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전공 변경해서 S,K 지원가능할까요...

2021.01.23

12

2814

** 전공 변경이 아니고 현재 전공과 같은 기계과랩실 입니다!
.
.
.

안녕하세요.

저의 현재 상태는,
현재 지거국 석사과정 2학기 마침.
학부성적은 지거국 4.35/4.5 _ 과 수석, 공대 차석인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석사과정 학점은 4.3/4.3 이구요.
학부시절 타 대학원 알아보다가 컨택시기를 놓쳐 자대 교수님 랩으로와서 석사과정 중입니다.

실적은 공공기관연구소(k...t)에서 2달 인턴해서 실험한 2가지 내용으로 현재 논문 2편을 쓰는 중이고,
산업부 산하의 다른 전문생산기술원에서 1달 인턴한 경험이있습니다. 그리고 이번년도에 주제를 정해놓은 논문이 있어서 1편 쓸 예정입니다.

제가 기계공학과를 나와서 대학원에서 기계설계, 기구해석을 위주로 하고있는데요. 이번 전문생산기술원에서 1달 인턴을 하면서 로봇제어(특히, 매니퓰레이터 제어에 관련된 연구, Inverse Kinematics)에 관심이 생겨 공부를 추가적으로하고있습니다. 하지만, 혼자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되어 로봇제어 관련 학과로 박사과정 진학 후, 공부를 이어나가고 싶은게 현 상황입니다.

로봇제어와 관련된 S,K의 대학원에 지원하는데 이정도면 많이 부족할까요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George Andrew Olah*

2021.01.23

말씀하신거로만 한해서 보면 k대의 사족보행하는 랩 두군데에 외골격 로봇하는 랩 정도같은데,, 셋 모두 상당히 인기있는 랩이긴 합니다.
단순히 입시자체를 뚫는데는 문제없어보이는 스펙이지만 (석사학점은 별로 소용없습니다.), 관건은 연구실 컨택하는 정도겠네요.
그나저나 단순히 kinematics나 dynamics풀고, 그것기반 제어정도로 논문쓰기 어려우실텐데,, 어느정도급 쓰시는건지요. 로봇관련으로 석사때 RA-L정도 논문만 제출해도 훌륭합니다.
석사과정한거로 2편을 쓰는건,, 어떻게든 biomimetic이나 soft robotics섞지 않는이상 어려우셨을텐데요. 기구부 설계를 독특하게 하셨나요?
George Andrew Olah*

2021.01.23

그러고보니 전공변경을 언급하셨네요. 말씀하신 내용으로보면 기계과랩실 생각하시는게 맞는것같은데요.. 전자과나 항공과도 보면 순수제어쪽 하는곳들 있지만, 생각하는 방향이랑 다를겁니다.
그리고 솔직히 로봇팔같은 underactuated system의 경우 kinematics나 dynamics, 제어등은 사실 너무오래된 토픽이고 너무 쉬운 개념이죠..

2021.01.23

└ 답글 감사합니다!
제가 언급한 논문 2편은 공공기관 인턴에서 했던 실험 관련 논문이고 분야랑은 별개의 주제입니다! 그리고 제가 준비하는 논문은 제어보다는 새로운 로봇 플랫폼 관련 주제입니다! 말씀 들어보니 전공 변경은 아닌거 같네요! 제목은 수정하겠습니다.
Alexander von Humboldt*

2021.01.23

지거국이 걸리는데
George Andrew Olah*

2021.01.23

어느정도 논문쓰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논문개수만큼 어디에 쓰는지도 중요합니다. iros icra ral tmech tie ijrr 정도에 쓰시는거면 충분히 어필이될것 같습니다.
사실 이 이하 저널에는 웬만하면 잘쓰지 않아요.. sensors정도일까요.
Giosuè Carducci*

2021.01.23

k는 가능
George Andrew Olah*

2021.01.23

여튼 어디에쓰시든지 주저자로 논문한편 써봤다는건 큰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제 주변 연구실들은 언급한정도의 저널에 석사과정끝날때 한편정도 투고하기에, 그 학생들만큼의 능력이 있다는걸 보여주시는게 좋아보여요. 서울대는.. 비슷한것 하는것이 어디잇지 다이로스 정도일러나요
Anaxagoras*

2021.01.23

서울대를 굳이 왜.. 카이스트 진학하세요
지거국에 수석이면 서류 통과되고, 면접 잘 보시면 들어갈수 있슴
George Andrew Olah*

2021.01.23

윗분들 좀 잘 모르시는것같은데, 박사과정 진학은 지도교수와의 컨택으로 거의 이루어집니다. 물론 입시과정도 있고, 최근 기계과내에서 전문연문제 등으로 박사진학 입시가 빡세졌다 하지만 솔직히 웬만하면 안걸립니다. 참고로 기계과는 전통적으로 통합이 거의없고, 석사 후 박사과정이며, 타대석사 출신들이 많지는 않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원하시는 랩이 로봇관련 랩일경우 기계과 내에서도 인기랩들 입니다. 컨택을 하시려면, 적어도 해당 랩 석사과정들에 준하는(혹은 그 이상의) 실적을 보유하시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도교수 입장에서도, 굳이 해당연구실보다 수준이 떨어지는 학생을 박사과정으로 받을 필요성은 없으니까요.
기죽이려는게 아니라, 더 동기부여되셔서 좋은저널에 쓰시는걸 목표로 하세요. 개인적으로 확실한 어필을 위해서는 TIE나 TMECH정도에 투고를 하거나, 최소 IROS/ICRA정도에는 투고를 하시는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게 아니라 적당한 저널들 (MDPI계열 등 30%정도의 저널들)에 투고한것은 제가 느끼기로는 '논문작성경험이 있네' 정도지, '석사과정때 좋은연구 했네' 라는 느낌은 안듭니다. 참고로 제가 로봇랩중 한군대라서 제가아는한 정보를 드리는겁니다.
George Andrew Olah*

2021.01.23

조금더 현실적인 정보를 드리자면, 제가 언급드린 4족보행로봇 관련연구하시는 ㅂㅎㅇ 교수님과 ㅎㅂㅈㅁ 교수님 모두 신생랩이며, ㅂㅎㅇ 교수님은 한동안 석사과정학생을 상당히 많이 받으셔서, 학생분과 학기가 비슷한 동기가 3-5명은 될겁니다. 동기가 많다는건, 박사진학때 결코 유리하지만은 않습니다. 박사국장은 연구실당 연간 한명정도 주기에 나머지는 모두 카장이여야 되는데, 카장을 많이뽑으려면 연구실에 프로젝트 펀딩이 많이 필요합니다.
ㅎㅂㅈㅁ 교수님은 부임하신지 일년되셨나,,별로 안되셨지만, 마찬가지로 석사과정학생들/학부연구생(URP)들이 많은것으로 압니다. 다만, 아직은 연구실규모를 키우실생각이시기에 잘하면 승산이 있을수있다고 봅니다.
그 외에 외골격하시는 ㄱㄱㅊ 교수님도 부임하신지 오래되지는 않으시고, 석사를 많이받으셨어서 아마 박사진학을 같이 경쟁할 사람들이 3-4명정도일것 같습니다.
MSC랩은 앞으로 인원감축목적인것으로 알고있어서 컨택이 어려우실듯 하고, 제가 알기로 산공과에 ㄹㅈㅎ 교수님 이분도 로봇쪽연구하시는데 상당히 잘하시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순수 매니퓰레이터 관련 연구하는랩들은 이정도같네요. ㄱㅈ 교수님도 외골격로봇 하시지만 최근 소프트로봇쪽 연구많이하시느듯하고, ㄱㄱㅊ 교수님이 외골격로봇쪽으로는 더 잘하신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2021.01.23

└ 와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

2021.01.24

George Andrew Olah/ 저도 질문 한가지만 해도 될까요? 전자과에서 제어공학을 로봇에 관심이 생겨 랩실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전자과에서는 비젼이나 학습에 관한 응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 분야는 유망하지만 흥미는 별로 느껴지지 않습니다.(저는 설계부터 시작해 제어를 하고 싶습니다.) 해서 기계공학 랩실을 알아보고 있는데 카이스트 기계공학과는 필기시험이 있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 같은데 추천해 주실만한 다른 랩실이 있으신지요? (휴머노이드,4족보행,외골격 모두 관심이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