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출근 당연하지요
집 가까운 사람은 거의 매주 불려나갑니당 ㅋㅋㅋ
일찍은 퇴근할수 있는거 같은데
주말에 한두시간이라도 집가까운 사람은 불려나옵니다
2021.02.10
- 보통 학사연구원분들이 배양쪽을 하시고
석사연구원분들이 assay 쪽을 하시고
박사연구원분들이 논문작성, 학회, 연구방향 잡는 것들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일단 여기는 미친 실험실임, 도망쳐
2021.02.10
g
2021.02.10
생물종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왠만하면 배양-실험-자료분석-논문 다 본인이 직접 합니다.
배지나 간단한 실험 정도만 시간이 없을 때 맡길 뿐..
Erwin Schrödinger*
2021.02.10
워라벨은 중요한 척도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번아웃도 안오고, 연구실에 무조건 오래있다고 잘하는것도 아니기도 하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원을 오신 이유를 잘 생각해보세요.
대부분 대학원때 고생해서 좋은 실적쌓고 좋은 곳에 취업하려는것 아닌가요. 김박사넷에서 간혹 비교나오는 의대생들만 봐도, 본과애들 공부량 한번 옆에서 보시긴했나요. 그 친구들이 워라벨을 따지던가요. 다들 미래보고 시간투자를 하는겁니다.
연구자라고 모두 변태처럼 연구에 빠져사는 사람일 필요는 없겠지만, 대학원 들어가시기도 전에 워라벨부터 고민하시는 태도는 솔직히 올바른지 한번 생각해보실 필요가 잇을것 같습니다. 저희 연구실도 자율출퇴근이지만 대부분 다 알아서 본인할일 열심히하고, 주말에는 자유롭게 쉬거나, 할것없는 애들은 연구실와서 게임하거나 실험하거나 합니다.
저희연구실뿐아니라 주변보면 연구실 분위기가 강압적이지 않더라도 대부분 다 알아서 열심히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K대라서 애들이 머리가 나빠서 열심히하는것도 아닙니다.
여기애들은 단순히 SPK 학벌로만 등급을 나누려고 하지만, 제 경험상 학부때 YK연구실에서 2년은 있었는데 학생들이 열심히 하는 정도가 다릅니다.
여튼 워라벨이 나쁘다는게 아니고, 단순히 연구실에 오래있는게 좋다는것도 아니지만, 솔직히 마음가짐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저도 주말에는 여친만나면서 충분히 쉽니다. 여친만나서 카페들어가면 혼자 논문을 쓸때가 많긴하지만요..
2021.02.11
ㄴ 윗댓은 개꼰대같고 Henry James 얘는 답은 안하고 시비만 거는데 맞춤법 다 틀리네. 봽고는 어느 나라말이냐 뵙고지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0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