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 설령 맞는말이어도 그런식으로 말하면 욕먹을텐데요..
좀 세상을 순수하게 보면서 삽시다. 꼬아보지말고요.
애들이 징징거릴수도 있죠 열심히 하는 학생들도 있을거고요.
32 - 솔직히 너무 맞는 말임 ㅋㅋㅋ
25 - KY는 이미 서로 간격이 너무 많이 벌어졌네... 노벨상도 그렇고
28 - 의대가 없는곳이 불리한건 어쩔수 없죠.
이유를 갖다 붙일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대학순위가 저렇게 나온건 결과인데
그것이 본인 마음에 안든다고
이래서저렇고 저래서저렇고
거리는건 옳은 태도가 아님
16 - 대학랭킹은 각 학교 본부들의 로비실력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 지표입니다.
저런 랭킹 백날 들이대도 연대-성대가 PK보다 좋은 학교고 세종대-영남대가 지스트-디지스트보다 좋은 학교라고 생각하는 사람 없잖아요?
세계대학랭킹이 이름 첨듣는 외국대학들 순위 궁금할때나 찾아보는거지 SPK가 어쩌고 YKSSH가 어쩌고 훤히 꿰고있는 우리가 저걸 참고할 이유가 있나요? 저거 평가한 외국 할배들이 연세대랑 카이스트 중 어디가 더 좋은 학교인지에 대해 한국 대학원생들보다 더 잘 알 이유가 있나요?
우리는 저기 나열된 학교들의 수준을 이미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순위는 국내대학들의 실력을 나타내는 게 아니라 대학랭킹들의 부질없음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28 - PK는 이공계 대학이라 종합대학이 아닌점에서 오는 순위하락은 누구나 이해할 것입니다. 의대가 갖는 이점도 대부분 알고 있을 것이구요.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이런건 예전부터 이어져오는 한국인들의 순서인건데, 그런 인식상의 순위보다는 실제 대학들의 논문실적 등에 기반한 순위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관습적인 순위와 실제 대학경쟁력은 차이가 있기 마련입니다.
위의 대학랭킹을 맹신하지는 않지만, 20위안에 서강대, 디지스트, 지스트가 없다는 점에서 충분히 신뢰성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왜냐고요? 서디지 세 대학은 한국인의 관습적인 랭킹은 10위 안에 무조건 들지만 실제 논문실적 등의 논문경쟁력은 그보다 훨~~씬 아래거든요.
네이처인덱스와 레이든랭킹을 보면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위의 대학랭킹들도 그런 실제경쟁력을 많이 반영하고 있구요.
본인들이 생각하는 관습상의 순위가 맞다고 맹신하지 말고, 실제 대학경쟁력이 어떤지에 대해서도 눈뜨길 바랍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한국에서 대학원 경쟁력으로는 SKP와 연고성한유 까지가 탑8이고 (8개대학 적은 순서는 꼭 랭킹순이라기보단 생각나는대로 적은것입니다.) 나머지 대학은 확실한 격차가 있습니다. 물론 저 8개대학 내에도 격차가 크지만요. 다른 대학에도 S급에 해당하는 교수님들 당연히 있지만 그 수가 압도적으로 적다는겁니다.
반박을 하려거든 뇌피셜말고 제대로된 근거를 가져오기 바랍니다. 제 근거는 네이처인덱스와 레이든랭킹입니다.
15 - 전적으로 동감하는데 다만 딱 한가지 아주 중요하게 지적하고 싶은건 논문 척척 잘쓰는 사람도 빡치는건 매한가지입니다. 다만 징징거거리느라 날리게 되는 시간과 기회비용이 아까울 뿐이죠. 혹여나 이 논리가 연구계에 돈을 더 안넣어도 된다라는 채용되길 바랍니다.
22 - 그러게 열심히좀 하시지.. 초중고 열심히 살아서 대학 잘 갔으면 끝날 문제를
21 - 벽하고 이야기해도 이것보다는 낫겠다
17 - 저는 서울대 저 순위가 이해 되는데요... 설공 교수님들 열정이 부족하심.. 학계 계시면 아시는 사실.. 공대는 포카서
16
한국 사회에서 학벌이란
2021.06.19
한국은 학사를 따는데 너무 힘을 많이 빼는거같음
실제로 제대로 공부 시작하는건 대학생 부터이고
연구시작하면서 전공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아가는 나이는 빨라봐야 학부 고년차~대학원부터라고 생각함
이에 대해 학벌의 비중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학사 비중이 매우 높은것에 대해서는 매우 유감이라고 생각함
물론 학벌이 좋을수록 머리 좋고 성실하다는건 부정못할 사실임
주어진걸 시킨대로 열심히 했다는 증빙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 교육이 성실함을 측정하는 도구는 될 수 있지만
공부하면서 이걸 왜 공부하는거지? 이런걸 공부하는게 과연 효율적일까? 라는 생각이 한번씩 들때가 많았음
예를들어서 한국인들은 영어를 초딩때부터 배우지만
외국인이랑 대화 한마디 못하고 어버버거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독해 짜달시리 잘해봤자 무슨 소용일까? 논문 잘 해석안되면 구글 번역기나 파파고 돌리면된다.
어릴때부터 주입식으로 어거지로 때려박아서 그렇지
외국인이랑 대화하면서 얻을 수 있는 영어의 즐거움을 알까?
대학원 진학하면서 처음 느꼈다. 내가 영어를 헛공부했구나라는걸
국어도 시문학같은거 읽으면서 "그래서, 어따써먹을건데" 라는 생각을 지울수가 없었고
그나마 수학 과학같은건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있었기 때문에 재밌었고
나머지는 억지로 주입식으로 했을 뿐이였다
성실함을 보이기 위해서
대학원 와서 더더욱 느낀다. 과학 수학 외에는 헛공부였고 아무 쓸모 없었다는걸
그렇다면 궁금한 것이 있다.
이 사회는 수학 과학을 미친듯이 좋아하고 파고드는 사람을 좋아할 것인가
전과목 깊이는 없지만 열심히 골고루 성실하게 하는 사람을 좋아할 것인가
혹 전자가 수학 과학보다 다른 과목이 조금 떨어져서 후자보다 학벌이 낮다고 해도
우리는 둘 중 어느 사람을 ''인재''로 인정해줘야 하는것일까?
한국 대학원생들 김GPT 79 91 12364
학벌 김GPT 12 48 6722-
33 23 8504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김GPT 28 25 12837
한국 사회 적응 문제 김GPT 13 40 3101
공부와 연구 김GPT 6 27 5672
잡대생 대학원 진학 김GPT 6 8 6148
국어국문 쪽 대학원 학벌 김GPT 0 10 1614-
15 11 5907
이사할때 청소시키는 교수 신고해도됨? 명예의전당 89 68 48355-
57 53 6669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36 31 4597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06.19
2021.06.19
대댓글 1개
2021.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