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 맞습니다 people에게 easy하고 happy하게 deliver하는 ability는 human이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9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3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30 - 중딩급 능력의 박사생은 봤습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5 - 석사가 논문 1편써도 대단 or 믿을까 말까인데 5~6편인데다가 대학도 그리 높지않다면 120% 교수가썼다고 생각할거같네요
석사는 논문보다 학벌이 중요한가요?
10 - 그냥 학계가 회사에비해 힘을 못쓰고있으니까 accept을 줄여서 퀄리티를 높이는것을 포기하고 아예 늘려버려서 돈이나 벌자는 식으로 귀결된거임 걍 수업한번들은 학부생이 대충 베이스라인논문 베끼면 통과하는수준
ACL EMNLP 를 포함한 전반적인 자연어 논문들 퀄리티가 많이 내려간 것 같네요?
11 - 원래 교수라는 것이 다 그런거니까, 이해해줄 수 없나요?
교수도 사람이고 감정이 있습니다.ㅎㅎㅎ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16 - 어이 김씨 헛소리 그만하고 잠이나 자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22 - 굳이 쪽팔일 것 까지야.. 시도도 안해보는 사람도 많은데요.
자괴감들고 쪽팔려서 죽을거 같네요..
9 - 요약하면 노력도 준비도 안해놓고 바라는 건 많다네요... 보통 눈 앞에 있는 거 치우기도 힘들어서 딴 거 신경 쓸 시간이 없을텐데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3 - 글을 읽을 줄은 아시나요?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9 - 관심이 없으시면 애초에 연락을 안하셨겠죠
면접이 떨어졌는데 다른 교수님한테 연락리 왔습니다
11
교수님을 따라가도 될까요?
2023.08.11

대학원 진학과 관련된 커뮤니티를 찾아보던 중
김박사넷을 알게 되어 첫 글을 쓰게 됐습니다.
우선 제 학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립대 사범대 00교육과 재학 중 (서울대는 아닙니다)>
<학점 3.8>
아니 사범대면 임용고시 준비하면 되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을 조금 드리자면,
사범대에 다니면서,
임용고시 하나만을 준비하기에,
“1-3학년 때까지는 놀고
4학년 때 시험에 집중하자”
라는 마인드가 좋기도 하지만,
다른 친구들은 경진대회 등에
나가서 수상도 하고 스펙도
쌓는 모습에, 저도 뭐라도 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30대 초반의 새로 오신
교수님께서 연구 인턴을 모집한다고
하시기에, 지원하여 1년간 활동했습니다.
(한글 논문 읽기, 영어 논문 읽기만 한 거 같네요)
연구인턴이 끝날 무렵
교수님께 대학원 진학을 여쭈어보니,
교수님께서도 학교를 옮길 예정이시라며
본인이 있는 대학교로 대학원 진학을
권유하셨습니다. (강압적이지 않았습니다.)
젊은 나이에 교수님이 되셨기에,
롤모델로 생각하여,
나도 저렇게 되고 싶다! 하기도 했고,
교수님 전공이신
경영 정보도 문-이과가
골고루 섞여있는 듯한 학문이라
꽤나 매력있게 느껴졌습니다.
임용고시를 아직 빡세게 준비하지는
않았지만, 임용고시에서 도피하고자
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은 아닌지
굉장히 스스로에게 많은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만,
제 마음은 대학원 쪽으로 기울어만 가네요.
저..교수님 따라가도 될까요..?
(학교 이름을 밝혀도 될 지는 모르겠지만,
교수님께서 옮기시는 학교는 경ㅂ대이고,
제가 재학중인 학교는 사범대 특화 공ㅈ대입니다)
-
378 71 48842 -
172 20 74107
교수랑 친구먹었습니다. 김GPT 93 16 27027
교수면담 김GPT 0 7 2884-
2 7 1668
교수님 생신 김GPT 7 5 5623
도피성 박사진학 김GPT 2 1 3156-
5 8 9745 -
43 11 33269
우리 지도교수님.. 명예의전당 150 32 49705-
162 32 44255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03 41 24853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17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1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6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3 - 학부생 스펙 이정도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AI대학원 가능할까요?
5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7 - 현재 석박사님들이 생각하기에
7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8 - 대학원에서 연구주제는 원래 내게 가장 바보같나요
3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4 - 박사, 석박통합 진학 고려하시는 분들을 위한 주관적인 글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