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케인데 먼가먼가라서 저널논문 하나 더쓰고 있긴합니다,, 커널 만지는 입장이다 보니 그냥 이거 최적화 되겠는데??? 싶은거 몇개 찾으면 논문감이 되긴하더라고요 아직은 학부긴한데 원래 학부생때는 어느정도 해야 마지노선인지를 모르겠어서 계속 뭔가 하고있긴한데 남들보다 느린가 빠른가 감을 못잡겠어서,,,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8.02
목표가 어디냐에 따라 어느정도 하는지가 달라지겠죠?
대댓글 3개
2024.08.03
시스템 계열 교수가 목표입니당,, 최적화 만지고 싶어서,,
2024.08.04
교수가 목표시라면 학부때가 중요하지는 않을거같은데요? 석사빨리 마치고 박사-포닥때가 중요하죠
2024.08.04
ㅔ 그런가요??? 감사합니다,,,
2024.08.15
목표가 교수시라면, 석박 과정이 기본적으로 중요하고 그다음으로 포닥 과정이 중요하겠죠. 학부생이라서 잘 모르시겠지만, 교수 사회에서 MDPI는,,,논문으로 대우 잘 안해줍니다. 워낙 논란의 여지가 많은 저널이라서요. 상위10% 이내 저널에 지속적으로 여러 편이 있어야 의미가 있습니다.
커널 만지는 입장이다 보니 그냥 이거 최적화 되겠는데??? 싶은거 몇개 찾으면 논문감이 되긴하더라고요 => 본인 입장에서는 논문감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그냥 MDPI에 낼만한 수준의 연구일수도 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8.22
알림이 안울려서... 이제봤습니다
한국에서는 커널 개발 논문을 찾기가 힘들어서.. mm 계통 최적화가 어느정도가 MDPI 이상급인지 가늠이 잘 안되는데 어느정도 최적화가 논문급이라고 칭할 수 있을까요?
2024.08.22
한국에서<는> 이라는 말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Google Scholar나 Web of Science에서 논문 검색을 하실텐데, 한국이라고 구속조건을 만들어서 검색을 하시나요? 국적 없이 찾아보셔야죠 ㅋㅋ SCIE 논문을 평가하는 사람들은 타국 연구자들이 주로일텐데요. 그리고 논문이 없다는 것은 두 가지로 해석됩니다. 연구적인 값어치가 없거나 정말 블루오션 같은 분야거나.
2024.08.23
아직 논문 읽는게 힘들어서 으흑흑 한글 논문이 좀 읽고 싶은데 (커널 5 이상은 한글 논문이 거진 없다싶이 해서,,, 아직 영어논문 읽을때 이틀정도 걸려서 슬픕니다 ㅠ) USENIX 논문쪽 참고하고 있는데 괜찮은가 모르겠네요...
2024.08.02
대댓글 3개
2024.08.03
2024.08.04
2024.08.04
2024.08.15
대댓글 3개
2024.08.22
2024.08.22
202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