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데를 왜 가는지가 더 궁금한데..
15
- 펀딩0, 논문0, 대부분 박사5+년차
다른건 몰라도 논문은 찾아봤을 수 있는데 왜 갔나요?
학교이름 이런거 보고 무지성으로 간거면 스스로 감수해야죠.
18
- BI쪽을 잘 몰라서 대답하기 좀 부담스럽긴 하지만, 작성자님보다 더 극단적으로 전공을 바꾼 사례는 꽤 많습니다.
해당 전공이 단순히 취업이 잘된다는 이유로 바꾼 사람들은 십중팔구 망하지만, 작성자님 처럼 겹치는 부분이 있어 공부하다보니 관심가는 분야가 바뀌어 전공을 바꾼 경우는 실패 사례를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결정적으로, 대학교에서 교수하고 계신 분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연구분야를 바꾸신 분들입니다.
왜냐면 그분들 시대에 핫했던 기술 중에 지금 핫한 기술은 없거든요.
14
- 학생이라도 멀쩡했으면 펀딩 하나라도 땃을텐데 에휴... 아쉽네요
23
- 학생이 연구책임자임? ㅋ
15
대학원 입학 준비 단계에서의 연구 분야와 연구실 선택에 관하여
능글맞은 시몬 드 보부아르
2021.04.09
11
46266
내가 잘 할 수 있는 분야가 뭔지도 모르는데 연구실을 고르라니..
연구분야와 연구실 선택은 갓 학부를 졸업하는 입장에서 참 어렵습니다.
저는 SPK중 한곳에서 박사과정 중인 학생입니다. 몇년 전에 같은 고민을 먼저 했던 사람으로서 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는 고등학교때 희망했던 학과와 학부생때 선택한 학과(전공 선택을 2학년에 했습니다.), 학부를 졸업한 학과, 대학원에서 전공하고 있는 학과가 모두 다릅니다. 그래서 연구실을 고를 때에도 상당히 다양한 학과의 교수님들과 면담을 했습니다. 개인의 경험이지만 연구분야와 연구실을 선택했던 이유, 방법에 대해 대학원 고년차가 된 지금의 생각을 말씀드리면 대학원을 준비하고 계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해서 글을 적어봅니다.
1. 연구 분야에 대해 오픈마인드를 가져야 합니다.
- 관심있는 연구 분야가 있더라도 너무 한정적으로 특정 연구분야에만 몰두하지는 마십시오 (아예 뜬금없는 분야도 알아보라는 말이 아닙니다! ). 누구도 경험해보지 못한 것을 미리 알 수는 없습니다. 1순위 관심분야 이외에도 관심있는 분야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면담요청을 해보세요. 학생은 보지 못할 본인의 성향과 스킬셋, 포텐셜을 이미 그 과정을 다 겪어온 교수님은 캐치할 수도 있습니다. 진학해서 연구를 해봤더니 꽤 괜찮은 실적도 나오고 연구 진행도 잘 된다면 흥미도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됩니다.
거의 모든 연구실이 연구분야를 한정적으로 고정해놓지 않습니다. 학계와 산업 트렌드는 항상 변하기 마련입니다. 학사과정은 이미 수십~수백년 전의 이론을 배우는 것이고, 대학원생은 어느정도 학계 트렌드를 반영한 연구를 하게 됩니다 (그게 잡 마켓에서 인기가 좋기도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내가 "공부"했던 A분야가 "연구"하는 A분야가 되니 실상 그 느낌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교수님을 만나보셔서 그 분야는 트렌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그 분야의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적극적으로 물어보시고 본인의 성향과 잘하는 것과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2. 연구 외적인 요소도 중요합니다.
- 대학원에 진학하면 짧게는 2년, 길게는 7~8년까지 연구실 생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연구실 내의 동료관계, 지도교수님과의 관계, 대학원에서 해야하는 잡무(행정, 조교), 복지와 인건비 등이 퍼포먼스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내가 너무 가고 싶은 연구실 교수님이 나와 성격이 안 맞고 대학원 생활이 힘들 것 같다면 비슷한 연구를 하는 랩으로 진학하는게 오히려 좋을 수 있습니다.
대학원은 학생과 교수님들 모두 끊임없는 마감기한과 실적 압박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많습니다. 연구 외적인 요소로 스트레스를 받아서 연구에 영향이 간다면 이것마저 스트레스가 됩니다. 사실은 연구 외적인 요소는 외부에서 알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김박사넷과 지인들을 통해 최대한 많이 알아보세요. 교수님 컨택 전후에 랩 멤버에게 이메일로 공손하게 물어보는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수님마다 지도 스타일이 모두 다릅니다. 면담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느껴지실텐데, 다양한 교수님들께 컨택하고 얘기해보셔서 어느정도 관심사가 비슷하고 교수님이 학생에게 요구하는 것이 내 성향과 맞는 곳을 찾아보세요.
3. 연구실 인턴 생활을 해보세요.
- 연구실 한 두 군데에서 인턴을 해보면 1번 2번에 언급했던 이야기들에 대해 어느정도 자신만의 기준과 경험이 생기게 됩니다. 입시에서 인턴을 통한 사전 컨택이 주는 이점을 차치하더라도, 본인의 "진로 선택"에서도 아주 좋은 경험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졸업을 했는데 인턴을 하는건 조금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졸업하기 전이라면 짧게나마 회사던 연구실이던 인턴을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면담을 진행할 때
- 당연한 얘기이지만 컨택을 할때 너무 전략적인 스탠스를 취하지 마시고, "나는 뭘 공부해왔으며 이러이러한 점 때문에 이 연구가 나와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연구실에서 하는 프로젝트가 이렇게 진행된다고 생각하는게 내 성향이 그것과 잘 맞는 것 같다." 에 대한 얘기를 먼저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제 진로가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얘기 나눴던 모든 교수님들께 어떻게 진로를 결정하셨는지 여쭤보았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는 진로 상담에 가까운 시간으로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교수님들은 이미 대학원 생활을 경험해본 선배이기 때문에 상당히 유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교수님의 성향을 미리 파악하는데에도 도움이 될거에요.
여담으로, 컨택 뿐만 아니라 대학원 진학을 너무 전략적으로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오히려 삶에서 마이너스로 작용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얼마나 내가 self-motivated 되어 있는지, 취업 대신에 진학을 하는 것이 정말로 행복할지 돌아보시고 최선의 결정을 내리시면 좋겠습니다.
힘들고 스트레스 받는 대학원 생활이지만 저는 좋은 교수님과 동료들을 만나서 나름대로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제 경험이 정답이 아니지만 먼저 경험해본 입장에서 고민 많으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연구분야와 연구실 선택은 갓 학부를 졸업하는 입장에서 참 어렵습니다.
저는 SPK중 한곳에서 박사과정 중인 학생입니다. 몇년 전에 같은 고민을 먼저 했던 사람으로서 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는 고등학교때 희망했던 학과와 학부생때 선택한 학과(전공 선택을 2학년에 했습니다.), 학부를 졸업한 학과, 대학원에서 전공하고 있는 학과가 모두 다릅니다. 그래서 연구실을 고를 때에도 상당히 다양한 학과의 교수님들과 면담을 했습니다. 개인의 경험이지만 연구분야와 연구실을 선택했던 이유, 방법에 대해 대학원 고년차가 된 지금의 생각을 말씀드리면 대학원을 준비하고 계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해서 글을 적어봅니다.
1. 연구 분야에 대해 오픈마인드를 가져야 합니다.
- 관심있는 연구 분야가 있더라도 너무 한정적으로 특정 연구분야에만 몰두하지는 마십시오 (아예 뜬금없는 분야도 알아보라는 말이 아닙니다! ). 누구도 경험해보지 못한 것을 미리 알 수는 없습니다. 1순위 관심분야 이외에도 관심있는 분야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면담요청을 해보세요. 학생은 보지 못할 본인의 성향과 스킬셋, 포텐셜을 이미 그 과정을 다 겪어온 교수님은 캐치할 수도 있습니다. 진학해서 연구를 해봤더니 꽤 괜찮은 실적도 나오고 연구 진행도 잘 된다면 흥미도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됩니다.
거의 모든 연구실이 연구분야를 한정적으로 고정해놓지 않습니다. 학계와 산업 트렌드는 항상 변하기 마련입니다. 학사과정은 이미 수십~수백년 전의 이론을 배우는 것이고, 대학원생은 어느정도 학계 트렌드를 반영한 연구를 하게 됩니다 (그게 잡 마켓에서 인기가 좋기도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내가 "공부"했던 A분야가 "연구"하는 A분야가 되니 실상 그 느낌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교수님을 만나보셔서 그 분야는 트렌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그 분야의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적극적으로 물어보시고 본인의 성향과 잘하는 것과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2. 연구 외적인 요소도 중요합니다.
- 대학원에 진학하면 짧게는 2년, 길게는 7~8년까지 연구실 생활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연구실 내의 동료관계, 지도교수님과의 관계, 대학원에서 해야하는 잡무(행정, 조교), 복지와 인건비 등이 퍼포먼스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내가 너무 가고 싶은 연구실 교수님이 나와 성격이 안 맞고 대학원 생활이 힘들 것 같다면 비슷한 연구를 하는 랩으로 진학하는게 오히려 좋을 수 있습니다.
대학원은 학생과 교수님들 모두 끊임없는 마감기한과 실적 압박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많습니다. 연구 외적인 요소로 스트레스를 받아서 연구에 영향이 간다면 이것마저 스트레스가 됩니다. 사실은 연구 외적인 요소는 외부에서 알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김박사넷과 지인들을 통해 최대한 많이 알아보세요. 교수님 컨택 전후에 랩 멤버에게 이메일로 공손하게 물어보는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수님마다 지도 스타일이 모두 다릅니다. 면담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느껴지실텐데, 다양한 교수님들께 컨택하고 얘기해보셔서 어느정도 관심사가 비슷하고 교수님이 학생에게 요구하는 것이 내 성향과 맞는 곳을 찾아보세요.
3. 연구실 인턴 생활을 해보세요.
- 연구실 한 두 군데에서 인턴을 해보면 1번 2번에 언급했던 이야기들에 대해 어느정도 자신만의 기준과 경험이 생기게 됩니다. 입시에서 인턴을 통한 사전 컨택이 주는 이점을 차치하더라도, 본인의 "진로 선택"에서도 아주 좋은 경험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졸업을 했는데 인턴을 하는건 조금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졸업하기 전이라면 짧게나마 회사던 연구실이던 인턴을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면담을 진행할 때
- 당연한 얘기이지만 컨택을 할때 너무 전략적인 스탠스를 취하지 마시고, "나는 뭘 공부해왔으며 이러이러한 점 때문에 이 연구가 나와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연구실에서 하는 프로젝트가 이렇게 진행된다고 생각하는게 내 성향이 그것과 잘 맞는 것 같다." 에 대한 얘기를 먼저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제 진로가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얘기 나눴던 모든 교수님들께 어떻게 진로를 결정하셨는지 여쭤보았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는 진로 상담에 가까운 시간으로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교수님들은 이미 대학원 생활을 경험해본 선배이기 때문에 상당히 유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교수님의 성향을 미리 파악하는데에도 도움이 될거에요.
여담으로, 컨택 뿐만 아니라 대학원 진학을 너무 전략적으로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오히려 삶에서 마이너스로 작용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얼마나 내가 self-motivated 되어 있는지, 취업 대신에 진학을 하는 것이 정말로 행복할지 돌아보시고 최선의 결정을 내리시면 좋겠습니다.
힘들고 스트레스 받는 대학원 생활이지만 저는 좋은 교수님과 동료들을 만나서 나름대로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제 경험이 정답이 아니지만 먼저 경험해본 입장에서 고민 많으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연구실 선택에 있어서2
4
1269
김GPT
대학원 진학에 대한 고민0
2
1206
-
41
6
10687
김GPT
연구실 선택0
6
1701
-
0
7
5664
김GPT
대학원 결정할때 참고 바랍니다.28
17
10846
김GPT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시는 분들께15
4
2713
-
41
5
9608
-
0
1
3604
-
88
51
97426
-
245
25
25461
명예의전당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294
23
5385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04.09
대댓글 2개
2021.04.09
대댓글 1개
2021.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