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리고 제 경험상 진짜 부족한 애들은 자기가 부족하다는걸 모릅니다. 스스로 부족함을 아셨다면 조금씩 채워 나가면 됩니다. 그게 배움 아닐까요.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66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66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5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55 - 문장 몇줄 안되는거로도 찐따티가 나네 신기 ㄷㄷ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17 - 1. 학교가 높을수록 SKP 대학원 가가기 쉬워집니다. 지거국 경북대급도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만, 과에서 학점 잘 받으셔야 합니다. top급으로요.
그리고 한 3학년부터는 학부연구 인턴도 하시구요. 힘드시겠지만, 벌써부터 분야가 확고하시다면, 학부연구 인턴 1~2년 동안 낮은 저널이라도 SCI 1개는 1저자로 쓴다 생각하시고 도전하면 SKP 가느ㅇ합니다.
2. 학과가 제일 중요하죠. 기계관데 화공과 연구실 컨택하면 그 사유가 명확해야합니다. 학부 4학년때 배우는 기초 수업이 base인데, 그걸 안배우고 온다는건.... 크거든요. 핵융합 연구를 하고 싶으면 그에 맞는 과를 꼭 가세요.
3. 당연하죠. 물론 박사까지 받으면 본인 박사 연구 주제가 제일 중요해지구요, 학부과는 희석되죠. 그런데 석사까지면 학부 과가 여전히 중요합니다.. 오히려 석사가 학부를 덮지 못하죠;
4. 훌륭한 연구자가 되려면 지금 필요한 공부/연구를 집중하고 갈고 닦는 것입니다. 고등학교때는 수능을, 대학교 학부때는 전공 수업과 학점을 말이죠. 그리고 학부 때 연구 인턴을 들어가게 되면, 그 분야에 맞는 논문을 읽고 지식을 쌓는 것이구요.
대학원부터는 이러한 논문 읽고 지식 쌓는 것을 꾸준히 하면서 이제 본인의 연구를 시작해보는 단계입니다.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본인의 연구를 찾는 기간이죠.
즉, 언제나 불평 없이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고 꾸준히 하시면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편법을 노리지 말고, 남과 비교하지 말구요.
그렇게만 하면 비교적 낮은 대학교에 입학하더라도 이 스텐스를 유지해서 좋은 대학 교수까지도 가능합니다.
조언좀 해주세요
7 - "제가 만든거라 좀 그랬지만 프로그램을 드렸습니다." "그래서 그건 어려울거같다고 했더니".....
거기서 관련 연구를 한다는거 자체가 본인이 연구실 지원을 받고 있다는걸 언제 깨달을까
너가 그 연구실에서 연구 관련 무언가를 하면 다 연구실 소유야 제발. 니가 코드 좀 짰다고 니꺼마냥 굴지말고. 니꺼라고 쳐도 좀 공유하고 그래라 별 같잖은거로 소유욕 탐내지말고.
3.5년이나 있었으면 연구실에 하나라도 도움이 되고 그래라 좀.
아니다 넌 박사 과정 안 가는게 그 연구실에 도움 되는거니 하나는 도와줬네.
석사 졸업생인데 졸업전에 교수님과 사이가 안좋아졌습니다.
10 - 그럴 거면 군대도 2번 갔다와. 군대 갔다오면 사회가 다 착해보이고 헬조선이라는 말이 이해가 안감. 전역하면 사회가 천국으로 보임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10 - 끝까지 가는놈이 이기는거임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29 - 그런 애들 친하게 지내면서 콩고물 받아 먹어야징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1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60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2 - 1. 맞음
2. 맞음
3. 2가 맞기 때문에 대처할게 없음.
2에 대한 설명
현재 해당 랩 소속이 아닌것이기에 표면상의 이유는 논문에 넣을 소속이 없기 때문에 논문에 이름을 넣을 수 없음. 그 외의 이유로는 나간 사람을 굳이 넣고싶지 않음 정도가 있겠음.
만약 그 랩에서 석사 졸업이나 박사 졸업 정도를 한 뒤에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그 랩 소속으로 넣고 논문에 이름이 들어가는게 일반적임 (저자 순서는 좀 밀릴 수는 있음) 그런데 글쓴이는 학부연구생 이었던 것이므로 교수가 당연히 이름을 뺄 것임. 기여도가 어느 정도인지 관계없이 (보통 학부연구생은 실험쪽에 기여도가 있을 것이고, 논문 작성엔 기여도가 없을것임) 나간 학부연구생의 이름을 넣어주는 경우는 교수가 선심을 쓴 것이라 봐야함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8
교수 거르는팁
2021.01.24

1. 김박사넷 평가
- 조작질에 블락 존나함
2. 연구실 홈페이지
- 연구분야부터 연구인원까지 사기침
믿어도 되는것
1. 자대생 비율
- 자대생 진학률이 높으면 믿을만함
- 갔는데 죄다 타대생이다? 도망쳐라
2. 외국인 비율
- 외국인 많으면 도망쳐라... 특히 이슬람 인도 흑인 있으면 무조건 도망쳐라
3. 사람수
- 15명이상 대형랩이면 가지마라
4. 테뉴어
- 웬만하면 정교수 밑으로 들어가라... 뭐 젊은 교수 밑에서 유망한 분야 하고싶다면 어쩔수 없지만, 젊은 교수들은 연줄이 없어서 과제도 적고 테뉴어따려고 실적요구를 미친듯이 한다. 이건 본인이 열심히하면 뭐 극복가능
5. 연구실홈페이지에 사진첩
- 가끔 엠티나 뭐 그런사진 올리는 연구실있는데, 산에서 찍은사진, 엠티사진인데 숙소에서 술먹으면서 교수랑 찍은사진 있으면 가지마라
6. 연구성과
- 학부생이 판단하긴 힘든 부분이지만, 연구실 멤버랑 연구성과를 비교해보면 이 연구실에서 논문을 누가 얼마나 쓰는지 알수있다. 어디무슨 찌끄레기 국내저널 국내학회만 가득하고, 박사과정은 있는데 해외저널이 안나오는곳은 가지마라... (이건 분야마다 다르니 그 분야에서 대학원다니는 선배한테 판단해달라하셈)
7. 박사과정들 학기
- 가끔 연구실홈페이지에 있는 사람중에 통합 14학기가 넘은 사람이 있는데, 그 밑으로 고학기들이 줄줄이 있으면 가지마라 (ex. 17학기 15학기 11학기 7학기 이런식으로)
- 근데 고학기 한명빼고 다 정상 학기범위다? 그럼 그새끼만 병신인거라 괜찮음
위에 쓴 특징들이 뭐 한두개 있다고 교수가 백프로 병신인건 아님... 근데 하나씩 늘어날수록 병신일 확률이 많이 늘어남... 내기준 1~5번중에 3개 이상이면 안간다
자대 진학했는데 이상한교수 밑으로 갔으면 걍 씹찐따아싸새끼인 자신을 탓하고
타대 진학할때는 무조건 한학기는 인턴해보고 원서써라
대학원생들끼리 술먹을때 대화하는거 조용히 들어봐
이런것도 출처적어야하냐? 하도 논문적다보니 찜찜해서 적어둔다.
출처 : 디시
-
78 17 8037
대학교수되는 커리큘럼 김GPT 10 11 31553-
43 6 14448 -
54 10 6197
교수/랩 고를때 조심할 점들 김GPT 13 23 7383-
3 4 20110
대학원 다니면서 알게된 것 김GPT 22 17 14794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 김GPT 0 2 579-
5 8 10435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3 19 54924-
100 33 65187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317 100 89145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30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73 - 내가 글을 정말 못쓰는구나.....
37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8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55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62 - 첫 citation 뽕맛이 엄청나네요...
94 - 괴수랩 장점을 알아챔
24 -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12 - 맘편히 연구할 수 있게 밥주는 대학이 내게는 명문대다
9 - 원자력연구원 섹스충
11 - 음... 쓸까말까 고민... 10년전 이야기...
18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24 - Skp 대학원에서 이 스펙이면 많이 딸릴까요?
20 - 석사 월급 다들 얼마 받으시나요?
22 - 안녕하세요. 졸업을 앞두고 매우 고민이 많은 상황입니다.
9 - 교수 신고
7 - 지도교수 배정을 입학 후 거절하는 게 흔한 일인가요?
11 - 카이스트 떨어진 후 자대 컨택
7 - 카이 면접 후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ㅠㅠㅠㅠㅠ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3 -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1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4 - 교수 승진 요건에 학생 졸업 있나요?
7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17
2021.01.24
2021.01.24
대댓글 3개
202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