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파트타임.ㅋ 지도 돈주고 학위 사러 와 놓고ㅋㅋㅋ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38
- 님도 많이 힘드신가봐요 공격적이신거보니.. 같이 힘내요.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31
- 글 내용은 괜찮다만 언급하는 대가랩 기준이 매우매우 낮은듯.
국내에 대가랩이 어디있음 ㅋㅋㅋ
대가랩은 걍 논문 뽑으면 평균적으로 당해년도 끝나기전에 그 논문 인용수가 수십, 100 넘어가는곳을 대가랩이라 함.
랩에 인원수도 많고 그 이상으로
그 랩 논문 다들 알림받아 읽고 인용하니 인용수 그냥 쫙쫙 오름
대가랩이라 불리는 곳도 모든 박사과정이 탑저널 뽑는 건 아니다
19
- 병원을 가..
한국의 카르텔 정리
18
- 교수는 자기 연구 하기 위해 교수가 된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 인건비 및 연구비를 확보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것이고
그 연구실에 들어간 대학원생은 교수의 연구를 도와주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우고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는 졸업한 뒤에 본인이 교수가 되든 정출연에 들어가든 그때가서 할 일인데
처음부터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려고 하는 것은 교수가 뭘 믿고 자신이 애써 따온 연구비를 제공할까
이 정도 역학 관계는 대학원에 들어갈 때부터 이해하고 들어갔어야 하는데
도대체 석사과정을 어떻게 보냈길래 교수는 학생 인생에 괸심이 없다고 찡찡댈까
엄밀하게 말하면 본인의 인생은 교수에게 맡겨둔 게 아니다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학생에게 인건비와 연구비를 지급하고 그러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기회를 잡는 건 본인이 알아서 할 일이지 교수가 앉혀놓고 주입할 것도 아니다
석사 끝나고 박사과정 입학하고나서야 깨달았습니다
33
불편한 진실
2019.10.12
24
5769

1. 삼성, LG 등 대기업 채용순위: SKP 가 1순위, YKH 2순위 ..등등으로 순위나눔. 국내 1순위는 미국 1순위와 동등함.
2. 교수임용 순위: SKP의 경우 해외 포닥이후는 미국 주요 명문대(대략20위이내)와 구별안함. 실적으로 승부함.
3. 교수연구실적: 해외유명그룹에서 Nature/Science를 주저자로 논문내고 들어와서 한국에서 채임저자로 내는 것 어려움. 국내에서 책임저자로 Nature/Science내었던 연구실은 다르게 인정받음. 이경우도 해당 국내 연구실 학생/포닥이 주저자로 들어갔는지 봐야함.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99
24
26770
김GPT
한국교수의 단상46
52
7493
김GPT
국내 박사 무시받는 이유와 비애40
60
19216
김GPT
한국 지방대 교수들 보면 드는 생각62
19
22686
김GPT
지거국 교수님 글 당연해요....38
34
20007
김GPT
사기업 연구원25
7
5275
김GPT
'한국교수의 단상' 글에 대한 아쉬움13
31
5216
김GPT
일본학부유학 괜히했다..11
28
7879
김GPT
흔한 교수님의 현실인식14
18
5084
명예의전당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137
33
43233
-
137
22
26337
-
51
63
2283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19.10.12
2019.10.12
2019.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