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항상 구글로 눈팅만 하다가 오늘 회원가입해서 글쓰게 됩니다. 여기있는분들 대부분 저보다는 나이가 있으실 것 같아서 존댓말로 시작하겠습니다. 저는 2021년에 미국대학교에 진학한 1학년입니다. sat는 top 20위안은 노려볼만큼 잘봤고 잘해왔다고 생각했는데 코로나때문에 SAT를 제가 가장 가고싶어 하던 dream school (UC Berkeley)는 아예 제출조차 할 수 없게 하고 뭐 어찌저찌해서 제 기준 별로 좋은대학은 아니지만 제일 싼 미네소타 대학교로 장학금 + 개인연구과정 받고 오게되었습니다. 제 장학금 + 아버지 회사에서 나오는 삼성장학금해서 1년에 개인아파트 원룸포함 1500-2000만원으로 유학하게되었습니다. 서두가 길었죠 처음이라 무슨말을 해야될지 몰라서 다 하느라 그랬습니다. 아마 제가 편입을 안하고 미네소타에서 졸업을 하게된다면 아마 4년안에 학사와 석사를 모두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미국 학부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저는 고등학교 때 학점을 따놓은게 꽤 있어서 학사 졸업은 3년안에 할 수 있고 제 학부 학점이 3.5/4.0 이 넘으면 학부 4학년 + 1년 더해서 1년뒤에 석사까지 따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제 본론인데,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는 미국이 별로 좋지 않습니다.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꿈도 꾸고 희망을 갖고 미국에 왔는데 저는 한국이 더 좋습니다. 솔직히 박사까지 생각하는 입장에서 미국에 왔으니 미국박사로 가는길이 남들보다 조금은 수월할거라는 것도 알고 탑 학교로 진학할 수 있다면 미국대학이 학업적인 면에서는 더 유리한 것도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원하는 분야는 AI/ML 이고 이분야는 요즘 CS 한다는 사람은 50프로 이상 하려고 해서 진학이 훨씬 어렵다고도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보다는 훨씬 선배시고 전문가이신 분들께 감히 여쭤보고 싶습니다. 다른거 다 필요없고 그냥 한국에서 살고싶고 한국이 더 좋으면 한국박사를 선택하는게 맞는지 아니면 박사+자리잡는시간까지 합쳐서 8-10년정도 보고 투자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제가 글에서 실례를 범했다면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1.11.11
우리랩에 미국학사출신 박사과정님들 여럿 있는데... 정확히 왜 왔는지는 안물어봤네요. 그냥 그런사람이 없진않다는걸 알려드려요
대댓글 7개
2021.11.11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제 학부가 한국 탑 대학원을 노리기에는 자교생들에게 너무 밀려 편입을 해야할정도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요즘 그것도 참 고민이라서요
2021.11.11
미네소타 스테잍 인가요? 조금 애-매 하긴 합니다
2021.11.11
아뇨 미네소타 트윈시티 입니다
2021.11.11
대학원 지원하실때 학부의 학벌로 가져갈 수 있는 이점은 크지 않을 것 같아요. 절대 비하 아닙니다. 여담으로 저는 spk 컨택했을때 아무것도 몰라서 cv,자소서 없이 글로만 연락 드렸는데 답장이 꽤 많이 왔었습니다.
2021.11.11
아 네네 저도 무슨말인지 이해합니다. 저도 미국대학을 나와서 뭐 이렇다할 아웃풋이 없을 것 같아서 여쭤본거였습니다. 혹시 어느정도 레벨 학부정도 되면 이점을 가질 수 있을지 개인적인 의견을 들을 수 있을까요?
2021.11.11
이 부분은 교수님 바이 교수님입니다만 미국에서 생활하신적이 있으신 교수님들 대부분은 학부의 대학교 타이틀만 보시지 않고, 과의 랭킹도 보십니다. 특정대학교의 특정과는 탑5 이런 곳 있잖아요~ 이런상황은 플러스가 됩니다.
하지만 디테일하게 보시지 않는 교수님들은 학부의 랭킹 혹은 인지도로만 보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 생각입니다만 학부의 레벨로 이점을 가져가시려면 최소 탑20 정도 되거나 한국 국민들에게 물었을때 대부분 알 정도의 인지도의 학교면 학부 학벌로 플러스를 가져갈 수 있다고도 생각합니다만 이 비중이 크지 않습니다. 오히려 학부의 학벌보다 작성자님이 대학생활 하시면서 이룰 수 있는게 더 큰 플러스 요인이 될거에요.
2021.11.11
저는 학벌에서 가산점을 받았겠지만 gpa가 - 수준이었습니다.
학벌은 가산점입니다. 없다고 마이너스 되는 요인은 없습니다. 오히려 다른 부분에서 가산점을 노리시는게 편입보다 더 쉬울거라고 생각합니다. 제 경험을 토대로 한 의견이니 정답은 아닙니다!
2021.11.11
저도 고등학교부터 학사까지 미국에서 졸업하고 한국 석박 들어왔는데요, 미국에서 생활을 하시면서 견해가 바뀌실 수도 있다 생각하며, 두개 다 경험해본 저의 의견은 미국에 계세요..
대댓글 2개
2021.11.11
혹시 괜찮다면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2021.11.11
학문적인 이유 제외하고 포괄적이겠지만 삶의 여유 삶의 질이 비교할 수 없을만큼 미국이 좋다고 느꼈습니다 저는.
IF : 1
2021.11.11
한국으로 돌아올 계획이더라도, 박사까지는 미국에서 받고 오시는게 좋습니다. 취업 질이 달라지니까요.
부지런한 그레고어 멘델*
2021.11.11
미국에 있다 한국으로 대학원 오는 한국분들은 분야를 막론하고 꽤 있습니다. YK 정도는 큰 스펙 없이도 들어가더군요..
2021.11.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친구들과 1박2일 산으로 놀러가서 펜션에서 밤늦게 이야기 하다보면 제각기 현 사회현상이나 정치,경제 논리가 다르다는 걸 느끼고 함, 글쓴이는 미국생활에 만족을 못느끼고 박사 + 잡 구하는데 8~10년이라는 세월을 투자해야 되는 것 같고, 향후 한국에서 자리잡고 살고 싶다는 의견인 것 같은데..본인 마음이 가는대로 하는게 좋을 것 같음, 그 기간 공부를 하는 도중에도 향수병으로 힘들 것이고 국내대학원 와서 박사 공부해도 자리잡고 사는데 아무 불편함 없음...삶의 대한 개인의 가치관 문제라고 보여지고...학부때 학점관리 잘하시고 학석 마칠 시기에 원하는 랩에 컨택을 넣어 도전하시면 될 것 같음
2021.11.11
학/석/박사 올라갈수록 무조건 체급을 올려서 가야해요. SPK를 간다한들 미네소타보다 밑입니다. 미학/국박은 별로 좋아 보이지 않은 커리어예요. 박사는 최소한 미네소타에서 하거나 미네소타보다 좋은 곳을 목표로 해서 가세요.
2021.11.11
대댓글 7개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
대댓글 2개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
2021.11.11