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터넷 세상이 다 그렇죠 뭐,,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6 - 인터넷만 보면 다들 서울대 교수임 ㅋ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1 - 아니 뭐… 평생교육원 같은게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인거죠. 누구나 이름대면 알만한 명문대에서 실제 연구진 양성을 목표로 인류첨단의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일수야 없죠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1 - 인터넷은 허언과 뻥 소수의성공자만 글씀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2 - 실제로 진학한 사람들은 보기만하지. 글 별로 안씁니다 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신임 교수가 바쁜 당연하고 외부 미팅도 많은 게 당연함
미팅 100번 해야 1개 얻음 신임은
근데 자기 실험실 관리도 못하면 망하기 딱좋지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2 - 요즘 연구비 딸려면 AI 무조건 붙려야되서 그럼ㅋㅋ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4 - 거 지금 제일 핫한 분야에 가려고 하면 당연히 어렵지 않겠습니까?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2 - 맨날 어디 미팅다니시고 밥먹으러 다니시고
미팅 <- 이게 일입니다
밥먹으러 <- 이게 일입니다.
뭐 교수가 박사띠리 교수따리 학부생따리처럼 입.문.서 같은거 보고 공부할줄 아셨습니까?
업계 최정상 사람들이랑 미팅 하면서 밥 먹으면서 트렌드 파악하는것도 일입니다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9 - 토익점수랑 똑같은거죠. 영어 실력을 그 많은 지원자에게 모두 test 할 수 없으니 서류에서 거를 수 있는 기준입니다.
그렇다고 시험 점수처럼 딱 짜르진 않지만(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니..), 고려할 수 밖에 없죠.
누군지도 모르는 두 사람을 영어 관련 일을 뽑는데 토익 500점보다 토익 900점자가 더 잘하겠거니 생각하고 뽑는거죠, 실제로는 500점인 사람이 영어를 더 잘할 수 도 있지만요.
회사에서도 관련 분야(대학으로는 전공과 겠죠?)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원을 뽑는데 서울대랑 지방대랑 있으면 서울대를 뽑겠죠.
학벌만으로 사람을 판단할 순 없어도 학벌만 평가에서 부당하다고 배제되는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업때 학벌 본다는게 뭔가요?
12 - 1. 신임교수는 첫 3년 정도까지는 수업 로드 때문에 연구할 시간이 없음
2. 신임교수는 연구실 세팅부터 정말정말 행정 잡일이 많음
3. 그래서 재임용은 보통 포닥 때 쓰던 논문들이 억셉되거나 박사/포닥 지도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실적 냄
4. 대학원생의 흔한 착각 중 하나가 본인이 공부해서 알려주면 교수가 잘 모를 때 자기는 똑똑하고 교수는 멍청하다고 생각함. 같은 분야라도 학문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데, 논문 몇 개 읽고 공부했다고 랩미팅 때 교수가 잘 모르는거 같아 무시하는건 진짜 철없는 짓.. 그 교수가 님 연차였을 때는 10배는 더 날아다녔음. 입지와 위치와 상황이 달라진거지 글쓴이한테 무시당할 사람들이 아님
5. 미팅하고 밥 먹으러 다닌다고 표현 하는것도 학계를 아예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 교수들은 최소 글쓴이 포함 대학원생들 했던거 다 했고 그중에서도 에이스였던 사람들이고, 지금은 그들만의 일/연구 하는 방식이 있는거임. 미팅을 술 마시고 노가리 까러 가는줄 아시나
6. AI 넣어서 융합하게 트렌드 따라가고 새로운 도전이고 그런건데 뭘 그렇게 무시하는지 모르겠음. 누구나 처음은 서툰거고, 그리고 원래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는 대학원생이 주도하는거임. 님이 그렇게 실력키워서 나중에 교수되면 님 제자가 똑같이 하고, 그러면서 학계가 순환하는거.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99% 교수문제임. 교수가 논문 쓰라고 독촉하고 검토피드백해서 퀄리티 높이려고 노력해야함. 학생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애초에 학생을 덜 받든가 고년차에게 맡겨서 공동1저자 주면서라도 정리해나가야함. 지금처럼 방치하면 절대 안됨. 많은 학생들 인건비 다 챙겨주면서 장기간 데리고있는거보면 연구비는 풍족한 것 같은데 교수입장에서는 연구비만 풍족할 수 있으면 논문 없어도 큰 문제가 없거든. 그러니까 방치해놓는거임.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7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8
대전 k대학생인데 s,p대학원을 진학하려고합니다
2019.11.22

저는 대전 k에 재학중이고 내년 1학기에 졸업할 예정입니다. 학점은 굉장히 낮습니다. 1,2학년 학점이 좋지않고 3,4학년때 끌어올렸지만 워낙 초반 학점이 좋지않아 총합 학점이 낮더라구요. 총합학점은 2 극후반, 전공학점도 3 초반입니다. 그래도 대학원은 진학하고 싶은 마음이 강해서 대학원을 가려하는데, 제가 연구하고 싶어하는 분야는 s와 p에 더 환경이 잘 되어있습니다. 과는 기계공학과인데, 저희 학교에서 주로 하는 동력제어나 로봇쪽이 아닌 bio와 nano계열 연구를 하고싶어서 자대가 아닌 s,p 둘중 하나를 가려고합니다.
s에 관심이 있는 교수님께 각 학기별 수강과목 성적과 간략한 소개를 보냈고, 전화로 3차례정도 얘기를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TO가 여유가 있으니,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기본 조건을 충족한채로 지원하면 뽑아주겠다 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이건 제가 합격에 대한 확답을 얻은건지 궁금합니다.
p에 계시는 교수님께 메일을 보낸 결과 학점이 낮은것이 걸리긴하나 열정이 느껴지니 긍정적으로 보인다며, 면담을 진행하자고 하시며 우선 랩장과 메일을 통해 구체적인 랩투어일정과 면담날짜를 정하자고 하셨습니다.
s와 p에서 받은 답변이 전부 긍정적인 답변인지, 그리고 skp 세 학교끼리 서로의 대학원을 진학할때는 보통 난이도가 어떠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를테면 p에서 s로 간다던가, s에서 p나 k로 간다던가 하는 상황이면 타대에비해 확실히 수월한지 여부를 여쭤보고 싶네요.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5 57 70948-
288 44 71084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30 19 6108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2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5 - 학위논문 누구에게까지 드려야 할까요?
9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9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2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5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2019.11.22
2019.11.22
2019.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