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터넷 세상이 다 그렇죠 뭐,,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5 - 인터넷만 보면 다들 서울대 교수임 ㅋ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1 - 아니 뭐… 평생교육원 같은게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인거죠. 누구나 이름대면 알만한 명문대에서 실제 연구진 양성을 목표로 인류첨단의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일수야 없죠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0 - 인터넷은 허언과 뻥 소수의성공자만 글씀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2 - 실제로 진학한 사람들은 보기만하지. 글 별로 안씁니다 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인터넷만 보면 대학 스카이도 가는 것도 쉽고 대기업에 취업하는 것도 쉽지 않나요ㅋㅋ 대충 그 정도 느낌이라 보면 될듯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5 - 신임 교수가 바쁜 당연하고 외부 미팅도 많은 게 당연함
미팅 100번 해야 1개 얻음 신임은
근데 자기 실험실 관리도 못하면 망하기 딱좋지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1 - 요즘 연구비 딸려면 AI 무조건 붙려야되서 그럼ㅋㅋ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3 - 옛날같으면 공학석사 졸업하면 앵간하면 다 취직됬는데
요즘은 신입 잘안뽑는데 그게 무슨 사람탓인가요 경기탓이지
하여튼 일단 반박하는 꼬라지
석졸 후 다 떨어지면 머하시나요
13 - 맨날 어디 미팅다니시고 밥먹으러 다니시고
미팅 <- 이게 일입니다
밥먹으러 <- 이게 일입니다.
뭐 교수가 박사띠리 교수따리 학부생따리처럼 입.문.서 같은거 보고 공부할줄 아셨습니까?
업계 최정상 사람들이랑 미팅 하면서 밥 먹으면서 트렌드 파악하는것도 일입니다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9 - 1. 신임교수는 첫 3년 정도까지는 수업 로드 때문에 연구할 시간이 없음
2. 신임교수는 연구실 세팅부터 정말정말 행정 잡일이 많음
3. 그래서 재임용은 보통 포닥 때 쓰던 논문들이 억셉되거나 박사/포닥 지도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실적 냄
4. 대학원생의 흔한 착각 중 하나가 본인이 공부해서 알려주면 교수가 잘 모를 때 자기는 똑똑하고 교수는 멍청하다고 생각함. 같은 분야라도 학문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데, 논문 몇 개 읽고 공부했다고 랩미팅 때 교수가 잘 모르는거 같아 무시하는건 진짜 철없는 짓.. 그 교수가 님 연차였을 때는 10배는 더 날아다녔음. 입지와 위치와 상황이 달라진거지 글쓴이한테 무시당할 사람들이 아님
5. 미팅하고 밥 먹으러 다닌다고 표현 하는것도 학계를 아예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 교수들은 최소 글쓴이 포함 대학원생들 했던거 다 했고 그중에서도 에이스였던 사람들이고, 지금은 그들만의 일/연구 하는 방식이 있는거임. 미팅을 술 마시고 노가리 까러 가는줄 아시나
6. AI 넣어서 융합하게 트렌드 따라가고 새로운 도전이고 그런건데 뭘 그렇게 무시하는지 모르겠음. 누구나 처음은 서툰거고, 그리고 원래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는 대학원생이 주도하는거임. 님이 그렇게 실력키워서 나중에 교수되면 님 제자가 똑같이 하고, 그러면서 학계가 순환하는거.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9 - 99% 교수문제임. 교수가 논문 쓰라고 독촉하고 검토피드백해서 퀄리티 높이려고 노력해야함. 학생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애초에 학생을 덜 받든가 고년차에게 맡겨서 공동1저자 주면서라도 정리해나가야함. 지금처럼 방치하면 절대 안됨. 많은 학생들 인건비 다 챙겨주면서 장기간 데리고있는거보면 연구비는 풍족한 것 같은데 교수입장에서는 연구비만 풍족할 수 있으면 논문 없어도 큰 문제가 없거든. 그러니까 방치해놓는거임.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5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6
교수 거르는팁
2021.01.24

1. 김박사넷 평가
- 조작질에 블락 존나함
2. 연구실 홈페이지
- 연구분야부터 연구인원까지 사기침
믿어도 되는것
1. 자대생 비율
- 자대생 진학률이 높으면 믿을만함
- 갔는데 죄다 타대생이다? 도망쳐라
2. 외국인 비율
- 외국인 많으면 도망쳐라... 특히 이슬람 인도 흑인 있으면 무조건 도망쳐라
3. 사람수
- 15명이상 대형랩이면 가지마라
4. 테뉴어
- 웬만하면 정교수 밑으로 들어가라... 뭐 젊은 교수 밑에서 유망한 분야 하고싶다면 어쩔수 없지만, 젊은 교수들은 연줄이 없어서 과제도 적고 테뉴어따려고 실적요구를 미친듯이 한다. 이건 본인이 열심히하면 뭐 극복가능
5. 연구실홈페이지에 사진첩
- 가끔 엠티나 뭐 그런사진 올리는 연구실있는데, 산에서 찍은사진, 엠티사진인데 숙소에서 술먹으면서 교수랑 찍은사진 있으면 가지마라
6. 연구성과
- 학부생이 판단하긴 힘든 부분이지만, 연구실 멤버랑 연구성과를 비교해보면 이 연구실에서 논문을 누가 얼마나 쓰는지 알수있다. 어디무슨 찌끄레기 국내저널 국내학회만 가득하고, 박사과정은 있는데 해외저널이 안나오는곳은 가지마라... (이건 분야마다 다르니 그 분야에서 대학원다니는 선배한테 판단해달라하셈)
7. 박사과정들 학기
- 가끔 연구실홈페이지에 있는 사람중에 통합 14학기가 넘은 사람이 있는데, 그 밑으로 고학기들이 줄줄이 있으면 가지마라 (ex. 17학기 15학기 11학기 7학기 이런식으로)
- 근데 고학기 한명빼고 다 정상 학기범위다? 그럼 그새끼만 병신인거라 괜찮음
위에 쓴 특징들이 뭐 한두개 있다고 교수가 백프로 병신인건 아님... 근데 하나씩 늘어날수록 병신일 확률이 많이 늘어남... 내기준 1~5번중에 3개 이상이면 안간다
자대 진학했는데 이상한교수 밑으로 갔으면 걍 씹찐따아싸새끼인 자신을 탓하고
타대 진학할때는 무조건 한학기는 인턴해보고 원서써라
대학원생들끼리 술먹을때 대화하는거 조용히 들어봐
이런것도 출처적어야하냐? 하도 논문적다보니 찜찜해서 적어둔다.
출처 : 디시
-
76 17 6795
대학교수되는 커리큘럼 김GPT 10 11 31458-
43 6 14189 -
54 10 5971
교수/랩 고를때 조심할 점들 김GPT 13 23 7255-
3 4 19653
대학원 다니면서 알게된 것 김GPT 22 17 14699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 김GPT 0 2 490-
5 8 10302 -
226 30 84709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 명예의전당 290 47 91041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53 32 50865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6 - 진짜 기쁘다
7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7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0 - 지방 국립대 3.5 학부생 대학원 라인
6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19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39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8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0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2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4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19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1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3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3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2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9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2021.01.24
2021.01.24
대댓글 3개
202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