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저는 중경외시 공대생입니다. 학부 3학년까지 마치고, 겨울방학때 특허사무소 인턴을 했었습니다. 저희학과에서 직장체험활동으로 인턴생을 모집했었는데, 그때 특허에 관심이 가서 인턴을 지원했었고, 붙어서 2달정도 다녔습니다. 변리사 분들이 일하는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 있었고, 특허 명세서를 읽고 분류하는 일을 했습니다. 인턴을 하면서 변리사라는 직업에 관심이 생겨, 변리사시험을 준비했습니다. 아무튼 이야기가 늘어지는 것 같아서 , 간단히 요약하면,, 3학년 마치고 1년간 휴학하며 전업으로 변리사 시험 준비했고, 올해 2월말에 시험봤고, 떨어졌습니다. 법과목이 시험과목인데, 저한테 맞지 않는 것 같아 계속하는것을 그만두었습니다.
다시 제 전공으로 돌아와서, 원래 제가 하고 싶었던 로보틱스 분야로 대학원 진학을 희망합니다. 그런데 여기 다른분들 보니, 이미 3학년때 학부생 인턴도 많이 하시고, 4학년 1학기부터는 자기가 가고 싶은 랩실에 컨텍도 하시는 것 같은데,, 저는 뭐부터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올해 2월말에 변리사시험보고나서, 3월(지난달)까지도 계속 준비하다가, 3월말에 그만두는 바람에,, 올해 상반기 복학시기를 놓쳤습니다. ㅠ 그래서 지금 학부 졸업도 엇학기로 내년 8월에 졸업하게 될 것 같습니다. 상황이 뒤죽박죽 엉켜버린 느낌입니다. 제 관심분야는 로보틱스 그중에서 자율주행 또 그중에서 컴퓨터비전에 관심이 갑니다만... 그전에 해놓은 프로젝트가 없어서... 당장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책 가지고 막 따라하고 있는데, 이게 혼자 하고 있는 거라 막연히 불안합니다. 잘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뭐부터 해야할까요 ㅠㅠ
학점은 4.16/4.5 입니다.
1. 타대 랩실로 이메일 문의를 해본다 ( 이미 10군데 썼는데, 다 거절당함)-> 더 써본다?
2. 컴퓨터비전 부트캠프( ex.패스트캠퍼스)를 신청한다?
다른 방법은 아직 잘 떠오르지 않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정직한 막스 베버*
2021.04.16
1번 computer vision 관련 랩실 찾아보며 메일을 계속 시도를 하면서
부트캠프것도 좋고 딥러닝 논문 읽는 모임 이나 tensorflow kr에서 행사나 스터디 정보에서 찾아서 참여하는것도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2개
정직한 막스 베버*
2021.04.16
근데 요즘 deep learning nlp 나 vision 이나 너무 인기 폭발이라서 교수님들 메일 많이 받아서 못보실수도 있어용
2021.04.16
네 랩실에 계속 시도 해봐야겠어요. 딥러닝 논문 읽는 모임도 찾아봐야겠습니다. 그런데 tensorflow kr이면... 검색 해보니까 페이스북 페이지가 나오는데.. 이거 말씀하시는 건가요?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혼자서 고민만 하고 있으면 답이 안나오더라구요. 김박사넷에 이렇게 물어볼수 있어서 너무 다행입니다
2021.04.1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 구성연구원분들중 한분에게 랩 견학 좀 하고 싶은데 가능한지 메일로 물어보셰요 가능하다면 약속잡고 말씀도 나누고 구경하고 오셰요
대댓글 1개
2021.04.16
교수님한테 말고,, 랩실에 계신 박사 or 석사생분들한테 견학 가능한지 물어봐도 괜찮은가요?? 랩실 견학이 가능하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옹졸한 맹자*
2021.04.16
SPK에서 로보틱스/머신러닝으로 박사하는데요, 이것저것 할려고 하지 마시고 학점 높으신데 그대로 쭉 고학점으로 졸업하면 연구실 지원에 큰 영향 없습니다.
저는 오히려 부트캠프나 이행사 저행사 쫓아다니는것보다 혼자 구현해서 깃헙에 정리하고 큰 대회나 kaggle 수상해보는 것을 더 높게 칠 것 같습니다. 후자가 되면 전자는 당연히 되거든요.
대댓글 4개
옹졸한 맹자*
2021.04.16
추가로 뭘 해보고 싶으시면 그냥 자대 연구실 인턴으로 들어가셔서 국내 학회 간단하게라도 한편 써보세요. 저는 이정도면 아주 충분하다고 봅니다(고학점이라는 전제 하에)
2021.04.16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몇가지 궁금한 게 있는데요.
1. 고학점으로 졸업하면,, 연구실 지원에 영향이 없다는건.. 어떤 뜻인가요? 전기 or 후기 대학원 신입생 모집때 지원할 경우, 특별한 연구 스펙(ex.학부생 연구활동) 이나 실력(ex. 컴퓨터비전 구현 능력?)이 없어도 제가 가고 싶은 spk의 컴퓨터비전 관련 랩실에 들어가는 데에 어려움이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2. 혼자 구현해서 깃헙에 정리해보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컴퓨터비전 관련 대회나 kaggle 에서 비전관련 competition을 하고, 그 과정을 깃헙에 정리해보라는 말씀이신거죠?
kaggle 이랑 대회부터 찾아봐야겠습니다. 정말 막연했었는데, 맹자님 덕분에 방향이 잡히네요 ㅠㅠ 정말 감사합니다!
옹졸한 맹자*
2021.04.19
학부생에게 다양한 대외경험이나 인턴경험을 바라지 않는 연구실이 많습니다. 어차피 석사부터 다시 트레이닝 시켜야돼요. 타과 전공으로 AI쪽, 컴퓨터비전으로 가실거라면 코딩 능력은 검증을 하셔야 합니다. 석사부터 트레이닝하는건 학부를 마쳤다는 전제 하에 심화 과정을 배우는 건데, 기초적인 객체/알고리즘/데이터 구조 구현 능력, CS적인 사고능력과 논리력이 부족하면.. 사수/지도교수 입장에서는 조금 답이 없습니다ㅠㅠ
옹졸한 맹자*
2021.04.19
그래서 소위 말하는 최상위권 공대와 높은학점을 선호하는 것도, 학벌주의에 빠져서 그런게 아니라 단순히 "수학능력"과 "성실성", 기초가 얼마나 탄탄하냐를 보기 위해서 그렇습니다(저희 연구실 기준). 그래서 고학점일수록 이미지가 좋은게 사실입니다.
2. 맞습니다. 입상이나 아직 부담된다면 github에 kaggle 관련 프로젝트를 2-3개 정도 혼자 정리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좀 더 욕심내보면 최신 논문 트렌드를 따라서 구현한 결과가 있으면 아주 매력적일 것 같네요.
저는 cs, ai대학원 출신이 아니라 입장이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제가 다시 입시생으로 돌아가 ai대학원에 지원한다면 위 내용대로 최대한 고학점 졸업+구현 결과 학회 제출 정도를 할 것 같습니다.
2021.04.16
대댓글 2개
2021.04.16
2021.04.16
2021.04.16
대댓글 1개
2021.04.16
2021.04.16
대댓글 4개
2021.04.16
2021.04.16
2021.04.19
202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