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 이게 네다섯명씩 있는 연구실이 있길래 이거 먼저 해서 검증받으면 박사 가기 좀 수월한건가 생각하고 RA들 눌러봣더니
자대 수차석급들이 이미 연구실에서 석사 졸업하고도 박사자리가 부족해서 반년~1년씩 RA로 줄서있는거였네 ㅋㅋㅋ... 박사도 엄청 많은데... 이게 바로 젊은 Rising Star 인용수 5만 급이구나 ㅋㅋ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3.03.12
먼소린지 대학원생이면 다 RA인데
대댓글 2개
2023.03.12
(연구하는 석/박사과정) 대학원생이면
2023.03.12
연구실 홈피들 보시다보면 RA 표기된 의미가 조금씩 다릅니다. 이 연구실의 경우 확인해보니 박사와 석사는 따로 PhD Candidate나 Master 과정중이라고 써있고, 중간에 따로 RA라고 써있길래 석박사 들어오기 전에 검증 위해서 타대생들 반년~1년 연구생 시키는 건줄 알았더니 RA들 프로필 확인해보니 자대/그 연구실에서 학석 Cum Laude 이상으로 졸업한 학생들이 PhD 자리 빌때까지 줄서있는 상태였다. 라는 이야기였습니다.
꼼꼼한 카를 가우스*
2023.03.13
뭔말이죠..? 그 랩에서 석사졸업 했는데 박사 자리가 없어서 진학 못하는 사람이 어딨어요..? 그럴 정도면 애초에 석사로 받지도 않았겠죠.ㅋㅋㅋㅋ 애초에 미국은 direct phd라 석사 따로하고 박사 하는 문화도 아니고요. 그리고 첫댓 말처럼 대학원생이면 다 RA인데 뭔가 단단히 오해하고 계신듯.
대댓글 1개
2023.03.13
네 놀랍게도 그런랩들이 있네요 ㅋㅋㅋ 석사가 2년중 연구실 시작이아니라 cohort로 입학해서 연구실 골라 논문쓰는 형식이라 그런듯. PhD Candidate와 RA 구분되어 있어서 착각일 리는 없어요. RA를 학위과정중이 아닌 사람으로 분류한 그냥 그 홈피에 표기된 형식일 뿐. 저도 미국대학에서 학위중인데 그걸 헷갈리겠나요...... 그래서 RA가 석사학생이겠거니 하고 개인프로필들 눌러보니 다 그 연구실에서 이미 논문쓰고 졸업한 친구들이 박사 들어가기 전에 계속 일하고 있었다 이 말입니다. 본문 연구실은 옥캠입니다.
2023.03.12
대댓글 2개
2023.03.12
2023.03.12
2023.03.13
대댓글 1개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