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가 교수 되기 전에 쓰신 논문일수도 있고, 교수가 1저자 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유독 교신저자=지도교수가 공식인 것마냥 당연히 여겨지는데 그게 의무는 아니니까 그냥 교수가 1저자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방정맞은 하인리히 헤르츠*
2022.08.16
교수는 1저자 안합니다
IF : 5
2022.08.16
최근 나온 논문들까지 다 1저자에 교수만 있다면, 최소한 그 랩에선 아직 학생이 1저자할만큼 연구에 참여해서 나온 결과물은 없다는 얘깁니다. 지금 상태에선 별로 추천하고 싶진 않네요.
상처받은 프란츠 카프카*
2022.08.16
신임교수들은 이전 랩실에서 쓰던거 조금 있을 수 있어요
2022.08.16
신임교수요
2022.08.16
교수는 실적으로 구분받기 위해서는 1저자 혹은 교신저자여야 합니다.
보통은 교수가 논문을 지도해주는 역할을 맡지, 논문을 쓰거나 실험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지않다보니 교신저자로 가죠.
1저자로 간 경우에는, 교수가 스스로 연구참여부터 논문작성까지 contribution이 크거나(학생이 실험도중 런한 경우도 있겠고, 혹은 다른기관과 같이쓰는 빅저널 리뷰페이퍼에서는 교수가 저자로 쓰는경우는 많습니다.), 혹은 교수가 쓸데없는 주저자욕심이 있어서 학생 논문을 뺏거나 일것같네요.
혹은 윗분말대로 교수임용된지 얼마안됐다보니 전소속기관에서 작성한게 지금 publish됐을수도있고요.
결과적으로는 교수가 주저자든 교신저자든 둘다 제대로 비교해볼필요가있고, 임용이된지 오래됐는데도 주저자로 쓰시는경우에는 연구욕심이 많으셔서 스스로 열심히하시거나, 학생논문을 뺏거나 할수도있어보입니다.
쇠약한 정약용*
2022.08.16
애들 수준이 떨어지면 교수가 연구 진행하고 1저자 넣기도 합니다.
2022.08.16
학생들이 시키는 실험만 기계적으로 하고 실험 설계, 논문 작성, 그림 구성 등을 교수가 실질적으로 다 하였다면 교수가 1저자로 논문 내기도 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면 학생들은 싫어하겠지만...
2022.08.16
애들 수준이 떨어지면 교수가 1저자로 캐리합니다... 신임교수가 아니더라두요.
2022.08.16
아니면 프로젝트 규모가 엄청 크고, 여러 랩이 할때는 교수가 1저자로 들어가기도 해요. 더 시니어 교수들이 교신저자들로 들어가고..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