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턴 자율출퇴근

2021.06.13

14

1601

여름방학부터 랩인턴을 하는데 얼마 전에 연구원분하고 면담을 했어요. 근데 그 랩은 정말 자율출퇴근 이고 매일 안나와도 되고 정해진 출퇴근 시간 없다고 하시는데 그대로 받아들여도 되나요..? 그래도 초반에는 매일 출근하려고 하는데 11시 출근이면 건방져 보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1.06.1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댓글 2개

2021.06.13

왜..왜요..

2021.06.13

저진짜 암것두 몰라요 ㅠㅠ...

2021.06.13

자율출근제면 걍 편한대로 가세요 덜떨어진 꼰대들이나 머라하지

대댓글 1개

2021.06.13

감사합니다
바보같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1.06.13

자율출퇴근은 보통 늦은 출근 늦은 퇴근을 의미합니다 ㅋㅋㅋㅋ 늦게 퇴근하라는 게 아니고 편하게 늦게 출근해서 그냥 될때까지 일하는

대댓글 1개

2021.06.13

아하 감사합니다

2021.06.13

자율출퇴근이란 말은, 말그대로 본인이 출퇴근 시간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겁니다.
점심먹고 나와서 4~5시간만해도, 남들보다 우수한 실적 낼거면 상관없는 것이고
다만, 님이 1달이 지나도록 진전이 없으면 뒤에서 말 나오겠죠.
'이것도 숙지 안해놓고 지금까지 11시 출근하고 칼퇴한거냐?'

뭐 말그대로 본인 책임이죠.
인턴이란게 말그대로 정식입학 전 테스트 개념일텐데
최소한 9시~6시에 성실히 출퇴근하면 인턴 끝나고 조금 성과가 부족해도 교수님이나 다른 랩인원들이 좋게 보겠죠.
반면, 11시~3시, 안나올때도 있으면, 성과 부족하면,, 그냥 끝이죠.

대댓글 1개

2021.06.13

최대한 열심히 해야겠군요. 대중교통 때문에 11시를 생각한건데 그냥 안전하게 9시에 나가야겠네요..감사합니다

2021.06.13

음 제가 바라본 경험으로서는 직장에서 유연 출근제라하면 9.5-12 이정도.. 자율 출근제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는
직무상 task 중심이 굉장히 큼 따라서 말은 자율이지만 실상은 집에서도 일하는 사람이 다수 .

연구실에서 시간제약을 딱히 두지않는 경우가 많음 물론 교수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연구라는 직무상
사고 활동이기에 물리적 제약을 덜 주는 경향을 띠나 특정 교수같은 경우에 일찍나와야 연구도 잘된다는 마음으로 시간을 fix 하는 경우도 있음

본질은 자율출근이라는 것은 시간에 따른 물리적 장소 제약에 너무 신경쓰지말고 할거에 더 집중하라 는 억양을 가짐





대댓글 2개

2021.06.13

아하.. 어떤 의미인지 알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IF : 5

2021.06.13

자율출근제인데 8시반이면 전부다 출근해있는 곳도 있습니다.... 아 눈물좀 닦고.....
일단 적당히 다니며 이미지는 쌓아두세요 눈치 좀 보다가 진짜 자율을 찾으셔도 될듯

2021.06.13

그래도 가능한 working hour에는 가는게 좋습니다. 사람이 있을때 배워야… 뭐라도 주변에서 얼쩡거리며 배우는게 중요하죠

대댓글 1개

2021.06.13

넵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