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를 놀고 먹는 직업으로 보고 선망하는 학생들에게,

Albert Einstein*

2021.01.08

26

11290

이곳에서는 박사 후 교수를 하는것 만이 제대로 된 성공이라고 생각하는것 같은데 실상은 이렇습니다.

학생들 눈에는 교수가 노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높은 수준의 논문들을 발표하고, 많은 연구프로젝트와 학생들이 있는 분들의 업무량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1. 강의: 연구 잘하시는 분들이 강의 못하시는 분 솔직히 많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준비를 철저히 하기 때문이지요. 일주일에 7학점만 해도, 강의 준비로 1일 이상은 꼬박 소모됩니다. 시험 문제 막 내는 것 아니지요? 그리고, 그 체점은 그냥 조교 시키나요? 학부는 그럴 수 있겠지요. 하지만, 대학원 시험 체점은 조교 못 시키지 잖아요.

2. 학교 행정업무: 학생들이 상상하지도 못할 정도의 다양한 종류의 행정업무와 보고서, 서류 작업이 존재합니다.행정업무 때문에 밤새는 교수들이 있다는 것을 생각도 못해봤지요? 여러분 200-300 페이지 보고서, 전략기획서를 무에서 창조해서봤나요?

3. 논문: 10점 이상 논문 한편 쓰려면, 기본 3년 정도의 연구가 소요되고, 그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 한 두달은 그냥 소요됩니다. 하루 종일 논문 고치고 또 다시 쓰고, 고치고, 실험한 학생들과 다시 회의하고 고치고, 이런 작업을 통해서 제출하면, 어마어마한 양의 실험과 다시 쓰라는 주문이 들어오지요. 그럼 그 작업 몇 달에 걸쳐서 다시 합니다. 10점 짜리는 보통 평균적으로 제출에서 출판까지 6개월 이상 걸립니다.그런데 이런 10-20점 짜리 이상을 1년에 한 두 편씩 꼭 낸다? 일단 괴물급에 들어가기 시작한 교수고요. 김모교수님처럼 셀 네이처 사이언스를 2-3년에 한 편씩 낸다? 신급이지요...

4. 리뷰 및 네트워크: 혼자서 연구해서 논문 내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연구라도, 동시대의 동료들이 인정안해주면 끝입니다. 죽고나서 20-30년 후에 인정받을 수도 있겠지요. 그게 연구니까. 결국 연구를 잘하기 위해서는 동료의 연구를 리뷰해 주는 작업도 해야 하고, 그들과 네트워크 형성도 해야 합니다. 뻔질나게 학회다니면서 토론하고 회의하고, 다른 사람 연구결과도 검토해 주고 리뷰해주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것도 장난 아닌 스트레스지요. 자신의 분야에 메이저 논문으로 매년 리뷰를 해야, 그 분야에서 날 알아주는 구나 하게 되는 겁니다. 괴물급 이상들은 분야 학회에서 에디터나 부에디터직을 수행해야 합니다. 그래야 자신의 분야에서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지요.

5. 연구비: 연구비 아무나 주나요? 좋은 실적과 아이디어로 정부 연구비, 기업 연구비 따와야 합니다. 그럼 잘 제안서 써야지요. 잘 쓰는게 쉽나요? 연구비 따고 나면? 매년 연구 결과에 대한 보고서 써야 합니다. 사용내역 다 맞춰서 영수증 하나하나 다 처리해서 문제 없게 잘 보고해야 합니다. 쉬울 것 같지요? 대학원생 시키면 된다고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간단한 연구과제 하나면 그렇게 하면 되겠지요. 여러개면?규모가 몇 억이 넘어가면 어떨것 같아요? 교수가 그냥 대학원생 시키고 난 몰라 그러고 있을 것 같아요?

6. 회의: 정말 많은 회의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학과 교수회의, 단과대학회의, 보직이 있으면 보직회의, 거기에 상황에 따라 생기는 준비위원회회의 등등. 매년 열리는 학술대회 준비는 어떻게 막 되는 것 같아요? 그것도 준비하는 것 장난 아니랍니다. 또한 연구과제 심사는요? 누가하지요? 교수들이 해요. 학생 졸업심사는요? 여기 저기 불려다니는 것도 곤욕이랍니다.

더 쓸게 많지만, 이정도로 할께요. 교수라는 직업 정년받고 놀려면 한도 끝도 없이 놀 수 있겠지요. 하지만, 그건 대부분 타의반 자의반에 의해서 그렇게 되는 경우가 많고, 즉 연구비나 학생의 수급이 좋지 않아 악순환으로 들어간 교수님들이 그렇게 강의만 하고 학교 업무만 하는 경우가 생기지요. 하지만 많은 교수들은 그 사이클에 빠지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어떻게든 열심히 노력하시지요.

여러분들 눈에 노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지, 실제로 여러분이 한 번 해 보세요... 노는게 노는게 아니라는 것... 그리고 이런 업무를 수행하는 데 출퇴근이 자유롭지 못할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생각해 보세요.

저도 아침 6-7시에 나와서 10-11시 집에 들어갑니다. 포닥 때 보다는 일하는 시간이 줄었지만, 여전히 랩의 학생들 보다 일찍와서 늦게 갑니다. 20년간 휴가 한번 제대로 못갔습니다. 설날 3-4일 쉬는 것도 불안해서 쉬는게 아닙니다. 논문 읽고 수정하고 다시 고치고, 하루 종일 집에서 그러고 있어요.

왜 그러는지는 밑에 분이 설명해 놨네요. 자영업이라 그래요. 사장이 열심히 안하는 가게는 결국 망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1.01.08

본인은 그럼 교수를 왜 하고 계세요?
William Makepeace Thackeray*

2021.01.08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2021.01.08

딴건 몰라도
대학교에서 '족보'라는 개념이 왜 탄생했을까요?
교수님들이 매년 시험문제 변경하면 족보란 개념이 있을 수가 없죠.
강의자료, 시험문제 매년 바꾸는 교수님이 몇%나 될까요?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