저희 랩실은 MRI나 EEG를 딥러닝으로 분석해서 진로도 주로 대기업 인공지능 연구실로 갑니다
2021.09.10
대댓글 4개
2021.09.10
2021.09.10
2021.09.10
2021.09.10
2021.09.10
2021.09.10
2021.09.10
대댓글 1개
2021.09.10
2021.09.11
대댓글 1개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