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아마 이름 못들어보셨을 4년제 공대 전기전자를 졸업했습니다.(사실 다음주가 졸업식입니다)
대학교 가서는 정신차리고 열심히 공부해서 학점은 4.29/4.5, 토익은 870점, 영상처리분야 연구실생활을 2년 했고, 딥러닝 이용한 사람검출 관련 논문과 프로젝트를 진행했었습니다.
나름 학부생 신분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은 열심히 했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저는 학교 네임벨류가 너무 낮아서 고민입니다.
현재는 대학원 학비를 벌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인공지능x)회사에 취업했고 1년정도 다닌 후 그만 둘 예정입니다.
주변에 대학원을 간 사람도 없고 교수님은 자대 대학원으로 오라고 하셨는데 전 죽어도 가기 싫거든요,,, 그래서 글을 남깁니다. 인공지능 대학원과 랩실이 있는 학교는 저에게는 모두 좋은 학교이고 좋은 랩실입니다. 제가 인공지능 대학원을 가기 위해 무엇을 더 준비해야 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1.02.16
석사로 갈 수 있는 곳 중에 가장 좋은 곳을 가시고 (최소 지거국) 가서 열심히 실적 내셔서 박사 지원을 더 높은 곳으로 노려보세요. 한번에 점프는 어려울 겁니다.
2021.02.16
그리고 공대면 학비나오는데..... 학비를 버시려고 일을하신다니..,.크흠
2021.02.16
석사는 spk아닌 이상 네임벨류 의미는 크게 없는 것 같고, 박사는 최소 서성한~ist~지거국에서 박사를 해야 실적싸움으로 비벼볼 수 있음.
2021.02.16
인공지능 대학원 보니까 학비 무조건 다 주는 건 아닌 것 같던데...! 저는 생활비도 필요해서요
2021.02.16
저는 대학원 네임벨류에 대한게 아니라 전적대학의 네임벨류 여쭤본거에요
2021.02.16
학벌이 낮으면 학점과 석차가 중요합니다. (학교명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모르겠으나, 수석인가요?)
논문이 있으면 유리하고, 위 댓글 처럼 최소 지거국 이상 석사 준비하면 될거 같아요.
2021.02.16
대학수준(네임벨류)은 미국등 외국에서도 중요해요
2021.02.16
돈이 문제시라면 IST가시면 됩니다.
IST는 석사기준 최소 등록금+100정도 챙겨줍니다.
기본적으로 IST는 국비, 과기원장학생으로 선발되기 때문에 등록금 부담이 없습니다.
지방대라 하더라도 4.3이면 IST정도는 컨택 잘하면 가능하리라 봅니다.
2021.02.16
제 학과가 한 학년에 약 200명 정도 있고, 세 개의 트랙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 트랙에서는 수석, 전체 과에서는 10등 안에 든다고 합니다. 졸업시에 성적포상장학금..?을 받는다고 방금 과사에 물어봤습니다.
2021.02.16
아아 전체 과가 아니라 전체 트랙입니다.
2021.02.16
인공지능 대학원 중 지거국은 충남대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어서,,, 학비가 걱정이면 IST 위주로 준비,, 좋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KIST는 사실 바라지도 않고 인공지능 대학원 중 어디라도 붙으면 감사하게 다니려구요,, 감사합니다!ㅎㅎ
2021.02.16
좀 대학원생각있으시면 찾아보시지ㅋㅋㅋist는 kist이런곳이 아니라 gist unist dgist kaist 등을 말하는 겁니다. 요즘 대학들 인공지능과 많이 여는 추세라서 왠만한 이름있는 대학원들 AI다 있지않나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대댓글 1개
202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