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첫 논문의 논문라이팅 시간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022.09.22

13

1073

안녕하세요. 저는 아직 새내기연구자에 불과한 석사생입니다..
운이 좋게도 작년 10월부터 첫 논문에 대한 라이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최종 figure list가 나온지는 10개월정도 되었습니다.)
1년 가까이 된 시점인 지금까지도 논문라이팅이 끝나지않아서..답답한 마음에 질문드립니다.. 보통 첫논문의 라이팅 기간은 어느정도 되셨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09.22

제 경우 석사 때 1달 반정도, 지금은 7~10일정도 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9.22

의견 감사드립니다.. 제가 좀 많이 기네요... 지도교수님의 컨펌에 의해서 수정만 50번은 한듯 합니다..

2022.09.22

저희방은 대부분 첫논문은 한두달 정도 걸리던데 분야마다 다르죠. 포닥이나 박사말년정도 되면 데이터만 있으면 하루이틀잡고 쓰시기도 하더라구요

대댓글 1개

2022.09.22

톨스토이님 말대로 분야마다 다르다는말은 충분히 공감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2.09.22

다들 대단하시네요. 해외 탑 대학원 대가랩에서 박사중인데 여기 에이스 포닥들도 피겨 나오고 한달넘게 논문써서 투고 하고 박사생들은 평균 2, 3달 걸려서 투고하는데.. 이제 우리나라 사람들의 영작문 실력이 네이티브들보다 더 좋아진건가요. ㄷㄷ 참고로 분야는 재료쪽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9.23

사람마다 다른것을 인정하지만 쉽진 않네요..

IF : 5

2022.09.22

저도 1년 가까이 걸린듯 하네요. 쓰다가 부족한부분 채우고 다시 쓰고..

대댓글 1개

2022.09.23

감사합니다 파스퇴르님!

IF : 2

2022.09.22

초안도 아니고 모든 편집이 다 되어서 억셉을 기대할만큼의 수준까지 작성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저는 연구 결과 데이터가 다 있다고 가정할때 8페이지의 짧은 paper도 투고하기까지 약 2달의 시간이 걸립니다. 박사따고 5년이 넘었고 꾸준히 논문 쓰고 있습는데도 그래요.

그런데 석사생이 혼자 라이팅 다하는데, 분석 및 디스커션까지 완료되지 않은 연구에 대한 거라면 10개월도 이해는 갑니다.
논문을 위한 글쓰기 자체가 수많은 고민과 훈련이 필요해요.
그래서 대부분의 학부나 석사과정생의 논문은 사수나 지도교수의 적극적인 개입과 첨삭이 있어서 완성됩니다.

힘내세요.

대댓글 1개

2022.09.23

박사따고 5년이 넘었음에도 그렇게 시간이 걸리시는데 1년이 걸리는것에 대한 걱정은 조금 이르다는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정직한 게오르크 헤겔*

2022.09.22

개인적으로 직접 본 경우 중에 고퀄로 젤 빠르게 쓴 사람은 2-column ACM Proceddings format으로 12페이지를 일주일만에 쓰긴 하더군요. (저희 분야 대가의 라이징 스타 시절) 교수였고, 아마 수업도 한 개 했던 걸로 기억... 별개로 저 석사 때는 지도교수 첨삭 포함 한달정도 였던 것 같네요. 근데 그만큼 급하게 써서 퀄은 별로 안 좋았음.

대댓글 1개

2022.09.23

참.. 퀄을 높히기 위해서 라이팅을 잘해야하는것은 너무 당연하나 석사때 논문을 내고싶다는 욕심에 조급했던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9.24

데이터만 있으면야... 박사과정때 다른친구랑 밤새 AFM찍으면서 초안 하루밤에 써서 이튿날 검토하고 서밋해서 AM 한편 낸적 있네요.
첫논문은 초안에 한달정도 걸렸습니다만 수정에 수정 반복하다보니 안바뀐 문장이 없을정도로...ㅋㅋ
앉아서 탬플릿 놓고 쓰기 시작하는게 절반이고.. 맘에안들아도 안지우면서 일단 써놓고 나중에 바꾸는게 편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