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진학을 앞둔 3-2학기시기인데
의과학쪽에 관심이 생겨서요...근데 서치를 해보니
생명과학-->의과학으로 진학은 다들 비추하시더라구요
어쩌면 자격증 유무로 차별이 있을수있다고..
의과학 아니면 면역이나 미생물쪽에 관심이 있는데
나중에 취직이 좀더 유리한쪽으로 가고싶다면 의과학보반 면역/미생물 이쪽이 더 나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2.08.14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지원하세요 거기는 일반 병원 부속 의과대학원이랑 달라요
대댓글 1개
2022.08.14
헐 그렇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하나더 궁금한게 석박이후 취업률같은거는 생명과학이나 의과학이나 차이가 있는게 (어느쪽이 유리하다 이런게 있는지 궁금해요) 아니라 본인하기 나름인거죠??
2022.08.15
요새는 그런 것 별로 없습니다.
여러 바이오 학회를 가봐도 생명과학, 생명공학, 의대, 약대 다 섞여 있고요. 바이오에서 질병 관련 아닌 분야를 찾기 어려워서요. 이공계 박사가 의대 교수로 오고 의대 박사가 이공계 교수로 갑니다. 본인 실적과 능력 있으면 문제 없습니다.
근데, 진짜로 좋은 랩인지가 중요합니다. 그 분야 잘 나가는 랩인지, 학생 주저자로 논문이 얼마나 나오는지요.
그리고 임상교수 랩은 함정 비율이 높습니다. 제대로 연구 안하는 랩이 많아서요. 기초교수 랩은 자연대랑 분위기 비슷합니다.
결국 진짜 좋은 랩을 고르면 되는 겁니다.
대댓글 2개
2022.08.15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그러면 혹시 임상교수랩인지 기초교수랩인지
구분하는 방법은 교수님이 MD인지 PHD인지 보면 되는걸까요?
2022.08.15
의대홈피 말고 병원홈피에서 검색하면 임상교수님들은 의료진으로 나오겠지요.
임상교수 랩들 중에도 소수지만 연구 잘하는 랩들 있긴 해요. 그래서 최근 논문과 주저자가 학생인지 이런거 봐야하고요. 의대는 연구논문인지 임상논문인지도 구별해야죠. 환자 케이스 리포트 같은 건 랩 연구랑 상관 없으니 무시합니다.
2022.08.14
대댓글 1개
2022.08.14
2022.08.15
대댓글 2개
2022.08.15
2022.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