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진학] spk 아니면 kist 학연이나 일반대학원이나 비슷한가요?

2022.10.27

9

1042

현재 박사진학을 결심한 상태입니다. 지거국 중 한곳을 나와서 현재 연구기관 인턴중에 제가 진짜 하고싶은 일을 하려면 박사 자격이 필수더군요.

나름 제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 해보았을 때, spk를 당장 가기엔 준비를 조금 해야만 하고(최소 한학기 생각중입니다.) kist학연및 타 대학원들은 상대적으로 쉬운것으로 알려져 있죠.

그래서 저의 고민은
1. 준비를 한학기던, 1년이던 하고 spk를 가는 것
2. 준비를 할 시간에 빠르게 박사과정에 진입하는 것
인데요.

그리고 여기서 파생되어서,
1. kist학연
2. 서울권 대학교 일반대학원
인데요.

상대적으로 학연에 대한 부정적 글을 많이 보아서 spk가 아니라면 타 대학 일반대학원과 kist학연과 비교하면 어느정도인지가 궁금합니다.

제 머리속 조차 정리되지 않아 복잡하게 물어서 죄송하고 소중한 의견 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10.27

영어성적 미달이 아니면 대학원 진학에 뭔 준비가 필요한지 모르겠고(솔까 학벌 학점이 다 먹고 들어가는데... 재학중이면 학점이라도 올리지...)

학연을 안좋아하는건 연구소는 교육기관이 아니기 때문임. 무슨 서울 중위권과 비슷하다 이런 비교가 궁금한거같은데 그런 비교 자체가 성립되기 어려움.

대댓글 5개

2022.10.28

아하, 수준적인 비교가 아니라 교육기관이 아니기에 학문적인 깊이가 모자랄 확률이 높다는 것인가요?

2022.10.28

영어성적이 높지만은 않아서, 영어성적 올리고, 컨택하고, 현재 전공과 다른일 중이어서 관련 프로젝트나 인턴경험 하면서 다시 배워야 하나? 하는 고민했었습니다

2022.10.28

제가 하나 궁금했던 부분은 졸업 후 기준으로, KYSSH 일반대학원 박사와 KIST 학연생의 인식이 궁금했었습니다.

2022.10.28

영어성적은 커트만 넘으면 크게 의미 없습니다. 각종 경험도 확실한 논문 같은 산출물이 아니라 경험 별 의미 없고요.

학문적 깊이가 아니라 교육자적 자세, 강의스킬 등에서... 교수들이 욕을 많이 먹긴 하지만 그래도 직업군 자체가 교육이라 경험이 많습니다. 정출연은 아니죠.

2022.10.28

학연하고 일반대학원 인식 차이는 없습니다. 학위증으로 구분도 못해요.
재빠른 카를 마르크스*

2022.10.27

대학원 진학 한학기 일년 준비한다고 해서 지금 학위중이 아닌데 좋아질 일이 거의 없을건데...

대댓글 2개

재빠른 카를 마르크스*

2022.10.27

이게 연구실적이 중요하다 이런게 학부때 학점 따는 와중에 연구실 인턴하고 그런 게 중요하다는 거지 졸업하고 어디 연구소나 기업에서 잠깐 일해서 근무경력으로 그걸 커버친다? 그런 개념이 아님.

유의미하게 확률 올릴 방법은 그 들어가고 싶은 연구실에서 학졸급 인턴 하는거임. 받아준다면.

2022.10.28

제가 가고싶은 연구실 보니, 다들 학벌이 어마무시해서.. 조금 쫀 것 같기도 해요. 현상황에서는 인턴 말고는 딱히 준비할 수 있는것도 없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