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회사에서 IT 관리자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ERP나 DB분석 및 개발쪽은 아니고 그냥 Infra(network및 server등)과 유저 문제 해결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AI 빅데이터쪽 대학원을 진학해서 새롭게 공부하여 취업이 가능할까요?
경력은 인정받기 어려울테니 입사할때 신입으로 지원해야겠습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창업을 생각해야 하겠지만 그래도 경험을 좀 해본 후 창업을 하는 편이 좋을 것 같은데요,
고견 부탁 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튼튼한 버지니아 울프*
2021.07.21
안됩니다. AI 분야 특징이 단순한 구현 단계에서는 타 CS 소분야에 비해서 진입장벽이 낮은 대신에 연구로 들어가면 급격히 필요해지는 수학/물리학/통계학 지식 요구사항 때문에 엔지니어링과 리서치의 차이가 크다는 것인데, 리서치 영역에 진입해서 탑컨퍼를 써내면 본전 이상 가는 건데 그렇지 못하면 MLOps 공부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7.22
MLOps라면 머신러닝 운영쪽 말씀하시는건지요?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옹졸한 장자크 루소*
2021.07.21
잘 아실거라 생각되는 서버 유지보수를 예시로 들면, 서버 OS를 자체 개발하여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OS, 윈도우 OS와 경쟁(가격이든 성능이든)할 정도의 실력과 투자가 있어야 창업이 성공할 수 있습니다.
취업의 경우는 서버 OS를 개발하지는 못하더라도 나이를 감안하였을 때, 대규모 ai프로젝트를 성공한 경험이 있어야 이직이 가능합니다. 신입은 아예 40 중반을 뽑지 않습니다.
털털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1.07.21
선생님, 누구보다 잘 알고 계실겁니다.
40대 중반으로는 신입으로 못들어간다는 사실을.
점잖은 리처드 파인만*
2021.07.21
되겠습니까
팔팔한 피에르 페르마*
2021.07.21
힘듭니다..
2021.07.21
저도 MLOps 쪽으로 생각해보시는게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7.22
MLOps는 머신러닝 운영쪽 말씀하시는건지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1.07.22
그냥 하고 싶은거 하고 사세요. 가능성 보고 시작할 나이가 아님을 글쓴이도 잘 알 것 같은데요 어차피 본인이 하려는 커리어 전환이 세간의 시선으로 볼 때 평범한건 아닙니다. 평범하지 않을 걸 해내는 사람이 대단한거지요. 그런 용기가 있다면 저는 과감히 시도해 보시라 권합니다. 뭐 수학이 어떻니 공부타령하는 댓글이 보이는데.. 공부 안해보셨어요? 시간들여서 하면 됩니다. 기억력이 예전 만큼 좋지 않겠지만 그만틈 시간 더 들여서 하면 돼요. 안되는게 어딨어요 하면 되지. 의지의 문제일 뿐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조언 구하지마요. 여기 댓글 다는 사람들 글쓴이 보다 까막득하게 어린애들이구요 사회 경험도 미천한 애들이 대부분이예요 이런 애들 상대로 무슨 사회 생활, 커리어를 논합니까? 그 좁은 식견으로 안된다는 말만하겠죠.
취업이 목표라면 미국으로 유학가세요. 좋은 학교로 갈 필요도 없이 대충 100위 안으로 가면돼요. 어차피 석사 졸업이면 나이 20이든 40이든 new graduate으로 취급해서 취업합니다. 들어갈 때 경력인정은 어렵겠지만 이 부분은 글쓴이도 포기한다고 했으니 문제 없을꺼고.. 일단 들어가서 일하다보면 노련한 만큼 진급을 빨리할 수 있을 겁니다.
참고로 저도 나이 30후반에 박사 시작했고요 힘들긴 했지만 공부할만 했어요. 스스로 나이 핑계를 대지 않을꺼면 세상에 나이때문에 불가능한 일은 없어요. 한국에서 취업이 어렵다면 해외 취업을 뚫으면 그만입니다.
2021.07.21
대댓글 1개
2021.07.22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대댓글 1개
2021.07.22
2021.07.22
대댓글 2개
2021.07.22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