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사수 있는 인턴은 뭘 하나요?

2022.07.20

10

1147

타대에서 인턴한지 이제 막 4주차 된 4학년 학부생입니다.
들어왔을때부터 교수님이 박사과정 사수를 붙여주셨는데요,
초반에는 그 사수분 출장준비 도와드리느라 한주가 후룩 지나갔어요.

그 다음주에는 실험 하나 배우고 잡일 돕고 논문 읽다가 한주가 지났고,
3주차 동안에는 내내 사수가 출장가있어서 맡기고 가신 실험 하나 하고, 혼자 논문보거나 그래프 그리는 프로그램 독학하면서 받은 엑셀 파일로 이것저것 그려보거나 혹은 남아있는 다른 원생들 실험 보조하거나 잡무 도와주면서 한주가 지났어요.

그렇게 지금 4주차가 되었는데 사수가 실험하지 않을 때는 뭘 하는게 맞는건가요
할게 없으니 첫날 주신 논문들 있는 파일에서 읽고싶은 논문 골라서 읽고 그러다 질리거나 힘들면 딴짓 조금 하다가 다시 읽고.. 그러고 있는데 보통 다들 그런가요?

내년 전기에 이곳으로 진학하고 싶은 마음도 있어서 그런지 이렇게 하루종일 책상에 앉아 논문보거나 이런 글 쓰거나 하고 있으면 안좋은 인상이 박히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원래 교수님이 기계 하나 새로 들어오면 그걸로 사수랑 같이 실험하라고 했었는데 문제가 생겨서 약 한달정도가 미뤄진거거든요
언제부터 그걸 시작할수있을지도 모르고... 8월은 다가오는데 제가 3주동안 한거라곤 논문 5개 읽기, 실험 하나 배우기, 이런저런 잡일 돕기밖에 없는데 다들 그런지 궁금합니다.

저보다 조금 일찍 시작했던 자대생 인턴 한명은 혼자 독자적인 실험 하면서 다른 박사과정생한테 물어보기도 하고 늘 실험하느라 바쁘던데 저는 그런게 없으니까 미칠거같아요
그 친구는 졸업논문 써야해서 아마 그거때문인거같은데.. 하아..

이런 상황에서 다음 학기에도 인턴 쭉 하고싶다고 말씀드리고 싶지만 받아주실지도 의문이고 자괴감 미치겠어요.
다들 바쁜데 컴퓨터 앞에서만 일을 하고, 그럼 저는 방치된채로 논문이나 읽고 있고.. 뭔가 하고싶은데 시키는것도 할수있는것도 없으니 제가 너무 쓸모없는 인간이 된거같고 그래요.

교수님이 저한테 종종 수동적으로 말고 능동적으로 배우라고 그러시는데 지금 당장 상황에서 배울게 없는데 뭘 어떻게 하라는건지.. 할거없나요? 물어봐도 없다는데 제가 뭘 어떻게 해야하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춤추는 알렉산더 플레밍*

2022.07.20

우리방도 타대생들 오면 그냥 구석에 앉아 있다가 어느순간 안 나오더라구요
실험해보고 싶은 거 그냥 물어 보면서 하면 돼요. 논문읽고 실험해보고

대댓글 2개

2022.07.20

어느순간 안나왔다는게 그만뒀다는 뜻인가요? 아님 인턴 하기로 한 기간 다 안끝났는데 그냥 어느순간부터 말그대로 안나왔다는건가요?.. 실험을 하려면 샘플이 필요한데 그건 제가 멋대로 쓸수있는게 아니어서 여쭤보면 다음에 같이 하자고 하시네요
춤추는 알렉산더 플레밍*

2022.07.20

그냥 적응 못하고 자기가 그만 하겠다하고 나가는 거죠
대학원 스타일에 안 맞는거 갔으면 빨리 나가는게 답이긴 하죠
쑥스러운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07.20

본인 타대출신인건 왜 쓴건가요??차별 받는다고 말하고 싶은건가
데이터 처리하는 법을 배우거나 논문 데이터 해석이나 분석 툴 다루는거 배우거나..보통 진학 목적인 학부생들은 알아서 잘 물어보고 기본적인건 다 배우고 입학하는데
교수님도 답답하니깐 수동적으로 배우지 말고 능동적으로 배우란 소리 하시지..

대댓글 3개

2022.07.20

그냥 타대 출신이라 타대 출신이라고 쓴건데요..? 전공 특성상 대부분의 연구실이 많아봐야 자대반 타대반 비율이라 차별 이런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제가 글을 쓴 요지는 사수가 실험 일정이 없거나 출장 등으로 연구실을 비울때 저는 혼자 논문 읽으면서 공부하거나 다른 원생들 잡일 도와주거나 하는 중인데 보통 인턴들도 다 그런지 물어본건데요

2022.07.20

ㅋㅋㅋㅋㅋ 또 사람들 타대생에 꽂혀서 급발진 하시네요. 학부생인턴 들어와서 능동적으로 본인이 실험할것 찾아서 하는사람이 얼마나 된다고요. 대다수가 위에 선배 눈치보면서 시키는것하다 가죠. 특히 인턴많은 연구실이라면 박사과정들도 인턴들 데리고 인수인계해주면서 뭘 하려는게 더 고생이라서, 적당한 프로젝트 시키거나 공부시키는게 전부일텐데요.
저또한 학위과정중 개별연구+UPR 2년가량했는데, 개별연구할때는 5-6명이서 같이했어서 그냥 논문보고 실험시키는것있으면 조금 해주는정도였고, URP할때정도 돼야 제가 연구 능동적으로 하기시작했어요. 이후에 학위과정 받는동안에도 최소 제 밑으로만 10명이상의 학생들이 있었는데, 제가 열심히 봐준적도 있었고 프로젝트/졸업준비때문에 바빠서 간단한 테스크를 준적도 있었지만, 눈에띄게 능동적으로 뭔가해본 학생은 극소수였습니다.
뭐 그리들 잘나셔서 고작 학부생한테 능동적으로 연구해야된다, 타대출신인걸 왜쓰, 진학목전인 학부생은 알아서 잘한다 이런말을 해대시나요 ㅎㅎ
학부연구생들 입장에서는 뭘해야될지 모르는게 정상이고, 사수가 얼마나 테스크를 정해주는지에 따라서 할게 많을수도 있고 적을수도있지만, 관리하는것도 박사과정한테는 득보다는 실이되는 경우가 많은 귀찮은 일일때가 많아서 방치할때가 많은건 너무 일반적인사실같은데요?

2022.07.20

사수 아닌 다른 대학원생분한테 여쭤봤는데 지금 이제막 출장 끝나서 시료들 잔뜩 생긴 상태이고 그 문제의 기계도 곧 해결될 예정이라 조만간 바빠질거다, 그러니 지금을 즐기면서 관련된 논문 읽고 필요하다면 노트테이킹 하면서 공부하고 있으면 된다, 인턴으로써 지금 제가 느끼는 것과 같은 감정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이다. 라고 해주셨어요.

그래서 우선 지금까지 했던대로 주제 관련 논문 읽으면서 공부하려고요

2022.07.20

대학원이라는 곳이 원래 혼자 필요한거 찾아서 공부하는 곳임 인터넷을 뒤지든 책을 뒤지든 논문을 뒤지든 등등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찾아서 이해하고 지식습득한다고 생각하몈됨
4학년이면 학부에서 배우는 과목들은 다 들었을테고 연구분야 하나를 정해서 더 알고싶은거나, 자기가 좀 부족한 부분이나, 최신 논문들 찾으면서 공부하면됨
사수라는 것도 이거해라 저거해라 다 알려주는 구몬 선생님 개념은 아님
제가 첫줄에 쓴거처럼 '필요한거 찾아서'에 해당하는 필요한거 물어보면 알려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게 좋을듯
님 연구실에서 하는 연구 분야가 어떤게 있는지 잘 모르면 교수나 연구실 다른 선배들한테 어떤 분야가 있는지 대략적으로 물어보세요 그중에 관심 있는거 하나 파고 들어가는거 추천

대댓글 1개

2022.07.20

우선 교수님이 저한테 사수를 붙여주실때 그 사수분의 주제를 같이 하라는 식으로 말씀하셔서 어떤 주제로 제가 실험을 하게될지는 대략 알고있는 상태였어요. 그래서 지금 공부하고있는 논문들도 다 그쪽에 관련된 논문이구요. 문제는 아직 새로 들어온 기계에 문제가 있어서 (곧 해결될거같지만) 본격적인 실험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우선 사수 아닌 다른 대학원생분한테 여쭤봤는데 지금 이제막 출장 끝나서 시료들 잔뜩 생긴 상태이고 그 문제의 기계도 곧 해결될 예정이라 조만간 바빠질거다, 그러니 지금을 즐기면서 관련된 논문 읽고 필요하다면 노트테이킹 하면서 공부하고 있으면 된다, 인턴으로써 지금 제가 느끼는 것과 같은 감정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이다. 라고 해주셨어요.

그래서 우선 지금까지 했던대로 주제 관련 논문 읽으면서 공부하려고요

2022.08.03

좀 늦긴했는데, 저도 학부인턴중입니다. 인원이 누구건 실험실 들어갈때 같이 봐도되냐고 여쭤보고 같이 들어갔어요. 같이 들어가면 선배님들께서 무슨 실험이고 지금 뭐하고 있다고 이야기해주셨어요. 그때 나오는거 전부 손노트?작은노트에 받아적고, 들어도 모르는단어 다 적었습니다. (로아엘(LOAEL)?SDS?CTC?IHC?등) 남은 시간은 그것 찾아보면서 워드에 일기처럼 그날한것그날배운것 적으면서 시간 보냈어요. 예를 들면, western blot할때SDS가 뭔지, 왜 넣는지등이요. 그러면 외국사이트에서 정말 잘 설명해놓은것 읽어봤습니다. 사이트를 찾았으면 워드의 참조 기능 이용해서 사이트 링크달아놨었습니다.
지금은 어떠실지 모르겠지만 화이팅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