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사회나가시면 학벌(학부/대학원)과 실적 모두 중요합니다

2021.08.16

23

9363

김박사넷에서 매번 조금 안타까운게 특정의견이 너무 한쪽으로만 기울어서 생각하시는것 같아서 말씀드립니다.
특히나 학벌이 중요하냐, 실적이중요하냐를 놓고 말할때, 양쪽모두 한가지만 너무 강조하는것 같네요.
참고로 저는 spk 박사 졸업생이며, 학부나 학벌부심을 상당히 싫어하기는 합니다.

다만, 졸업하고 사회나가시면 학부/대학원 간판은 무시못합니다.
한 예로, 적어도 제 주변에서 본 적지않은 케이스에 한해서는 spk에서 박사학위받으면 최소한 대기업은 갑니다. 물론 타대학에서도 대부분 박사학위자가 대기업은 무난하게 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삼전같은곳에서도 spk박사학위자들은 책임으로 들어가는등 혜택이 알려져있는데, 현직이 아니라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그럼 여기있는 대부분의 분들이 원하는 직장인 교수/정출연에 대해서 말해봅시다.

교수직을 할때는 당연히 실적이 좋아야 하며, 학부/대학원이 중요하다는것은 모두 잘 아실겁니다. 거기에다가 해외박사, 혹은 해외포닥 경력이 없으면 흠이 되기까지 하죠.
따라서, spk내에서도 어차피 프닥으로 임용되는 케이스는 거의 없고, 대부분이 해외포닥을 나가거나, 정출연에 있다가 임용된 케이스입니다. 해외포닥으로 나가는건 연구실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경험상 spk내에서도 10%도 안되는것 같네요.
해외포닥 나갈때는 추천서/실적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원간판이 크게 중요하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교수로 임용될때는 최소한 어느정도 되는 학부(적어도 지원하는학부보다는 1~2라인 위)에 최소한 국박의경우에는 spk인것이 좋습니다. 물론 연고서성한/-ist 출신분들도 좋은대학에 임용하신분들도 있겠죠. 제 주변에도 세네분 계시고요.
근데 최소한 제가본 이분들은 실적이 모두 어나더레벨입니다. 대학원간판따위로 꼬투리잡히지 않는 실력이신 분들인데, 그냥 아웃라이어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어쨌든 교수임용시에는 학부/대학원 간판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정출연으로 볼까요. 정출연에 막상 가보시면 생각보다 출신 대학원/학부는 다양합니다. 특히나 학부는 정말 다양합니다.
대부분 졸업시기가 잘맞고, 연구결이 잘 맞고, 같이 연구해봐서 일할법 하고, 연구실적이 괜찮은 사람을 뽑습니다.
근데 메이저 정출연으로 가보면, 확실히 spk출신의 비율들이 높아집니다. 이분들이 spk 타이틀때문에 뽑혔다고 생각하지는 않으나, KIST는 s랑 코웍을 많이하고, KIMM/ETRI는 k랑 코웍을 많이하는 등, 커넥션 때문일거라 생각합니다.

여기분들이 어떤 직장을 원하시는지 모르지만, 많은분들이 원하는 좋은 직장에 spk출신들이 많은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그분들이 spk라서 됐기보다는, 잘하는 사람을 뽑았더니 spk 출신이였네 라는 관점이 큰것 같습니다.
하지만 박사학위를 받은이후로, 적어도 spk에서 박사학위를 받은이상 큰디메리트는 없습니다. 저는 못느껴봤지만 다른 박사분들의 말을 들으면 비spk면 실적등을 통해서, 본인이 spk보다 잘할수있는 역량을 보여줘야되다고 하소연 합니다.
저또한 비spk출신 박사분들중 너무잘하시는분들 많이봬서 학벌이 사람의 실력을 대변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평균적으로 볼때는 그래도 spk 출신들은 최소한의 검증은 마친사람이다 라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있는것 같네요.

여튼, spk내에서도 결국 정출연/교수로 가는케이스는 적고, 졸업생들 중 퍼포먼스가 좋은 사람들입니다. 최소한 학벌만으로 좋은직장을 얻은케이스는 못봤습니다.
결론적으로 대학원간판 덕분에 조금 기회가 많거나, 편한건 있겠지만 어차피 좋은직장을 갖는사람은 실력이 있는사람들 입니다.

여튼, 대학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최대한 본인이 좋은퍼포먼스를 낼수있는 곳으로 가시되, 저는 최대한 좋은학교로 가시는게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미 대학원과정중이신 분들도, 너무 학교간판만 믿지 마시고, 어차피 본인이 졸업하려면 열심히 해야됩니다. 실적과 학벌, 두가지다 좋은게 가장 베스트겠지만, 결국 박사학위받으면 본인 실력과 인품으로 평가받습니다.
다들 겸손하시고, 주변에 최대한 적 만들지 마시고(나중에 어떻게든 보게됩니다), 좋은 실적쌓으시면 모두 한분야의 리더가 되실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1.08.16

너무 장황하게 말한것같으니
1. 전반적으로 서포카 박사학위자에 대한 인식(최소 검증은 받은 사람)은 존재함. 이건 타대보다 물박사 비율이 적은 이유일수도 있음.
2. 어차피 정출연을 목표로 하면 spk내에서도 실적이 좋은사람이 감. 학벌만으로 좋은직장을 구하는건 불가능함.
3. 교수임용 목표시, 학부/대학원, 미국출신(박사/포닥) 세가지를 실적만큼 중요하게 봄. 비spk출신 교수는 실적이 학벌에 대한평가를 뛰어넘을 정도로 잘하는 분들임.
이정도겠네요.

2021.08.1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대학원 석박사 학위(학벌) + 연구실적 = 그사람의 역량으로 평가 받는다 이 말씀인 모양이네요
ㅎㅎㅎ 설명하신다고 고생했어요, 객관적인 자료인것
같네요,,,,그후는 개인/부서 실적 +인성(대인관계, 처세술) +운+(학벌, 인맥) = 승진역량이 되고,,,대충 그런것 같아요
능글맞은 장자크 루소*

2021.08.16

어차피 경쟁상대가 해외 유학파인데, 정량 실적은 비슷하다 하더라도 유학파들이 시그니쳐 논문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음..

2021.08.16

음.. 뭔가 제목이랑 내용이 조금 안맞긴 한것 같네요.
(1) 평균적으로 skp 출신이 실적이 좋은 편이다. (2) 사회에는 이러한 이유로 skp 출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skp출신이 좋은 자리를 차지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체로 skp 출신에 비해 실적이 매우매우 앞서는 경우다. (4) 그러니 가급적 대학원은 skp를 노리는 것이 좋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대댓글 1개

2021.08.16

같은 흐름으로 미국유학파에 대입해도 될 것 같네요.

2021.08.16

39에 spk박사 마치면 대기업 가능할까요?? 반도체 소자쪽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8.16

가능합니다.

2021.08.17

둘다중요한거 모르는 사람있음? 다아는 얘기를

대댓글 2개

2021.08.17

ㄹㅇㅋㅋ
대학원은 몰라도 학부는 평생가는건데

2021.08.18

모르는 사람도 있더라구여ㅎㅎ
깔끔한 플라톤

IF : 1

2021.08.17

이런 글을 써도 다시 똑같이 글들은 올라옵니다. 실제적으로 학벌 운운되는 글이 계속 올라오는건 딱 정확한 답을 원하거나 설득을 받는게 목적이 아니라 '이런저런 아웃라이어 있으니까 나도 될까요?'라는 마음의 공감을 받고 싶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치 수능 게시판에서 '지금부터 빡공하면 서울대 가능하냐?'와 같은 맥락의 죽을때까지 도는 떡밥이고 속시원하게 정답을 내려줄수도 없는 문제임.
쇠약한 아르키메데스*

2021.08.17

미국 top 50 공대 한국인 교수 출신학부 현황

서울 69명
연세 14명
KAIST 10명
서강 6명
고려 한양 5명
POSTECH 4명
성균관 3명
중앙 인하 아주 2명
이화 부산 경북 광운 동아 1명

대댓글 5개

눈치보는 그레이스 호퍼*

2021.08.17

서울대가 압도적이고 2등이 연대네
쇠약한 아르키메데스*

2021.08.17

정확하게는 서울대 미만은 하기 나름

2021.08.17

서울대가 의대 압도하던 시절 이야기 ㄷㄷ

2021.08.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중앙 인하 아주가 2명이고 이화 부산 경북 광운 동아 1명이면 최소인원인 3명, 5명보다 적으니 중앙인하아주랑 이화~동아를 같은 라인으러 묶어서 퉁쳤다는 얘긴데 훌리ㄷㄷ 중앙인하아주 중에서 2명이면 한 학교는 0명이라는건데 교묘하네 속이네
쇠약한 아르키메데스*

2021.08.19

난독임? 각 2명, 각 1명 인원수가 동률이라 같은 선상에 둔 것이고 아래 링크에 실명까지 나와있으니 판단은 알아서 하셈

https://m.cafe.daum.net/wangoutput/KZhk/39

2021.08.17

So what?

2021.08.17

그럼 학부 지잡인 저는 인생 망한걸까요

대댓글 2개

2021.08.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21081/

2021.08.18

https://phdkim.net/board/free/21081/ 방금 읽어봤는데 작성자분 댓글이 ㄷㄷㄷ

2021.08.19

안녕하세요 전전 4학년입니다

중앙대학교(자대) 인기랩에서 연고대 인기랩 가는것도 확실히 차이가 있을까요?

자대로가면 성적장학금 2년동안 받습니다
재빠른 프란츠 카프카*

2023.09.21

90년대 초반생 매년 70만명 출생아수
90년대 후반생 매년 50만명 출생아수
03년생 40만명

한학교당 정원 3000명,

의치한 1만등
서포카 2만등
연고 한서성 3.5만등
중시인아홍 5만등
건경동 6만등
숭국세단 8만등

90초반년생 3.5만등 상위 5퍼 = 연고 한성서
03년생 상위 10퍼 = 연고 한서성

90초반년생 상위 15퍼 10만등 = 수원대 평택대
03년생 상위 15퍼 6만등 = 건국 경희 동국 라인

ㅋㅋㅋㅋㅋ
심지어 90년초반에는 의치한 지금정원 반밖에안됨.

요즘은 학벌이 무의미한정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