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이 아니라, 제가 지거국을 다니다가 단과대학 수석졸업을 하였는데 (GPA : 4.4/4.5)
이걸 CV에 영어로 어떻게 써야 되는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그냥 cum laude로 쓰면 되나 싶었는데, 검색해보니 숨마쿰라우데/마그나쿰라우데/쿰라우데가 각각 다른 의미가 있더군요.
제가 상위 1.1% 안에 포함되는 성적이어서 굳이 퍼센트 비율로 따지면 숨마쿰라우데인가 싶기도 한데...
근데 또, 저희 대학교는 애초에 숨마쿰라우데(최우등졸업)이라는게 따로 없고, 각 단과대학별 수석졸업자까지만 상을 주거든요.
그래서 cv에 영어로 뭐라고 써야할지 헷갈리네요..
적절한 표현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체한 르네 데카르트*
2021.04.19
석차와 GPA만 기입하세요
낙천적인 호르헤 보르헤스*
2021.04.19
Summa cum laude, rank: 1/n
공허한 프랜시스 크릭
IF : 1
2021.04.20
Valedictorian
2021.04.22
수석졸업: Valedictorian
차석졸업: Salutatorian
Summa Cum Laude는 학교마다 다른데 보통 상위 3~5%
Magna Cum Laude는 상위 5~10%
Cum Laude는 10~15% 이정도 입니다.
그러므로 수석 졸업이시면 Valedictorian 이 더 맞는거 같네요
2021.04.22
근데 Valedictorian 이라는 뜻이 학부 모두 통틀어서 수석이라는 것이라서, 상위 1.1% 면 수석이 아니신것 같은데 Summa Cum Laude가 더 적합해 보이긴 한데, 이건 성적표에 Summa Cum Laude라고 기재가 되어있어야 해요. 학점이 워낙 높으시니 그정도만 기입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2021.04.19
2021.04.19
2021.04.20
2021.04.22
202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