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 학벌에 대해서 대충 경험담

IF : 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1.08.17

3

5809

국내외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면서 국내 국립대, 상위 사립대, S대, 미국 주립대, 아이비리그, MIT 학부애들까지 같이 일해보고 씀


1. 학부 학벌이 좋으면 "대체로" 더 똑똑한건 맞음. 이해가 빠르고 응용이 빠르고 일처리 진행이 빠름.
물론 전반적인 경향이고 개개인 차이는 존재함

2. 학부 학벌에 따라 리딩/라이팅 실력이 크게 차이나는 경우를 꽤 겪음. 말해보면 나름 똑똑하고 일도 잘하지만 정작 라이팅을 시켜보면 심하게 엉망인 애들이 많음. 즉 일의 성격에 따라 학벌이 별 영향이 없을 수도 있고, 크게 영향받을 수도 있음.

3. 학부 학벌이 좋은 경우 결과적으로 연구실적도 좋은 경우가 많음. 고등학교 동기들 중 굉장히 많은 수가 연구중심대학 교수가 되었음. 박사때 우리 전공에 한국애들이 10명 정도 있었는데 학부가 2명이 P, 나머지는 모두 S였음. 그 중 상위 정출연 1명, 미국 테크기업 2명을 제외하고 모두 대학 교수에 임용됨.

4. 하지만 본인의 노력, 운빨, 그리고 정치력도 성공하는 데에 굉장히 중요함. (학계가 아니라면 오히려 이편이 더 중요할듯) 같이 일할때 '저 사람 머리 나쁘다' 라고 느낄 정도의 사람들도 몇 있었는데 나름 좋은 데 자리잡았음.

5. 일단 자리를 잡으면 자리가 사람을 만들기 때문에 학벌따위는 아무래도 상관 없어짐.



정리하자면 학부학벌이 엄청 중요한건 아니지만 학부학벌이 좋으면 능력이 전반적으로 좋은 것은 당연한 사실이고
상위 그룹으로 올라갈수록 평균학벌이 올라가기에 그 평균학벌 이하라면 색안경끼고 볼 수도 있음
하지만 노력해서 실력으로 충분히 뒤집을 수 있고, 일단 자리 잡으면 자리가 사람을 만들기에 학벌 신경 안써도 되는듯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눈치보는 마르틴 하이데거*

2021.08.17

대체로 공감

2021.08.17

대체로 맞는 말

IF : 1

2021.08.17

한국인 구글러 분이 왜 한국인이 구글에 많지 않냐는 질문에 한국인들이 구글에 지원을 많이 안하기 때문이라고 하셨던게 생각나네요.

저도 좋은 학부를 나오지 않았는데, 그 안에 있으면 정보는 물론이고 비전이 너무 좁아져요. 어떤 좋은게 있는지 모르고, 그냥 대기업 가는게 마치 인생에 정해진 경로처럼 느껴지게 되더라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