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Nature machine intelligence 등 ai 저널 수준?

2021.06.28

18

9683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분야로 이제 막 들어온 대학원생입니다.

최근 다양한 논문들을 접하면서 학회들의 서열을 파악하고 있는데요, 저널과 학회의 수준차 가늠이 힘드네요...

일반적으로는 저널보다 학회를 더 높게 친다 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nature machine intelligence와 같은 상위 저널의 경우에는 어떠한가요? Cvpr, nips 등등 최상위 학회와 비교했을 때 비슷하게 보는게 맞을지요?

뭐.. nature 같은 경우는 최근 보이콧도 일어났었다고 듣긴 했는데.. 사실 딱 떨어지게 평가하기는 힘들 것 같긴하네요..

훌륭하신 인공지능 관련 연구원님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나른한 로버트 보일*

2021.06.28

교수님께 직접 여쭤보는 게 좋습니다. 교수님들마다 최상위 학회의 기준이 달라요.
나른한 로버트 보일*

2021.06.28

그리고 저널의 경우에 TPAMI와 JMLR 말고는 가치있는 저널인지 잘 모르겟소요.....
나른한 로버트 보일*

2021.06.28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인공지능이 워낙 핫하기 때문에 한 분야를 파기 시작하면 뭐가 제일 중요한 논문인지 정리해 주시는 분들이 많은데 (called: reading list) 이 논문들이 실리는 곳이 탑컨퍼입니다.

대댓글 2개

무심한 막스 플랑크*

2021.06.28

본문 잘 읽어보세요. 글쓴이는 "저널"을 묻고 있습니다.
나른한 로버트 보일*

2021.06.28

ai에서 저널을 왜봐요
호탕한 장자크 루소*

2021.06.28

올해 점수보면 알지.. Nature MI 한편 쓸 수 있으면 영광일듯..
활기찬 그레이스 호퍼*

2021.06.28

아직 초창기라서 Nature MI 어느정도급이라고 말하기 애매한듯한데.. AI는 아니지만 분야는 겹치는 곳인데 저희쪽은 굳이 거기 안쓰긴해요.
나른한 르네 데카르트*

2021.06.28

Pami가 최고지

2021.06.28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뭔가 확실한 대답이 안나오는거로 봐서는 최상위 학회보다는 조금 낮게 보는게 맞겠네요.... 어중간하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집니다..ㅋㅋㅋ
놀란 레오나르도 다빈치

IF : 1

2021.06.29

최상위 컨퍼 보통 억셉률이 15-20퍼쯤 되지않음? 네이처 자매지 월간지 억셉률 평균이 보통 3-5퍼임. 머신러닝 필드를 잘 모르긴하지만 과연 네이처 달고 나왔는데 낮을까?
찌질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1.07.02

네이처면 우선 먹고 들어가는게 있죠

2021.08.24

저는 좀 회의적입니다. 지난번 벤지오가 닙스에서 최근 몇년간 학회 논문 퀄이 너무 떨어진다고 했고, 실제로 퍼포먼스, 어플리케이션 속도 싸움은 레드오션이 된지 오래라 학회에서 큼지막한 논문이 잘 안나옵니다.. TPAMI에선 novel technique가 쏟아져나오는것과 상반되지요. BK21사업에서 탑티어 학회 IF 4점으로 공인화한게 한국연구재단, 설포카에서도 쓰이고 있어서 IF 4점 이상 저널이면 향후 계속 학계에 있으실거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8.24

물론 4점 근처 저널에 내는것보다 탑티어 학회 논문 내는게 좀 더 쉽습니다. 올해 ACCEPT된 닙스 논문들 보면 중위권 저널에 갈 논문 수준이 올라오더군요..

2021.09.09

초창기부터 2018년까진 탑컨퍼가 우세였으나, 최근 벤지오가 학회에서 말했듯이 그 이후 쓰레기 논문이 넘쳐나서 퀄이 많이 떨어지고 있음.. 반면 TPAMI엔 novel techniques 논문들이 엄청 나오고 있어서 탑저널이 앞으론 대세일듯. 미래를 보고 투자하세요.

대댓글 1개

2021.09.09

ㅋㅋ 모르고 다른 글인줄 알고 댓글 또 달았네요. 앞선 댓글은 술한잔한 상태라 기억이 가물

2021.11.23

벤지오 글 잘 읽어보긴했나...

벤지오 말은 현재 NeurIPS, ICML, ICLR 학회가 학계를 리딩하고 있는데 주기가 빨라서 논문을 수정할 시간이 부족하고 대학원생들이 이로인해 빠른 연구주기로 고통받고 급한 연구를 하게되는 생태계를 지적한거임.

따라서 해당 3대 학회에 위상에 걸맞는 저널 시스템을 만들고, 그 저널 중 selective 한 work (예컨데 neurips oral 급)를 골라서 학회에 올리자 라는 취지였음.

NeurIPS 논문이 IF4 수준이라고? 어느누구도 그렇게 생각안함.

PAMI는 그렇다 치더라도, IEEE tran Neural Network and Learning System 도 IF 10을넘고,

심지어 세컨티어라고 보는 pattern recognition 도 IF 6이 넘음.

먼 저런 개소리를 당당하게 씨부렸는지 이해가 안됨.

PAMI, Nature MI 다 좋은 저널이라고 보는데, 머신러닝 현역들은 결국 NeurIPS, ICLR논문 트레킹 하면서 연구함. NeurIPS가 위상이 높기때문에 그만큼 부작용도 큰거고 벤지오가 NeurIPS 시스템을 저널로 바꾸자고 한거임.

대댓글 1개

2023.02.12

+ 학회 데드라인에 쫒기듯 연구하는 문화를 지양하고 저널이 그런 프로세스를 대신할 수 있다고도 말하심. 다만, 저널은 리뷰가 느리기에 둘의 장점을 지는 대안이 필요한 것 같다고 함.

2024.11.20

분야에 따라 다름.
이론분야 혹은 수학과면 JMLR을 쓰는건 엄청나게 인정받음.
비전 중심의 웅용분야면 tPAMI 가 탑.
NMI는 바이오쪽에서 ai접목하는사람들이 낼만한곳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