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거국 다니는데(부경전 아님) 교수님들 하는거보면 스스로 경쟁력을 잃고있음 ㅋㅋㅋ수도권에서 출퇴근하시는 분들 많아서 연구실에 계시는 분도 많이없고, 수업 끝나면 가시고... 논문 쓰는거보면 딱 그 규정...?만 맞춘다 해야하나? KCI 몇편쓰고 끝 뭐 이런식이던데;; 교수님들 자체가 연구에 대한 열정이 없어보임..
2020.11.28
이 친구 화가 왜 이렇게 많이 났어 누가 학벌가지고 또 뭐라했어?
2020.11.28
잘하는 교수를 데려오고 돈을쏟아부으면 잘됨
2020.11.28
Milton Friedman
* 말씀 주의해주시죠?
Howard Zinn*
2020.11.28
돈을 쏟아부으면 좋은 실험장비를 갖출 수 있고 학생들/교수들 돈 퍼줄 수 있지
그렇게 돈으로 끌어올린게 유니스트임 지금 한양대 성대수준까지는 올라왔음
Alexandre Dumas*
2020.11.29
ㅈㄴ ㅂㅅ같은 글이네 어휴
Paul Karrer*
2020.11.29
지방에 포항공대,카이스트,지스트,유니스트,디지스트,(한전공대) 이렇게 있으면 됐지 뭘 더 바람 ㅋㅋ 미국 한 개 주 크기의 나라에
2020.11.29
서울에 비해 낙후된 시설, 대외활동 불가능에 가깝고 학생간 교류도 불가능. 그래서 선호도가 떨어져 입결도 꾸준히 하락세. 이제는 지방대라는 이름이 어색하지 않은... 학생들 수준이 옛 명성 못따라가죠. 지방할당제도 사실 과기원 애들이 가져가고 나머지를 부산대랑 경북대가 나눠먹는 수준... 사실 인서울 하는 애들은 공기업말고 사기업 노림. 게다가 서울 인구 밀집 현상이 심한데 누가 서울 살다가 시골 깡촌가서 대학 다니고 싶겠어요ㅋㅋ 그 대학 나오면 서울에서는 나를 지잡대로 보고, 취직해도 거기서 계속 살아야되는데. 날 때부터 거기있던 애들이라면 모를까. 근데 또 그런 애들은 서울 로망때문에 상경하는 경우가 많아서.
2020.11.29
LGeorge Minot
그렇게 따지면 과기원들도 대부분 인프라 좋은 곳에 위치한건 아니지 않나요?
2020.11.29
Paul Karrer 2020.11.29 댓글 블락요청
지방에 포항공대,카이스트,지스트,유니스트,디지스트,(한전공대) 이렇게 있으면 됐지 뭘 더 바람 ㅋㅋ 미국 한 개 주 크기의 나라에
** 경북대, 부산대 등 지거국이 위 학교들보다 역사, 연혁 더 깊습니다.
Howard Zinn*
2020.11.29
사실 지방 대도시는 깡촌이 전혀 아니고
서울에서 이제 아파트 하나 사려면 15억 20억씩 해서 평생 벌어도 못사지
낙후된 시설이라고 해봐야 서울 사립대보단 지거국이 훨씬 낫고
대외활동 학생간 교류 불가능하단건 헛소리고
20살때 시야로는 인서울이 좋아보일 수도 있는데
따져보면 지거국나와서 가까운 공기업 가는게 훨 나은 선택임
Howard Zinn*
2020.11.29
김박사넷 특징: 서울대보다 카이포공이 좋다고 우기면서
정작 지거국은 시골깡촌이라고 까댐
이유는 김박사넷 애들은 인서울 잡대 학부를 나와서 카포 대학원을 지망하는 애들이기 때문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0.11.29
Howard Zinn 2020.11.28 댓글 블락요청
돈을 쏟아부으면 좋은 실험장비를 갖출 수 있고 학생들/교수들 돈 퍼줄 수 있지
그렇게 돈으로 끌어올린게 유니스트임 지금 한양대 성대수준까지는 올라왔음
** 흠, 중앙정부에서 일부러 지거국을 방치하는 거네요.
2020.11.29
LL 그게 아니라 제가 여기 보니
학벌로 인한 선민사상 가득한 곳이군요. 두뇌 좋은걸 운이 좋았다라고 생각을 해야지...
참...(서카포 연고 서성한 아래로는 사람 취급 안하는 느낌)
Howard Zinn*
2020.11.29
학부가 서성한 미만이라면 교수나 정출연 될 확률이 거의 없는건 사실임
2020.11.29
L 아직 지거국이나 일부 사학에서는 자교 출신 교수들 미약하게나마 꾸준히 배출하고 있습니다.
2020.11.29
LL 또한 일부 특수대학(해양대, 한국전통문화대, 교통대 등)도 자교 출신 교수, 연구사들 꽤 많고요.
Howard Zinn*
2020.11.29
"미약하게나마"
Paul Karrer*
2020.11.29
댓글블락요청 ㅋㅋㅋㅋ
2020.11.29
지방 할당이 50퍼센트로 상승한건 계획만 있고 실행은 아닌걸로 아는데. 그리고 현실적인 이유 알려달래서 현실적으로 적었는데 뭘. 이유가 알고싶지 않은거 아님? 솔직히 공기업 아니면 취직할 곳이 없으니까. 그래서 부경도 초인기과빼고 국숭까지 내려오는거아님?
Howard Zinn*
2020.11.29
인서울 잡대 나오면 무슨 취직할 곳이 있는줄 아냐 ㅋㅋㅋㅋㅋㅋ
졸업할때 가봐야 알지
Laozi*
2020.11.29
ㄴ 대학원 아웃풋면에선 u,g가 서성한 압살하지 않나요?
Paul Karrer*
2020.11.29
Howard Zinn
그래서 지방국립대 다니는 애들이 인서울잡대라도 갈 점수인데 점수 남기고 진학했음 ? ㅋㅋ
"아 나는 점수가 좀 남지만, 4년뒤를 생각해서 지방국립대를 가야겠다" 하고 가는 애들이 있기는함? 그냥 점수안돼서 간거 팩트잖아
Howard Zinn*
2020.11.29
지거국은 비인기과도 유지해야 하는 특성상 점수 스펙트럼 존나 넓음
인서울잡대랑 비교하는건 에바다
뭐 과기원 생기면서 지방대에 악영향이 있었으면 있었지 긍정적인 영향은 아니었겠지. 근데 그게 잘못된거임? 어차피 세계적으로 보면 다 백년도 안된 신생대학인건 마찬가진데 쥐꼬리만큼 역사 긴게 지거국이 상위에 있어야할 이유인지는 전혀 모르겠는데.
경쟁력 없어서 도태될 대학이 도태되었단 당연한 사실명제를 왜 니 뇌피셜 당위명제랑 자연스럽게 섞어버리냐? 대체 어쩌란 글이지
2020.11.29
지거국 출신이냐?
IF : 3
2020.11.29
그리고 기스트가 아니라 지스트라 읽음...사전 조사라도 제대로 하고 오시길.
Howard Zinn*
2020.11.29
지방에서 서울 어중간한 대학으로 유학가는건 국가적 낭비이자 서울집값 폭등 요인이기 때문에
막기 위해 지거국에 버프해주는게 맞음
그리고 이미 지거국은 같은 인풋일경우 취업시 훨씬 유리함. 애들이 어려서 모르는 것 뿐이지
2020.11.29
고도의 컨셉..?
2020.11.29
재밌네 ㅋㅋ
2020.12.01
ㅋㅋㅋ 서울 경기 말고 지방에 다닐만한 기업이 거의 없잖아요. 특히 문과는 더더욱이요. 이게 제일 큰 이유입니다. 산학연을 하려고해도 주변에 기업이 없어요. 해당 대학들이 다른 수도권 학교들에 비해 월등하게 학생들을 챙겨주는것도 아니고요. 개교 초기엔 그랬을지 몰라도 지금은 아닙니다. 일본은 1억이 넘는 인구의 도시입니다. 게다가 길게 늘어져 있어 우리나라처럼 도시간 접근성이 그렇게 좋은것도 아니고요. 고작 5천만남짓한 우리나라와는 다르죠. 그리고 교수들부터가 기회만 되면 SPK 나 서울쪽으로 가려고하는데요 ㅋㅋ 지방 대학교들 입장에서는 악순환입니다.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8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1.29
2020.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