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신생랩

2021.09.06

9

2798

석사 신생랩 어떤가요?? 석사만 따고 졸업하려고 생각 중입니다. 들어가고 싶은 신생랩이 SPK에 있는데 이번7월에 새로 부임하셨습니다. 사실 교수님 성향은 잘 모릅니다. 다만 연구분야가 원하는 분야이고 학생들 복지가 좋은 거 같아서요! 그리고 현재 휴학 중인데 휴학 기간동안 6개월 정도 인턴으로 들어가는 것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입학은 23년도 전기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1.09.06

교수도 흑화를 하기 때문에 그나마 신입을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1.09.06

결국 신생랩을 추천하신다는 말씀이시죠??

2021.09.06

인턴을 해보시고 입학을 결정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애초에 인턴이란게 단순히 연구에 대한 걸 배우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 연구실이 어떤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향후 들어가고 싶은 연구실이라면 인턴을 통해 결정하시는겁니다.
인턴하면서 고되거나 하면 중간에 교수님께 말씀드리고 그만두시거나(단, 인건비나 장학금을 받는다면 바로 못그만둘 수 있습니다.) 아니면 인턴만 마치고 그 연구실은 신경안쓰시면 됩니다.
신생랩의 단점은 모든 일을 막 시작하는 단계기 때문에 교수님을 제외한 누군가가 도움을 주기 어려운게 가장 큰 단점입니다. 또한 연구실에 필요한 물품을 구하는 시기이도 해서 연구실에 실험에 필요한 장비가 없으면 실험을 못할 수 있구요. 행정업무도 누군가는 해야하는데 교수님께서 알아서 해라 아니면 서류 제출하는 선생님께 여쭈어봐라 이런식이면 답도 없죠.
그래도 신생랩이면 교수님께서는 아직 정년보장을 못받는 상황이기 때문에 논문 실적에 대한 압박이 커서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신생랩이면 특히 그 교수님 성향이 어떤지 모릅니다.
우아한 우장춘*

2021.09.06

7월 부임이면 아무것도 셋팅이 안 되어 있을텐데 그게 가장 문제
짓궂은 척척박사*

2021.09.06

신생랩은 교수 성격만 이상하지 않으면 보통 좋아요. 특히 당장 SPK 교수임용이 된 상태기 때문에 자신감이 높은 상태라 되게 즐겁게 지도하십니다 -_-

IF : 2

2021.09.06

신생랩 여부와 상관없이 교수가 정상인이면 어디 랩이든 지낼만 해요. 연구가 원하는 분야이고 복지가 좋으면 인턴을 통해 체험해보시면 되겠죠. 다만 복지가 인건비를 중심으로 생각했을 때 좋다고 하시는 거면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할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논문/학술대회 등 연구실적/과제운영 등). 워라벨이 보장되는 거라면 서울대 교수가 되는게 목표였던 사람이고 본인은 외부 사람들 또는 선배교수님들 모시고 논문쓰면서 테뉴어 받고 학생들은 테뉴어 심사에 반영될 때 마이너스가 안 될 정도의 인원 정도로 유치해서 졸업시키려고 할 겁니다. 인턴하시면서 잘 보고 결정하세요.

대댓글 1개

IF : 2

2021.09.06

신생랩 1호박사 출신이에요. 저의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면 신생랩은 가는 게 아닌 것 같아요. 복지 좋다고 해놓고 김박사넷에서 재떨이 던지는 교수같은 인성 가진 교수랑 있었기 때문이죠. 재떨이 말고 휴지곽은 던지더라구요. 그 ㅅㄲ가 안 잡혀간건 제가 신고를 안 해서랍니다. 타대생에 신생랩이라 너무 정보가 없었고 제 선택이고 다행히 다른 교수님들이 도와주셔서 졸업까지 무리없이 했습니다. 제 경험은 지옥이었지만 다른 신생랩 보면 랩 세팅하고 주제잡기에 너무 힘들더라도 교수님이 좋은 분이셔서 같이 으쌰으쌰하는 걸 봤고 석사1호 졸업도 2년만에 했습니다. 이렇듯 케바케이기 때문에 지금 저희가 어떤 의견을 드리든 참고사항일 뿐입니다. 그러니 인턴 하시면서 교수님은 어떤 스타일인지(괴수인지 노력파 교수인지 아니면 외부 네트워크로 테뉴어 실적 잘 채울 거라서 학생들은 심사기준만 통과할 정도로 지도하고 졸업시키는 교수인지 등등) 잘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겁니다.

2021.09.06

박사까지할거면 추천, 석사만할거면 비추
저도 신생랩으로 박사까지했는데, 대체로 1~2기수는 과제제안서, 랩장, 랩세팅 등 할일이 많아서 수업조차 제대로 못듣는 경우가 많음. 그런모든것들이 박사까지 해서 박사졸업할때 즈음, 혹은 졸업이후에는 큰 도움이 되는데 석사까지 할때는 석사주제도 뒤늦게 잡아서 애쓰는경우도 주변에서 많이봄.
윗분들중 신생랩출신이 얼마나있는지 모르겠지만, 자대출신이라 신생랩인 애들이랑 친해서 서로 얘기많이듣는데 초반에 랩 안정화 될때까지 정말 힘들어요.

2021.09.08

하지마세요......... 경험자임 피봄..피똥쌈 이거슨 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