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들이 좀 꺼려 하시나요..?
아래 글 보고 무서워져서 조금 써봅니다. 기만 아니구요 제가 걱정되는 부분은 얘는 대체 뭘 하느라 대학교를 5년, 6년, 7년이나 다닌거지? 학업 역량이 좀 딸리나? 이런 생각이 들까봐요..
저는 작년에 원래 해외대학의 학부생연구인턴 비슷한거에 선정되어서 휴학을 하고 미국에 갈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뜻하지 못하게 코로나 시국이 심해지면서 그 프로그램이 취소되었어요. 2학기에라도 복학을 했어야 했는데 그때 당시에는 학교 커리 생각해서 1년 쉬는게 낫겠다고 보고.. 1년 쉬고 올해 복학을 했습니다.
복학 후 그대로 졸업하면 25살 졸업이 되는데 (24살 4학년, 25살 2월 졸업)
복수전공 등 사정이 좀 있어서 학업 연장을 할까 생각중에 있습니다. 그러면 초등학교도 아니고 대학교를 순수하게 6년 다닌 사람이 되는데요..ㅠㅠ
교수님들이나 대학원 입시 과정에서 안좋게 볼까요??
그리고 정말 한심하게 들리시겠지만 휴학기간 따로 한 활동은 자대 학부연구생 말고는 따로 없습니다. 누군가 휴학 사유를 물어볼때 저런 사정을 구구절절 말할수도 없고 그냥 논걸로(그리고 솔직히 의도 했든 의도 안했든 논거 맞긴함) 보일텐데 입시가 너무 걱정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나른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1.10.10
아무도신경안써요.
2021.10.10
현직 교수인데 케바케지만 대부분 신경 안씁니다.
2021.10.10
아무도 신경 안씁니다. 저도 여자고 사정이있어 학부를 1년 더 다녔는데요. (휴학 없이 순수 5년 다녔습니다.) 박사 마치고 포닥하고있는 지금까지 아무도 대학원을 왜 1년 더 늦게 시작했는지 물어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나중에 대학원 면접같은데서 휴학 기간에 뭐했는지 물어볼수는 있지만, 글쓴분께서 휴학기간동안 구체적으로 뭔가 활동을 했다고 얘기하지 않아도 크게 크리티컬하지 않을거에요.
2021.10.10
그냥 실연의 상처로 폐인 돼서 1년 쉰 저도 잘 살아요 ㅋㅋㅋ
대댓글 2개
기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1.10.10
살아 숨쉬는 게 중요한 게 아니잖아
2021.10.11
아니 ㅋㅋㅋㅋ 웃으면 안 되는데 댓글에 답글까지 완벽하네 ㅋㅋㅋㅋㅋ
쇠약한 정약용*
2021.10.10
일단 엘리트 느낌은 못주겠죠.
대댓글 6개
기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1.10.10
이게 정답. 그러려니 하겠지만 에이스느낌은 아님
쇠약한 정약용*
2021.10.10
비공수보니 여기도 찔리시는분들 많은듯ㅋㅋㅋㅋ 엘리트/에이스급 인재중에 군대 다녀온것도 아닌데 27살에 졸업하는 사람이 어딨습니까.. 23살 졸업도 허다함
나른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1.10.10
당장 카이스트 출신으로 스탠퍼드, MIT 가는 사람들 중에서도 학부 5-6년 다닌 사람 내가 아는 한도에서도 꽤 여럿 있습니다. 늦게 졸업한 게 prodigy 느낌을 못 줄 수 있지만 그게 다예요. 애초에 조졸에 왜 그렇게 집착하는지도 모르겠음.
쇠약한 정약용*
2021.10.10
그럴리가요. K에서 MIT, Stanford 가는 사람들 절대다수(>80%)가 KSA 출신이라 AP를 통해 3년만에 졸업학점을 대부분 채웁니다 조졸에 집착하는게 아니고..ㅋㅋㅋ 특별한 이유 없이 학부를 왜 5-6년 다니나요? 그럼 군대 포함하면 7~8년인데.
나른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1.10.10
제가 당장 그 ksa 출신이에요. ksa 출신을 3년졸 할 수 있는데도 굳이 이것저것 해보고 노느라 공부 잘하는애들도 4-5년졸 하는 거 알라나 모르겠네. 혹시 글로만 들었어요?
나른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1.10.10
그 와중에 학교 다니면서 창업이라도 한다던가 어느 분야를 해야될지 모르겠어서 그냥 학교 더다닌다던가 하는 경우도 무지 많고... 그리고 절대다수 (80%) 라고 했는데 이거야말로 진짜 상황파악 못하시는듯. ksa애들 별 이상한짓 하다가 학점 꼬라박는 애들이 너무 많아서 유학 잘 못가요.
2021.10.10
현직 교수인데, 별 신경 안씁니다. 위에 엘리트 느낌이 어쩌고는 신경 끄셔도 되고, 그정도 나이 갖고 따져 물을 교수라면 작성자님과 잘 안맞을 듯 하니 거르는게 좋아요.
그런데 빈 시간이 있으면 아마 인터뷰할 때 그동안 뭐했냐고 물어볼 거에요. 합리적인 대답을 할 수 있다면 전혀 문제 없습니다.
2021.10.10
한국만큼 나이 신경쓰는곳 없음. 30살이든 40살이든 논문 실적으로 얘기하는거지 뭔 나이타령ㅋㅋ 우리 교수님은 다른일 하다가 20대 후반에 학부 시작함. 업스테이지 김성훈 교수님같은 분도 있고. 또 이런 얘기 하면 아웃라이어니 뭐니 타령하겠지.
2021.10.10
현직 교수인데
출신학교, 학점부터 눈이가지 생년월일은 잘 안보고 2년 더 다닌건 티도 안남 (재수도 있고 남자는 군대도 다녀오고 하니)
휴학이야 가정환경때매 하는 경우도 많고 (사정이 어려워서 학비를 벌어야 한다던가..)
2021.10.10
저도 여잔데 내년에 27살로 공대 대학원 입학합니다. 교수님 컨택할 때 나이 관련 얘기 전혀 안하셨습니다. 저는 직장 다니다가 진학하는 거라서 케이스가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그래도 신경 안 쓰셔도 돼요!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대댓글 2개
2021.10.10
2021.10.11
2021.10.10
대댓글 6개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0
2021.10.11
2021.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